본 연구는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두 곳...
본 연구는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두 곳의 만 5세 유아 60명이었다. 두 교육기관 중 한 곳은 사회-수학 통합 활동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곳은 사회와 수학을 분리하여 실시하는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수학적 문제해결력은 Ward(1993)의 검사 도구를 류혜숙(2003)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로, 유아의 수학적 태도는 Harter와 Pike(1984)의 연구를 기초로 Ward(1993)가 사용한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회-수학 통합 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점수에서 높은 변화가 있었다. 즉, 사회-수학 통합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사회와 수학이 분리된 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보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이 더 많이 증진되었으며, 특히 패턴, 수, 측정, 통계능력에서 증진되었다.둘째, 사회-수학 통합 활동은 유아의 전반적인 수학적 태도 총점에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을 개별적으로 차이검증 했을 때 유능감, 타인평가 인식에서는 일부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사회와 수학의 분리된 활동보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를 발달시켜줄 수 있는 활동임을 인식하고 다양한 사회-수학 통합 활동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