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 학습자의 다의어 교육을 위한 교재 분석 연구 : ‘가다’, ‘오다’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Polysem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ed on 'gada', 'o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181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과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91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임채훈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native speakers often use polysemic meanings of verb but it should be don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in polysemy educatio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Vocabulary Education has some problems that they can not learn various and frequently using meanings of word on convers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extbook for study of polysemic meanings.
      This research selected verbs 'gada(go)' and 'oda(come)' for polysemy education, and made a database from textbooks of 6 university language institutes at Seoul. They are classified various word meanings using『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SKLD)』based on subdividing word meanings on basic sentence structures and analysed the whole appearance frequency and level of primary appearance and appearance frequency of each level.
      Textbooks included word meanings of verb 'gada(go)' from 14 to 21 and verb 'oda(come)' from 11 to 19. Verb 'gada(go)' mostly appeared [1]-①, [8]-① and [1]-④ on word meanings of SKLD and Verb 'oda(cone)' mainly presented [1]-①, [5]-① on word meanings of SKLD. Results of the whole first appearance and appearance frequency on each level don't consider frequency of use on Korean native speakers and provi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y to foreign student. In other words, textbooks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are inadequate to study on various word meanings.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new textbook for polysemy education of verbs 'gada(go)' and 'oda(come)' considering analysis's results, 『Meaning Frequency Dictionary』and extended meaning from 'space-time-abstraction' , one of cognitive linguistics approach.
      This research want to make use of basic material and to provide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y for polysem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번역하기

      Korean native speakers often use polysemic meanings of verb but it should be don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in polysemy educatio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Vocabulary Education has some problems that they can not learn various and frequently us...

      Korean native speakers often use polysemic meanings of verb but it should be done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in polysemy educatio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Vocabulary Education has some problems that they can not learn various and frequently using meanings of word on convers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extbook for study of polysemic meanings.
      This research selected verbs 'gada(go)' and 'oda(come)' for polysemy education, and made a database from textbooks of 6 university language institutes at Seoul. They are classified various word meanings using『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SKLD)』based on subdividing word meanings on basic sentence structures and analysed the whole appearance frequency and level of primary appearance and appearance frequency of each level.
      Textbooks included word meanings of verb 'gada(go)' from 14 to 21 and verb 'oda(come)' from 11 to 19. Verb 'gada(go)' mostly appeared [1]-①, [8]-① and [1]-④ on word meanings of SKLD and Verb 'oda(cone)' mainly presented [1]-①, [5]-① on word meanings of SKLD. Results of the whole first appearance and appearance frequency on each level don't consider frequency of use on Korean native speakers and provi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y to foreign student. In other words, textbooks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are inadequate to study on various word meanings.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new textbook for polysemy education of verbs 'gada(go)' and 'oda(come)' considering analysis's results, 『Meaning Frequency Dictionary』and extended meaning from 'space-time-abstraction' , one of cognitive linguistics approach.
      This research want to make use of basic material and to provide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y for polysem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사의 다의적 의미는 모국어 화자들이 자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다의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휘교육 및 다의어 교육의 현황, 다의어에 대한 이론적 검토, 다의어 분석 사례 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가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의미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다의어가 처음 출현하는 등급이 불규칙적이며 체계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재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동사이면서 사용빈도가 높은 ‘가다’와 ‘오다’를 다의어 교육을 위한 동사로 선정하였다. 주요 대학교의 어학원 교재에 수록된 ‘가다’, ‘오다’가 사용된 문장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문형을 기준으로 의미를 세분화 시킨『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여 ‘가다’와 ‘오다’의 의미 항목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가다’와 ‘오다’의 의미 항목이 출현한 빈도, 최초 출현 등급, 등급별 출현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의미 항목별 분석에서 ‘가다’는 14∼21개의 의미 항목이 수록되었고, ‘오다’는 11∼19가지 의미 항목이 나타났다. ‘가다’의 의미 빈도별 분석에서는 [1]-①, [8]-①, [1]-④이 많이 나타났으며, ‘오다’에서는 [1]-①, [5]-① 등이 자주 출현하였다. 의미별 최초 출현 빈도 및 등급별 의미 항목 분석에서는 모국어 사용자의 빈도를 고려하지 않은 의미 항목들이 많이 제시되었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꾸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국어 교재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 ‘가다’와 ‘오다’의 다양한 의미 항목을 설명하는데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학교재의 분석 결과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빈도를 정리한 『빈도 사전』, 다의어의 원형의미를 근거로 하는 다양한 확장의미의 종류 중 인지론적 관점에서 ‘공간, 시간, 추상’으로 확장되는 의미 항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새로운 다의어 교육을 위한 교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의어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에 대한 적절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동사의 다의적 의미는 모국어 화자들이 자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다의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휘교육 및 다...

      동사의 다의적 의미는 모국어 화자들이 자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다의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휘교육 및 다의어 교육의 현황, 다의어에 대한 이론적 검토, 다의어 분석 사례 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가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의미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다의어가 처음 출현하는 등급이 불규칙적이며 체계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재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동사이면서 사용빈도가 높은 ‘가다’와 ‘오다’를 다의어 교육을 위한 동사로 선정하였다. 주요 대학교의 어학원 교재에 수록된 ‘가다’, ‘오다’가 사용된 문장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문형을 기준으로 의미를 세분화 시킨『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하여 ‘가다’와 ‘오다’의 의미 항목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가다’와 ‘오다’의 의미 항목이 출현한 빈도, 최초 출현 등급, 등급별 출현 빈도 등을 분석하였다.
      의미 항목별 분석에서 ‘가다’는 14∼21개의 의미 항목이 수록되었고, ‘오다’는 11∼19가지 의미 항목이 나타났다. ‘가다’의 의미 빈도별 분석에서는 [1]-①, [8]-①, [1]-④이 많이 나타났으며, ‘오다’에서는 [1]-①, [5]-① 등이 자주 출현하였다. 의미별 최초 출현 빈도 및 등급별 의미 항목 분석에서는 모국어 사용자의 빈도를 고려하지 않은 의미 항목들이 많이 제시되었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꾸준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국어 교재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 ‘가다’와 ‘오다’의 다양한 의미 항목을 설명하는데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학교재의 분석 결과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빈도를 정리한 『빈도 사전』, 다의어의 원형의미를 근거로 하는 다양한 확장의미의 종류 중 인지론적 관점에서 ‘공간, 시간, 추상’으로 확장되는 의미 항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새로운 다의어 교육을 위한 교재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의어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에 대한 적절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고찰 3
      • 1.2.1. 어휘교육과 다의어 3
      • 1.2.2. ‘가다’와 ‘오다’의 분석 사례 6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고찰 3
      • 1.2.1. 어휘교육과 다의어 3
      • 1.2.2. ‘가다’와 ‘오다’의 분석 사례 6
      • 1.2.3. 사전에서의 의미 처리 8
      • 제 2 장 논의 구성 및 연구방법 18
      • 2.1. 이론적 토대 18
      • 2.1.1. 다의어의 원형의미와 확장의미 18
      • 2.1.2. 다의어의 의미 습득 양상 19
      • 2.1.3. 빈도분석에 따른 다의어 교육 20
      • 2.2. 대상 교재의 선정 20
      • 2.3. 대상 어휘의 선정 21
      • 2.4. 데이터베이스 구축 23
      • 2.5. 다의 동사의 의미 항목 분석 23
      • 제 3 장 ‘가다’와 ‘오다’의 의미 항목별 기준 25
      • 3.1. ‘가다’의 의미 항목 분류 25
      • 3.1.1.【…에/에게, …으로, …을】+ 가다 25
      • 3.1.2.【…에/에게, …으로】+ 가다 28
      • 3.1.3.【…으로】+ 가다 30
      • 3.1.4.【…에】+ 가다 32
      • 3.1.5.【…】+ 가다 34
      • 3.1.6.【…이】+ 가다 36
      • 3.1.7.【…을】+ 가다 37
      • 3.1.8.【…에/에게 …을, …으로 …을】+ 가다 38
      • 3.1.9.【(…을)】+ 가다 38
      • 3.1.10.「보조동사」(주로 동사 뒤에서 ‘-어 가다’ 구성으로 쓰여) 39
      • 3.2. ‘오다’의 의미 항목 분류 39
      • 3.2.1.【…에/에게, …으로, …을】+ 오다 39
      • 3.2.2.【…에/에게, …으로】+ 오다 40
      • 3.2.3.【…에/에게】+ 오다 42
      • 3.2.4.【…으로】+ 오다 46
      • 3.2.5.【…】+ 오다 47
      • 3.2.6.【…에서/에게서】(‘에서/에게서’ 대신에 ‘…으로부터’가 쓰이기도 한다) + 오다 48
      • 3.2.7.【…을】+ 오다 49
      • 3.2.8.【…에/에게 …을, …으로 …을】(‘…을’ 성분은 주로 서술성이 있는 명사가 온다) + 오다 49
      • 3.2.9.「보조동사」(주로 동사 뒤에서 ‘-어 오다’ 구성으로 쓰여) 50
      • 제 4 장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가다’와 ‘오다’의 용례에 대한 종합적 고찰 51
      • 4.1. 대학교재에 수록된 의미 항목 분석 51
      • 4.1.1. ‘가다’의 용례 실현 양상 51
      • 4.1.2. ‘오다’의 용례 실현 양상 52
      • 4.2. 의미 항목별 빈도 분석 52
      • 4.2.1. ‘가다’의 의미 항목별 빈도 52
      • 4.2.2. ‘오다’의 의미 항목별 빈도 54
      • 4.3. 의미 항목별 최초 출현 분석 56
      • 4.3.1. ‘가다’의 의미 항목별 최초 출현 양상 56
      • 4.3.2. ‘오다’의 의미 항목별 최초 출현 양상 58
      • 4.4. 등급별 의미 항목 분석 59
      • 4.4.1. ‘가다’의 의미 항목에 대한 등급별 분석 59
      • 4.4.2. ‘오다’의 의미 항목에 대한 등급별 분석 68
      • 4.5. 교재 분석의 종합적 결과 77
      • 제 5 장 다의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방안 78
      • 5.1. ‘가다’의 다의어 교육 78
      • 5.2. ‘오다’의 다의어 교육 83
      • 제 6 장 결 론 87
      • 참고문헌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