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사냥은 야생의 매를 포획하는 방법에서부터 길들이기와 훈련하기 그리고 매사냥 실전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이 수많은 민속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민속지식 대부분은 매에 관한 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47028
김재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Korean
매사냥 ; 매꾼 ; 매 ; 민속지식 ; 무형문화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Falconry ; Falconer ; Falcon ; Folk Knowledge ;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KCI등재
학술저널
31-62(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매사냥은 야생의 매를 포획하는 방법에서부터 길들이기와 훈련하기 그리고 매사냥 실전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이 수많은 민속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민속지식 대부분은 매에 관한 생...
매사냥은 야생의 매를 포획하는 방법에서부터 길들이기와 훈련하기 그리고 매사냥 실전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이 수많은 민속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민속지식 대부분은 매에 관한 생태학적, 해부학적, 행동학적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렇다고 하여 주류 과학인 조류학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형성 과정은 대부분오랜 옛날부터 선배 매사냥꾼들로부터 전해져오는 전승지식들이 주를 이룬다. 매 관련 민속지식에는 야생 매를 포획하는 방법, 어떤 매가 사냥 능력이 뛰어난지를 판단하는 구분법, 매를 키우는 사육법, 훈련법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와 기술, 그리고 관련 지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에 매의 사육과 훈련에 필요한 도구 관련 지식, 기타 사냥의 대상인 꿩이나 자연환경 등에 관한 지식 등도 포함된다.
이렇듯 민속지식은 매의 포획과 사육, 훈련 등 매사냥 전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와 기술, 지식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래서 민속지식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매사냥이 어떤 방식과 원리에서 이루어지는지를 기초적인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핵심적 민속지식은 매사냥꾼의 독특한 민속어휘로 표현되는경우가 많다.
그리고 매사냥의 무형문화유산 가치는 민속지식과 밀접하게 관련되는데, 민속지식 중에서 매가 날아간 방향을 알기 위해 시치미를 사용하는 지식, 매의 행동학적 습관을 이용해 야생의 매를 포획하는 기술, 생물학적특성을 이용해 매 상태를 점검하는 지식, 매를 이듬해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는 관습 등은 우리나라 매사냥에서 볼 수 있는 고유한 전통이자 문화유산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lconry consists of a lot of folk knowledge, from how to catch wild falcons to taming and training. Most of these folklore tales consists of ecological, anatomical, and behavioral knowledge of falcons, but this does not include mainstream ornithology...
Falconry consists of a lot of folk knowledge, from how to catch wild falcons to taming and training. Most of these folklore tales consists of ecological, anatomical, and behavioral knowledge of falcons, but this does not include mainstream ornithology. The formation process is largely based on the traditions passed down from the old falconers. The folk knowledge about falconry consists of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skills related to how to catch wild falcons, how to distinguish which one is good for hunting, how to raise hawks, and how to train them.
Others include knowledge about the tools necessary for breeding and training falcons and other knowledge about pheasants that are the targets of hunting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such, folk knowledge includes information, skills, and knowledge that a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falconry, such as catching, rearing, and training falcons. Thus, if we look into the contents of the folk knowledge, we can systematically understand from the basic stage how falconry is carried out. In particular, core folk knowledge is often expressed in the folk terms of falconer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alue of falconry is closely related to the folk knowledge. The use of sichimi for seeing where the falcons fly toward, the method of capturing using behavioral habits of falcons, the status check using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leasing the falcon to live in nature the following year are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heritage found in falconry of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종, "李兆年의 『鷹鶻方』에 나타난 吏讀文 作品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0 (0): 5-37, 2008
2 "한국전통매사냥보전회"
3 이진희, "한국에서의 참매 Accipiter gentilis 번식생태 연구" 한국조류학회II 18 (18): 171-180, 2011
4 이시영, "한국수의 발달사(8) -조선시대의 수의서적들(4-1)" 대한수의사회 37 (37): 2001
5 심승구, "한국문화사 40.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11
6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농경·어로 분야(충청지역)" 국립무형유산원 2018
7 김광언, "한·일·동시베리아의 사냥: 수렵문화비교지" 민속원 2007
8 김기선,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한국몽골학회 (28) : 75-100, 2010
9 조삼래, "하늘의 제왕: 맹금과 매사냥" 공주대학교 출판부 2008
10 권재명, "주갈치를 찾아서" 도서출판 무진재 2019
1 박성종, "李兆年의 『鷹鶻方』에 나타난 吏讀文 作品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0 (0): 5-37, 2008
2 "한국전통매사냥보전회"
3 이진희, "한국에서의 참매 Accipiter gentilis 번식생태 연구" 한국조류학회II 18 (18): 171-180, 2011
4 이시영, "한국수의 발달사(8) -조선시대의 수의서적들(4-1)" 대한수의사회 37 (37): 2001
5 심승구, "한국문화사 40. 사냥으로 본 삶과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11
6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농경·어로 분야(충청지역)" 국립무형유산원 2018
7 김광언, "한·일·동시베리아의 사냥: 수렵문화비교지" 민속원 2007
8 김기선, "한 • 몽 매의 어원과 상징성 연구" 한국몽골학회 (28) : 75-100, 2010
9 조삼래, "하늘의 제왕: 맹금과 매사냥" 공주대학교 출판부 2008
10 권재명, "주갈치를 찾아서" 도서출판 무진재 2019
11 김완병, "제주 바다를 누비는 매" 제주특별자치도민속자연사박물관 2020
12 황경순,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매사냥’ 공동등재의 특성과 의의" 국립문화재연구소 51 (51): 208-223, 2018
13 진윤수, "응골방에 나타난 방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4) : 125-133, 2005
14 "유튜브"
15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16 이염, "신증응골방(新增鷹鶻方)"
17 김연수, "바람의 눈: 한국의 맹금류와 매사냥" 수류산방 2004
18 김재호, "민속지식의 인문학" 민속원 2020
19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 조삼래, "매와 사람의 교감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연 친화적인 사냥, 매사냥" 문화재청 2012
21 이봉일, "매와 매사냥의 역사와 어휘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65) : 199-222, 2017
22 김방울, "매사육과 매사냥을 위한 지침서, 『응골방(鷹鶻方)』의 여정" 국립무형유산원 (8) : 161-184, 2020
23 문화재관리국, "매사냥 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3
24 "네이버 블로그"
25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26 이조년, "교주국역(校註國譯) 응골방(鷹鶻方)" 재부밀성회 1994
27 박진태, "고전문학에 나타난 매와 매사냥의 형상화 양상"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7 (7): 2011
28 전호태, "고구려의 매사냥" 부산경남사학회 (91) : 1-21, 2014
29 여성희, "가곡, 대목장, 매사냥 인류무형유산 등재" 문화재청 2010
30 전재진, "時調의 ‘매 사냥’ 담론과 문화권적 通涉의 양상" 인문학연구원 92 : 119-151, 2010
31 Takuya Soma, "Contemporary Falconry in Altai-Kazakh in Western Mongolia" 국립민속박물관 (7) : 103-111, 2012
32 Takuya Soma (相馬 拓也), "Altai Kazakh falconry as ‘heritage tourism’: the Golden Eagle Festivals of Western Mongolia" 국립민속박물관 (9) : 135-147, 2014
33 김인규, "16세기 후반 강원도 평강지역의 매사냥 실태와 그 성격" 국립문화재연구소 (36) : 313-334, 200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협약의 가치와 실현수단에 관한 연구 -공동체, 보호, 참여 개념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의 새로운 접근 -기악독주음악 종목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