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한말 외국인 기록에 나타난 한국 사회자본의 원형과 그 특성 = Exploring the origin of Social capital of Korea: Based on the 19th century travelogues written by foreign visi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6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origin of social capital of Korea based on three foreign visitors’ travelogues which are written in late 19th century by Isabella Bishop, Michael Alexandrovich, and James Gal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origin of social capital of Korea based on three foreign visitors’ travelogues which are written in late 19th century by Isabella Bishop, Michael Alexandrovich, and James Gal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of Korea in 19th century observed in the documents of three foreigners are briefly summarised as 1) interdependent individuality, 2)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s, and 3) relational norms derived from collectivistic and hierarchical networks such as loyalty, filial duty, or face. These features are in line with familyism (Fukuyama, 1995) or Confucian tradition (Lew, 2013), which some scholars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in Korea. In addition, these feature have a fundamental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mainstream social capital theory which presume the independent individuality and horizontal networks.
      Surely, further exploration is needed for whether these unique features are lingered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this study still have some importance in that it explored the origin of social capital of Korean society, which has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historical contexts from the West. This attempt can shed new lights on the discussion of existing knowledge of social capital, while providing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organisations, and govern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한말 조선을 방문했던 3인의 외국인 –이사벨라 비숍 (Isabella Bishop),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Michael Alexandrovich), 제임스 게일 (James Gale)- 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자본의 원형...

      본 연구는 구한말 조선을 방문했던 3인의 외국인 –이사벨라 비숍 (Isabella Bishop),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Michael Alexandrovich), 제임스 게일 (James Gale)- 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자본의 원형에 대해 탐색하는 한편, 이러한 논의가 한국 행정학에 주는 함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세기 말엽 한국을 방문했던 외국인들의 기록에서 공통으로 관찰되는 한국 사회 자본의 특징은 1) 상호의존적인 개인, 2) 수직적 네트워크와 사회구조, 그리고 3) 이로부터 파생되는 관계적 규범 -충, 효, 체면, 호혜적/관계적 규범-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특징은 독립적인 개인과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전제로 한 기존의 주류 사회자본 논의와는 근본적인 차이를 갖는다. 구한말 외국인들의 기록에 공통으로 발견되는 한국 사회자본의 원형은 몇몇 학자들이 한국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요소들로 지목하는 가족주의 (Fukuyama, 1995)나 유교적 전통 (Lew, 2013)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전통이 현재까지 우리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서구와는 상이한 문화, 구조, 역사적 맥락을 가진 한국사회의 사회자본 원형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 논의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으로 개인과 조직, 개인과 사회 및 국가의 관계를 조망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음사 1994

      2 이종열 ; 이재호, "한국의 중앙과 지방간 관계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14 (14): 845-865, 2002

      3 박종민 ; 배정현, "한국에서 단체는 민주주의의 학교인가?: 단체참여의 내부효과" 한국정치학회 42 (42): 121-141, 2008

      4 임현진, "한국사회의 구조론적이해" 아르케 411-445, 1999

      5 Bishop, I. B,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6

      6 임혜란, "한국, 일본, 대만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비교연구:클러스터에서의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16 (16): 105-135, 2007

      7 장현근, "중국 고대의 충군(忠君)사상과 충효(忠孝)관념의 정치화" 한국정치사상학회 21 (21): 75-97, 2015

      8 Gale, J. S, "조선, 그 마지막 10년의 기록" 책비 2018

      9 류수영 ; 이경묵, "유교적 가치와 리더에 대한 신뢰 : 위계적 선형모형분석을 통한 군자적 리더십과 집단의 공식화정도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인사조직학회 20 (20): 73-108, 2012

      10 류석춘, "유교와 연고" 북앤피플 2020

      1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음사 1994

      2 이종열 ; 이재호, "한국의 중앙과 지방간 관계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14 (14): 845-865, 2002

      3 박종민 ; 배정현, "한국에서 단체는 민주주의의 학교인가?: 단체참여의 내부효과" 한국정치학회 42 (42): 121-141, 2008

      4 임현진, "한국사회의 구조론적이해" 아르케 411-445, 1999

      5 Bishop, I. B,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6

      6 임혜란, "한국, 일본, 대만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비교연구:클러스터에서의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16 (16): 105-135, 2007

      7 장현근, "중국 고대의 충군(忠君)사상과 충효(忠孝)관념의 정치화" 한국정치사상학회 21 (21): 75-97, 2015

      8 Gale, J. S, "조선, 그 마지막 10년의 기록" 책비 2018

      9 류수영 ; 이경묵, "유교적 가치와 리더에 대한 신뢰 : 위계적 선형모형분석을 통한 군자적 리더십과 집단의 공식화정도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인사조직학회 20 (20): 73-108, 2012

      10 류석춘, "유교와 연고" 북앤피플 2020

      11 이재룡, "유교사회사상에서의 자유와 평등" 한국법철학회 5 (5): 173-186, 2002

      12 박희봉, "우리 나라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증진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측정과 분석을위한 시도" 34 (34): 219-237, 2001

      13 Henderson, G.,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한울아카데미 2000

      14 이영아,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인의 인종적 특질 연구-새비지 랜도어(Arnold H. Savage Landor)의『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을 중심으로" 이주사학회 3 : 5-37, 2010

      15 유재원,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9 (9): 23-43, 2000

      16 Alexandrovich, M. P, "러시아 외교관이 바라본 근대 한국" 동북아역사재단 2010

      17 안승택, "근현대 향촌사회에서 상여를 메던 ‘아랫것들’과 공동체의 ‘살갗’: 경기남부의 사례" 한국문화인류학회 52 (52): 53-97, 2019

      18 이헌창, "근대경제성장의 기반형성기로서 18세기 조선의 성취와 그 한계" 역사학회 (213) : 97-126, 2012

      19 신종한, "근대 신분제도의 변동과 일상생활의 재편 -형평운동과 백정들의 일상-" 동양학연구원 (47) : 209-229, 2010

      20 공미희, "근대 日本製新漢字語 유입을 통한 동북아해역의 지식교류 연구" 일본어문학회 (87) : 1-20, 2019

      21 최화인 ; 배수호, "공직윤리와 충(忠)" 한국행정학회 49 (49): 1-24, 2015

      22 유민봉 ; 심형인, "공무원이 조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체면 현상과 행위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적용하여" 한국행정학회 45 (45): 199-225, 2011

      23 羅 瓊娟, "東アジア企業の管理思想" (13) : 59-143, 2015

      24 大守 隆, "東アジアのソーシャルキャピタルとその地域統合への含意" 2 : 13-26, 2011

      25 Glanville, J. L., "Why does involvement in voluntary associations promote trust? Examining the role of network diversity" 86 (86): 29-50, 2016

      26 Jacques, M., "When China rules the world: The end of the western world and the birth of a new global order" Penguin 2009

      27 Nannestad, P., "What have we learned about generalized trust, if anything?" 11 : 413-436, 2008

      28 Fukuyama, F.,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Simon and Schuster 1995

      29 Newton, K., "Trust,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mocracy" 22 (22): 201-214, 2001

      30 Cross, R., "Tie and network correlates of individual performance in knowledge-intensive work" 47 (47): 928-937, 2004

      31 Tönnies, "The urban sociology reader" Routledge 16-22, 2012

      32 Granovetter, "The sociology of economic life" Routledge 22-45, 2018

      33 Haidt, J.,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Vintage 2012

      34 Putnam, R. D., "The prosperou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13 (13): 1993

      35 Khan, H. A., "The linkage between political trust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 An analysis" 39 (39): 665-675, 2016

      36 Fetzer, J. S., "The effect of Confucian values on support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in Taiwan" 3 (3): 143-154, 2007

      37 Fukuyama, F., "Social capital, civil society and development" 22 (22): 7-20, 2001

      38 Herrmann-Pillath, C., "Social capital, Chinese style: Individualism, relational collectivism and the cultural embeddedness of the institutions–performance link" 2 (2): 325-350, 2010

      39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S95-S120, 1988

      40 Diop, A., "Social capital and sense of neighbourhood belonging among Qatari nationals" 49 (49): 327-340, 2022

      41 Woolcock, M.,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27 (27): 151-208, 1998

      42 Yee, J., "Social Capital in Korea : Relational Capital, Trust, and Transparency" 24 (24): 30-47, 2015

      43 Oyserman, D., "Rethinking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128 (128): 3-, 2002

      44 Realo, A., "Radius of trust : Social capital in relation to familism and institutional collectivism" 39 (39): 447-462, 2008

      45 Hui, C. H., "Measuremen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22 (22): 17-36, 1988

      46 Barr, M. D., "Lee Kuan Yew and the"Asian values"debate" 24 (24): 309-334, 2000

      47 Lin, N., "Inequality in social capital" 29 (29): 785-795, 2000

      48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241-258, 1986

      49 Qi, X., "Guanxi, social capital theory and beyond : Toward a globalized social science" 64 (64): 308-324, 2013

      50 Boisot, M., "From fiefs to clans and network capitalism: Explaining China’s emerging economic order" 600-628, 1996

      51 Nowak, M. A., "Five rules for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314 (314): 1560-1563, 2006

      52 Tocqueville, A., "Democracy in America: And two essays on America" Penguin UK 2003

      53 Markus, H. R.,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98 (98): 224-, 1991

      54 White, L., "Connection matters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networks for social policy" 19 (19): 255-269, 2002

      55 Shin, D. C., "Confucianism and democratization in 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56 Spina, N., "Confucianism and democracy : A review of the opposing conceptualizations" 12 (12): 143-160, 2011

      57 Lin, N., "Building a network theory of social capital" 3-28, 2017

      58 Putnam, R.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and schuster 2000

      59 정재영, "20세기 후반 양반의 성격변화와 재실의 건립 -청도군 수야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7 (17): 103-137, 2014

      60 이영훈, "20 세기 전반 彦陽의 小農社會" 54 :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