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업급여 수급자 특성에 관한 연구: 삶의 기회와 노동 안정성 측면에서 = Who Benefits from Unemployment Benefit?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employment Benefit Recipients Focusing on the Life Chance and Labour Regula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6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benefit and life chance which can be defined as disparities in condition or chance one could get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position in hierarchical structure of labour market. In ad...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benefit and life chance which can be defined as disparities in condition or chance one could get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position in hierarchical structure of labour marke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life chance caused by whether one’s job is regular are also included because it can lead to alienation and exclusion not only in labour market but also in every day lif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At first, labour instability (non-regular work)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unemployment benefits. Secondly, the probability appeared to decrease as the total amount of labour income of households increases. At third, we tried to to check whether the probability increases when one’s occupational position decreases in hierarchy of labour market, but the result was not robust. At forth, the low robustness seemed to be caused by interaction which occupational position has with income or labour inst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실업급여 수급 여부와 개개인의 삶의 기회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때 삶의 기회는 포괄적 개념이 아닌, (노동)시장에서의 위계적 위치에 따른 차등적이며 독점적인 조건과 ...

      본 연구는 실업급여 수급 여부와 개개인의 삶의 기회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때 삶의 기회는 포괄적 개념이 아닌, (노동)시장에서의 위계적 위치에 따른 차등적이며 독점적인 조건과 기회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일터에서는 물론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소외와 배제 현상을 가져온다고 지적되는 노동 불안정성에 따른 기회 차이 역시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인의 실업급여 수급 확률을 설명하는 데 있어 노동 불안정성(비정규직 여부)이 가장 핵심적 요인이었다. 둘째, 가구의 노동소득 총액이 증가할수록 수급 확률은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노동시장 구조를 직업위치(occupational position)를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표현한 후, 개인의 위치가 하향함에 따라 실업급여 수급 확률은 높아지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나, 그 결과는 그리 견고하지 않았다. 넷째, 이러한 직업위치와 실업급여 수급 간 관계의 낮은 견고성은 직업위치가 불안정성이나 소득과 갖는 상호작용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대창, "한국의 구직급여 수급률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9 (39): 1-31, 2016

      2 정의룡, "한국 고용보험제도의 효과성 분석: 근로연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03-128, 2015

      3 유길상, "한국 고용보험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정책수혜대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2 (12): 175-200, 2003

      4 김상배, "프랑스 실업보험제도 개편 내용" 11 (11): 56-62, 2013

      5 김규혜, "청년 자영업자의 소득 및 사회보험 불안정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285-317, 2020

      6 박나리 ; 김교성, "청년 불안정성의 궤적과 유형: 20대 청년의 고용, 소득, 부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8 (28): 45-74, 2021

      7 이승윤 ; 박성준 ; 정주성 ; 박종식, "작은사업장 노동자의 불안정성과 법ㆍ사회보장제도 경험" 한국산업노동학회 27 (27): 41-89, 2021

      8 김현경, "유연안정성 모델 국가들의 코로나19 대응 노동정책: 덴마크와 네덜란드" 13 : 36-46, 2020

      9 이정희, "영국 노동연계복지 정책의 비판적 검토" 11 (11): 66-75, 2013

      10 매일경제, "실직 급증에 고용기금 고갈 위기, 정부, 실업급여 개편 나서"

      1 이대창, "한국의 구직급여 수급률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9 (39): 1-31, 2016

      2 정의룡, "한국 고용보험제도의 효과성 분석: 근로연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03-128, 2015

      3 유길상, "한국 고용보험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정책수혜대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2 (12): 175-200, 2003

      4 김상배, "프랑스 실업보험제도 개편 내용" 11 (11): 56-62, 2013

      5 김규혜, "청년 자영업자의 소득 및 사회보험 불안정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7 (27): 285-317, 2020

      6 박나리 ; 김교성, "청년 불안정성의 궤적과 유형: 20대 청년의 고용, 소득, 부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8 (28): 45-74, 2021

      7 이승윤 ; 박성준 ; 정주성 ; 박종식, "작은사업장 노동자의 불안정성과 법ㆍ사회보장제도 경험" 한국산업노동학회 27 (27): 41-89, 2021

      8 김현경, "유연안정성 모델 국가들의 코로나19 대응 노동정책: 덴마크와 네덜란드" 13 : 36-46, 2020

      9 이정희, "영국 노동연계복지 정책의 비판적 검토" 11 (11): 66-75, 2013

      10 매일경제, "실직 급증에 고용기금 고갈 위기, 정부, 실업급여 개편 나서"

      11 엄현택 ; 이창원, "실업급여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수급기간과 지급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9 (19): 341-362, 2010

      12 김지운, "실업급여의 소비평탄화 효과 분석" 한국경제학회 66 (66): 133-165, 2018

      13 방형준, "실업급여의 경제적 효과" 17 (17): 51-60, 2019

      14 유길상, "실업급여가 재취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제연구학회 12 : 89-112, 2004

      15 윤정양, "실업급여가 재고용에 끼치는 정책적 효과" 1 (1): 43-55, 2008

      16 고용노도부, "실업급여5년간3회 이상 반복수급, 급여액 절반까지 깎는다"

      17 이병희, "실업급여 지급기간의 일자리 매칭 효과" 한국산업노동학회 21 (21): 163-189, 2015

      18 박진희, "실업급여 수급자 및 비수급자 특성과 노동시장 성과" 한국고용정보원 2016

      19 강철희, "실업급여 수급권자의 실업 기간과 재취업에 관한 실증 연구:: 모수적생존모델(Log-Normal) 을 이용 분석" 3 : 1-31, 2002

      20 경향신문, "실업급여 3회부터 제재, ‘선의의 피해’ 우려에도 노동부는 왜"

      21 서울신문, "실업급여 3회 수급부터 급여액 삭감, 사회안전망 약화 우려"

      22 장상수, "세대내 계급이동" 한국사회학회 37 (37): 21-50, 2003

      23 이준석, "사회이동을 통한 기회 불평등 분석: OED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20

      24 김철희, "빈곤층의 직업훈련과 실업급여 효과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0 (20): 173-204, 2004

      25 국세신문, "만시지탄(晩時之歎) 실업급여 대책"

      26 최희경, "덴마크 적극적 노동시장정책(ALMP)의 실용교육 기제 탐색: 유연안전성 모형의 변환 사례"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7) : 41-94, 2021

      27 조성익, "데이터기반 미래숙련 전망체계 구축(2021)"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1

      28 Schulte, L., "노동연계복지제도의 대안으로서 사회통합제도: 파리근교 지역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16 (16): 42-54, 2018

      29 장민,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청년실업에 미치는 영향" KIF 1-60, 2019

      30 박명준, "노동불평등 해소를 위한 ‘일자리 관계’의 재구성: ‘다면적 교섭’을 통한 노동시장의 포괄적 안정화 전략" 비판사회학회 (119) : 42-72, 2018

      31 연합뉴스, "노동부, 실업급여 부정수급 고강도 단속"

      32 박순일, "공적 소득보장제도 사각지대의 빈곤층의 소득보장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1

      33 김대환, "고용친화적 사회경제정책으로의 전환: 유연안전화 체제의 구축"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 (20): 1-20, 2010

      34 방하남 ; 남재욱,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와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실업급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51-79, 2016

      35 "고용보험 홈페이지"

      36 양승엽, "고령자의 실업급여 적용 배제에 대한 위헌성 여부: 헌법재판소 2018. 6. 28. 2017헌마238 결정" 67 : 223-226, 2018

      37 신광영, "계급이동과 소득이동" 123-134, 2007

      38 신광영, "계급과 스펙경쟁" 81-96, 2012

      39 "경제활동인구조사"

      40 김창민 ; 김은경 ; 신광영, "가구구조와 소득불평등" 한국인구학회 43 (43): 31-59, 2020

      41 Standing, G., "Why the precariat is not a "bogus concept""

      42 Williams, J. C., "White Working Class: Overcoming Class Cluelessness in America" Harvard Business Press 2017

      43 Anderson, P. M., "Unemployment insurance takeup rates and the aftertax value of benefits" 112 (112): 913-937, 1997

      44 Mortensen, D. T., "Unemployment insurance and job search decisions" 30 (30): 505-517, 1977

      45 Atkinson, A. B., "Unemployment compensation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 a critical review" 29 (29): 1679-1727, 1991

      46 Hagedorn, M., "Unemployment benefits and unemployment in the great recession: the role of macro effects (No. w19499)"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3

      47 Currie, J., "The take up of social benefit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4

      48 Sager, F., "The polity of implementation :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policy implementation" 35 (35): 347-364, 2022

      49 Petrongolo, B., "The long-term effects of job search requirements: Evidence from the UK JSA reform" 93 (93): 1234-1253, 2009

      50 Goldthorpe, J. H., "The economic basis of social class" 109-136, 2006

      51 Di Tella, R., "The determination of unemployment benefits" 20 (20): 404-434, 2002

      52 Feldstein, M., "Temporary layoffs in the theory of unemployment" 84 (84): 937-957, 1976

      53 Goldthorpe, J. H., "Social class mobility in modern Britain : Changing structure, constant process" 4 : 89-111, 2016

      54 Kalleberg, A. L., "Precarious work and the challenge for Asia" 57 (57): 271-288, 2013

      55 Dreyfus, H. L., "Michel Foucault: Beyond structuralism and hermeneutics" Routledge 2014

      56 Levi-strauss, "L'Anthropologie face aux problèmes du monde modern" 문예출판사 2011

      57 Kenworthy, L., "Inequality and Sociology" 50 (50): 584-605, 2007

      58 Evans, G., "In search of the wage-labour/service contract : new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 Goldthorpe class schema" 51 (51): 641-661, 2000

      59 Cornwell, B., "If Parsons had Pajek : The Relevance of Midcentury Structural-Functionalism to Dynamic Network Analysis" 17 : 1-33, 2016

      60 Breen, R., "Foundations of a neo-Weberian class analysis" 31-50, 2005

      61 Giddens, A, "Essential concepts in Sociology" 을유문화사 2013

      62 한국경제, "10만명이 실업급여 여러번 타갔다, 홍석준 “도덕적 해이 근절해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