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소련 영향력의 증감과 북한 노동자의 대응 =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Soviet influence and the response of North Korean workers in the 195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50년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 변화가 북한의 기층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북한의 인민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76098165 50년대 전반 북한은 소련 등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원조를 통해 빠른 전후복구와 산업화를 추구하였다. 그렇기에 소련을 따라 배우기가 가장 강조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1950년대 중반 소련의 간섭에 반발하며 북한 정권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시도하였다. 소련 또한 북한에 대한 원조를 대폭 축소하며 북한을 압박하였다. 그 결과 북한은 소련의 도움 없이도 운영될 수 있는 ‘자립경제’를 추구하였다. 이런 일련의 변화는 생산현장의 노동자들이 가장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전후복구 시기에 소련으로부터 거액의 원조를 받았으며, 그 대부분이 산업 분야에 각종 기계, 설비, 공장, 기술과 작업 방법 등의 형태로 도입되었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새로운 기계와 기술, 작업 방법을 익히고 적응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북한 노동자들은 소련의 기계를 사용하는 데서 생기는 문제들을 주체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했다. 쉽게 적응해 나간 노동자들도 있었지만, 기존에 익숙한 기계나 작업 방법을 고수하는 노동자들도 나오는 등 소련제 도입에 대한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소련의 원조가 급감하는 가운데 강행된 중공업 중심의 제1차 5개년계획은 노동자들의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을 요구하였다. 원조 급감은 곧 외화 부족을 의미하였기에 노동자들은 전방위적으로 물자를 절약해야 하였다. 특히 수입에 의존했던 석탄·휘발유 등 연료를 절약하기 위한 노력이 크게 경주되었다. 노동자들은 북한에서 생산 가능한 무연탄을 사용하여 수입 석탄을 대체하여야 하였으며, 휘발유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체 연료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만들어냈다. 또한 수입에 의존하였던 각종 기계·설비의 국산화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계 공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이 시기 노동자들은 자체의 기술과 노력만으로 자동차, 트랙터 등의 생산에 성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50년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 변화가 북한의 기층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북한의 인민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76098165 50년대 전...

      본 연구는 1950년대 북한과 소련과의 관계 변화가 북한의 기층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북한의 인민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76098165 50년대 전반 북한은 소련 등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원조를 통해 빠른 전후복구와 산업화를 추구하였다. 그렇기에 소련을 따라 배우기가 가장 강조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1950년대 중반 소련의 간섭에 반발하며 북한 정권은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시도하였다. 소련 또한 북한에 대한 원조를 대폭 축소하며 북한을 압박하였다. 그 결과 북한은 소련의 도움 없이도 운영될 수 있는 ‘자립경제’를 추구하였다. 이런 일련의 변화는 생산현장의 노동자들이 가장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전후복구 시기에 소련으로부터 거액의 원조를 받았으며, 그 대부분이 산업 분야에 각종 기계, 설비, 공장, 기술과 작업 방법 등의 형태로 도입되었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새로운 기계와 기술, 작업 방법을 익히고 적응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북한 노동자들은 소련의 기계를 사용하는 데서 생기는 문제들을 주체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했다. 쉽게 적응해 나간 노동자들도 있었지만, 기존에 익숙한 기계나 작업 방법을 고수하는 노동자들도 나오는 등 소련제 도입에 대한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소련의 원조가 급감하는 가운데 강행된 중공업 중심의 제1차 5개년계획은 노동자들의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을 요구하였다. 원조 급감은 곧 외화 부족을 의미하였기에 노동자들은 전방위적으로 물자를 절약해야 하였다. 특히 수입에 의존했던 석탄·휘발유 등 연료를 절약하기 위한 노력이 크게 경주되었다. 노동자들은 북한에서 생산 가능한 무연탄을 사용하여 수입 석탄을 대체하여야 하였으며, 휘발유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체 연료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만들어냈다. 또한 수입에 의존하였던 각종 기계·설비의 국산화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계 공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이 시기 노동자들은 자체의 기술과 노력만으로 자동차, 트랙터 등의 생산에 성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change i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 had an effect on the North Korean basement society, and how the North Korean people responded to it. In the early 1950s, North Korea pursued rapid post-war restor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aid of socialist countries such as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was also a period when learning the Soviet Union was most emphasized. However, in response to Soviet intervention in the mid-1950s, the North Korean regime tried to escape from Soviet influence. The Soviet Union also pressed North Korea by drastically reducing aid to North Korea. As a result, North Korea pursued an “independent economy” that could operate without the help of the Soviet Union. This series of changes was most realized by the workers in the production site. During the post-war restoration period, large amounts of aid were received from the Soviet Union, and most of them were introduced into the industrial field in the form of various machines, facilities, factories, technologies and work methods. Therefore, workers had to learn and adapt to new machines, technologies and working methods. In the process, North Korean workers had to resolve problems arising from the use of Soviet machinery. There were workers who had adapted easily, but there were also workers who adhered to the machines and working methods that were familiar to the past. Amid a sharp decline in Soviet aid, the first five-year plan focused on heavy industry demanded active and dedicated efforts from workers. A sharp drop in aid meant a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so workers had to save supplies in all directions. In particular, efforts to conserve fuel such as coal and gasoline, which were dependent on imports, were made great efforts. Workers had to use anthracite that could be produced in North Korea to replace imported coal, and to reduce the use of gasoline, they created cars that run on alternative fuels. In addition, the localization of various machinery and equipment, which depended on imports, also proceeded in earnest. Thanks to the growth of the machinery industry, workers in this period succeeded in producing automobiles and tractors with only their own skills and effor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change i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 had an effect on the North Korean basement society, and how the North Korean people responded to it. In the early 1950s, North Korea pursued ra...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change i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 had an effect on the North Korean basement society, and how the North Korean people responded to it. In the early 1950s, North Korea pursued rapid post-war restor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aid of socialist countries such as the Soviet Union. Therefore, it was also a period when learning the Soviet Union was most emphasized. However, in response to Soviet intervention in the mid-1950s, the North Korean regime tried to escape from Soviet influence. The Soviet Union also pressed North Korea by drastically reducing aid to North Korea. As a result, North Korea pursued an “independent economy” that could operate without the help of the Soviet Union. This series of changes was most realized by the workers in the production site. During the post-war restoration period, large amounts of aid were received from the Soviet Union, and most of them were introduced into the industrial field in the form of various machines, facilities, factories, technologies and work methods. Therefore, workers had to learn and adapt to new machines, technologies and working methods. In the process, North Korean workers had to resolve problems arising from the use of Soviet machinery. There were workers who had adapted easily, but there were also workers who adhered to the machines and working methods that were familiar to the past. Amid a sharp decline in Soviet aid, the first five-year plan focused on heavy industry demanded active and dedicated efforts from workers. A sharp drop in aid meant a shortage of foreign currency, so workers had to save supplies in all directions. In particular, efforts to conserve fuel such as coal and gasoline, which were dependent on imports, were made great efforts. Workers had to use anthracite that could be produced in North Korea to replace imported coal, and to reduce the use of gasoline, they created cars that run on alternative fuels. In addition, the localization of various machinery and equipment, which depended on imports, also proceeded in earnest. Thanks to the growth of the machinery industry, workers in this period succeeded in producing automobiles and tractors with only their own skills and effo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소련 학습을 통한 전후 복구 건설과 산업화 추진 3. 제1차 5개년계획과 소련으로부터의 ‘탈피’ 4. 맺음말 참고문헌
      • 1. 머리말 2. 소련 학습을 통한 전후 복구 건설과 산업화 추진 3. 제1차 5개년계획과 소련으로부터의 ‘탈피’ 4. 맺음말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초머 모세,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1956년 헝가리 혁명과 북한 유학생들" 지문당 2013

      2 백준기,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I"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3 심지화, "최후의 천조 : 모택동·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선인 2017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령 및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집 3(一九五四년)" 1955

      5 "조선문학"

      6 윤명수, "조선과학기술발전사(해방후편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4

      7 방기중, "정부 수립기 북한의 국가 자주성 인식" 국학연구원 (143) : 301-325, 2008

      8 조수룡,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9 조수룡,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재단 (56) : 246-287, 2017

      10 한성훈, "전쟁과 인민" 돌베개 2012

      1 초머 모세,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1956년 헝가리 혁명과 북한 유학생들" 지문당 2013

      2 백준기,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 I"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3 심지화, "최후의 천조 : 모택동·김일성 시대의 중국과 북한" 선인 2017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령 및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집 3(一九五四년)" 1955

      5 "조선문학"

      6 윤명수, "조선과학기술발전사(해방후편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4

      7 방기중, "정부 수립기 북한의 국가 자주성 인식" 국학연구원 (143) : 301-325, 2008

      8 조수룡,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9 조수룡,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재단 (56) : 246-287, 2017

      10 한성훈, "전쟁과 인민" 돌베개 2012

      11 "인민"

      12 "우리들의 작업합리화" 로동자신문사 1954

      13 김진혁,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45-1958): ‘소련배우기’와 ‘주체적’ 발전의 틈새에서" 대한의사학회 28 (28): 139-190, 2019

      14 정진아, "북한이 수용한 ‘사회주의 쏘련’의 이미지" 평화문제연구소 22 (22): 140-168, 2010

      15 "북한관계사료집 73~74" 국사편찬위원회 2013

      16 김재웅, "북한 체제의 기원 : 인민 위의 계급, 계급 위의 국가" 역사비평사 2018

      17 이시연, "북한 원조의 정치 경제학 : 1950년대 소련 중국 동유럽 사례" 이화여자대학교 2019

      18 강호제, "북한 과학기술 형성사" 선인 2007

      19 김보근, "북한 '천리마 노동과정' 연구 : '소련식 테일러주의'의 도입·변질 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0 서동만,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1945~1961" 선인 2005

      21 "로동자신문"

      22 "로동신문"

      23 과학원역사연구소근세및최근세사연구실, "력사론문집 제4집(사회주의건설편)" 과학원출판사 1960

      24 김선안, "러시아문서 번역집 XXIX – 러시아연방대외정책문서보관소(АВПР), 러시아국립사회정치사문서보관소(РГАСПИ)" 선인 2017

      25 조창호, "돌아온 死者" 지호 1995

      26 남성욱, "남북경협을 대비한 북한 지하자원의 관리체계와 관한 연구: 철, 석탄, 아연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27 "근로자"

      28 원도중, "강철 전사의 수기" 직업동맹출판사 1963

      29 "北韓最高人民會議資料集" 國土統一院 1988

      30 Agov, Avram Asenov, "North Korea in the Socialist World: Integration and Divergence, 1945-1970"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10

      31 백준기,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32 동지에, "1950~1960년대 북한 산업연수생의 북경 연수활동" 심연북한연구소 15 (15): 7-38, 2012

      33 이세영,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국학연구원 (174) : 1-31, 2016

      34 신효숙, "'조·소과학기술협력위원회' 자료로 본 북·러 과학기술협력" 북한대학원대학교 8 (8): 31-7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7 2.15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