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군 항공기 소음이 초등학생의 소음 민감도,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65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군 항공기 소음에 노출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정서상태 및 아동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평가를 통해 항공기 소음 노출과 초등학생의 정서 및 행동과의 ...

      본 연구는 공군 항공기 소음에 노출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정서상태 및 아동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평가를 통해 항공기 소음 노출과 초등학생의 정서 및 행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먼저 소음노출 지역과 대조지역간 주간 소음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음으로 항공기 소음노출 지역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272명과 학부모 272명, 대조지역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91명과 학부모 91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은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정신심리적 특성 및 학부모는 소음에 대한 민감도 및 초등학생에 대한 행동평가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항공기 이착륙관련 환경소음은 수준은 노출지역의 주중 주간 소음수준(Leg55)은 평균 67.6 dB(A)으로 대조지역의 소음수준 57.1 dB(A), 58.2 dB(A), 60.2 dB(A)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군에서 초등학생의 소음 민감도 점수는 15.1점으로 대조군의 16.6점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6). 또한 노출군에서 초등학생의 간이정신진단점수는 18.6점으로 대조군의 20.5점에 비해 낮았으나 역시 유의성은 없었다(p=0.165). 노출군에서 학부모에 의한 초등학생 행동평가점수는 15.5점으로 대조군의 13.2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43). 노출군에서 부모의 소음민감도 점수는 27.5점으로 대조군 학부모의 민감도 점수 24.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45).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초등학생 행동평가는 실제 소음노출에 의한 영향보다는 부모의 소음에 대한 민감도가 학생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군 항공기 소음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건강영향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aircraft noise on the behavior and affect status of the loc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daytime noise levels of the exposed and control areas were compared and the self answered questionn...

      Objectives :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aircraft noise on the behavior and affect status of the loc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daytime noise levels of the exposed and control areas were compared and the self answered questionnaires from 272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the exposed area and 91 of the control area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re regarding the noise sensitivity and the psychosocial status of the students, noise sensitivity of the parents and the parents" behavioral evaluation for their children.
      Results : The mean noise level of the exposed area (67.6 dB(A)) showed higher level than the control area (57.1 dB(A), 58.2 dB(A), 60.2 dB(A))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score for noise sensitivity and the mean score for brief mental exam. in the exposed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mean scores in the control group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6 & 0.165). The mean score for behavioral evaluation of students by their parents in the exposed area(15.5)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control group(13.2)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3). The mean score for noise sensitivity in the exposed parent(27.5)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control group(24.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5).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oise sensitivity of the parents affected the behavioral evaluation of the students than noise-exposure itself.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noise and it"s effect on children"s heal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미, "항공기 소음이 아동의 인지기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2000

      2 강대준, "항공기 소음 예측. 한국소음진동공학회 98년 춘계학술대회"

      3 충북지역환경기술센터, "충주 공군 비행장 주 변지역의 소음 영향 조사 연구"

      4 환경부, "소음에 의한 가축피해 평가방안에 관 한 연구"

      5 "소음·진동규제법"

      6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89

      7 Lee JH, "Yang SR, Lee CR, Yoy CI. Cohort study for the effect of chronic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mong male workers" 35 (35): 205-213, 2002

      8 Baxter JD, "Will the increased military low-level flying activity in Labrador be detrimental to the hearing of humans in the region?" 18 (18): 68-73, 1989

      9 van Kamp I, "The role of noise sensitivity in the noise-response relation: a comparison of three international airport studies" 116 (116): 3471-3479, 2004

      10 DeJoy DM, "The nonauditory effects of noise: review and perspectives for research" 24 (24): 123-150, 1984

      1 조선미, "항공기 소음이 아동의 인지기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2000

      2 강대준, "항공기 소음 예측. 한국소음진동공학회 98년 춘계학술대회"

      3 충북지역환경기술센터, "충주 공군 비행장 주 변지역의 소음 영향 조사 연구"

      4 환경부, "소음에 의한 가축피해 평가방안에 관 한 연구"

      5 "소음·진동규제법"

      6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89

      7 Lee JH, "Yang SR, Lee CR, Yoy CI. Cohort study for the effect of chronic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mong male workers" 35 (35): 205-213, 2002

      8 Baxter JD, "Will the increased military low-level flying activity in Labrador be detrimental to the hearing of humans in the region?" 18 (18): 68-73, 1989

      9 van Kamp I, "The role of noise sensitivity in the noise-response relation: a comparison of three international airport studies" 116 (116): 3471-3479, 2004

      10 DeJoy DM, "The nonauditory effects of noise: review and perspectives for research" 24 (24): 123-150, 1984

      11 Han SH, "The effects of aircraft noise on the hearing loss, blood pressure and response to psychological stress" 30 (30): 356-368, 1997

      12 Bronzaft AL, "The effect of elevated train noise on reading ability" 7 : 517-527, 1975

      13 Lee JS, "The aircraft noise pollution and its social issue management" 13 (13): 231-248, 2001

      14 Haines MM, "The West London Schools Study: the effects of chronic aircraft noise exposure on child health" 31 (31): 1385-1396, 2001

      15 Cameron P, "Sound pollution, noise pollution and health: Community parameters" 56 (56): 67-74, 1972

      16 Jung SJ, "Related factors of high frequency hearing loss in the noise-exposed male workers" 12 (12): 187-197, 2000

      17 Cohen S, "Physiological, motivational, and cognitive effects of aircraft noise on children" 35 : 231-243, 1980

      18 Cohen S, "Nonauditory effects or noise on behaviour and health" 37 : 36-70, 1981

      19 Stansfeld SA, "Noise, noise sensitivity and psychiatric disorder: epidemi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al studies" 22 : 1-44, 1992

      20 Miedema HM, "Noise sensitivity and reactions to noise and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113 (113): 1492-1504, 2003

      21 Andrus WS, "Kerrigan ME, Kird KT. Hearing and para-airport children" 46 (46): 740-742, 1975

      22 Lee KJ, "Health effects of aircraft noise onresidents living near an airport" 11 (11): 534-545, 1999

      23 Green KB, "Effects of aircraft noise on reading ability of school-age children" 37 (37): 24-31, 1982

      24 Weinstein ND, "Community noise problems: evidence against adaptation" 2 : 87-98, 1982

      25 Matsui T, "Children's cognition and aircraft noise exposure at home-the West London Schools Study" 7 (7): 49-58, 2004

      26 Brener J, "Behavioural energetics: some effects of uncertainty on the mobilization and distribution of energy" 24 (24): 499-512, 1987

      27 Eriksson C, "Aircraft noise and incidence of hypertension" 18 (18): 716-721, 2007

      28 Cho SI, "A study on the effect of noise exposure to the health of a population" 12 (12): 153-164,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지 ->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2 2.09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