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폐색영역 검출 및 복원 기술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8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트윈의 중요한 요소는 실제 객체에 대한 폐색영역이 없는 실감형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하지만 3차원 공간정보 모델링에서는 촬영 각도와 촬영 시기로 인해 필연적...

      디지털트윈의 중요한 요소는 실제 객체에 대한 폐색영역이 없는 실감형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하지만 3차원 공간정보 모델링에서는 촬영 각도와 촬영 시기로 인해 필연적으로 폐색영역이 발생한다. 이에 최신 기술인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특정객체의 검출과 이를 제거하고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모델 중에서 ResNet 알고리즘을 사용하 폐색 유발 객체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텍스처링 영상에서 검출된 폐색영역을 삭제하여 특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건물의 텍스처링 영상에서 폐색영역을 복원하는 복원 기술을 개발하였다. 실험데이터는 건물 모델링에서 가장 많은 폐색을 유발하는 가로수를 대상으로 최신모델인 ResNet 학습모델을 사용하여 폐색영역을 유발하는 가로수 객체 데이터셋을 만들고 자동으로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ResNe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정형 데이터인 가로수를 검출할 수 있으며, DeepFillv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로수를 제거하고 인접 픽셀을 이용하여 상가와 아파트 텍스처링 영상을 복원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mportant element of a digital twin is to model and provide realistic spatial information without an occluded area for real objects. In 3D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however, an occluded area inevitably occurs due to the shooting angle and shoot...

      An important element of a digital twin is to model and provide realistic spatial information without an occluded area for real objects. In 3D spatial information modeling, however, an occluded area inevitably occurs due to the shooting angle and shooting time. In this regard, this study implemented a technology that can detect a specific object using the latest technology, AI, and remove and in-paint it. In this study, the occlusion-causing object was automatically detected using the ResNet algorithm and the occlusion area in-painting in the texturing image. For the experimental data, the ResNet algorithm was applied to street trees that cause the most occlusion in building modeling to produce a street tree dataset and automatically det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treet trees, which are unstructured data, can be detected using the ResNet algorithm and removed using the DeepFillv2 algorithm, producing texturing images of shops and apartments that are restored using the adjacent pix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디지털트윈과 3차원 공간정보
      • 3. ResNet 검출 알고리즘 및 Deepfill v2 복원 알고리즘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디지털트윈과 3차원 공간정보
      • 3. ResNet 검출 알고리즘 및 Deepfill v2 복원 알고리즘
      • 4. 폐색영역 검출 및 복원 기술개발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