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한국어능력시험의 말하기 평가 도입 방안 제안 -ACTFL-OPI의 말하기 평가를 중심으로- = Introduction of the Proposed Evaluation Speaking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Focusing on the assessment of speaking ACTFL-OP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5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든 언어는 그에 맞는 평가가 존재한다. 한국어 역시 그에 맞는 평가가 있다. 이러한 평가는 교수자에게는 교수법에 대한 변화를 구축할 수있고 학습자에게는 다음 단계를 위한 준비가 될 ...

      모든 언어는 그에 맞는 평가가 존재한다. 한국어 역시 그에 맞는 평가가 있다. 이러한 평가는 교수자에게는 교수법에 대한 변화를 구축할 수있고 학습자에게는 다음 단계를 위한 준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이 진행 된지도 20년이 다되어간다.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평가 역시 많은 개선방향을 통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학습자들에게는 한국어능력시험이 한국어를 평가할 수 있는 유일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한국어능력시험에 학습자의 말하기를 평가할 수있는 그 기준이나 말하기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계속 제언만을 하고 있다. 2004년부터 말하기 평가의 도입방안에 대한 또는 말하기 평가 연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지만 모두 성취도 평가에서의 말하기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가 다수이고 숙달도 평가에서의 말하기 평가에 대한 연구들은 현재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외국어 말하기 평가 ACTFL을 활용한 말하기 평가의 연구가 가장 많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말하기 평가 도입 방안에 대해 현재 국내 및 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외국어 말하기 평가의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에서 말하기 평가 도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 languages exist rated accordingly. Korean also has evaluated accordingly. These assessments will be ready for the next step for the learner can build a change in the teaching methods for instructors.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is this al...

      All languages exist rated accordingly. Korean also has evaluated accordingly. These assessments will be ready for the next step for the learner can build a change in the teaching methods for instructors.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is this all goes this proceeding became 20 years.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has reached the current rating also improved through a number of directions.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for this has been the only criterion for evaluating a Korean. But he has yet to say or evaluation criteria to assess the learner``s speaking 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s only a suggestion and continue not carried out.Since 2004, saying a lot of research on, or speaking assessment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easures of assessment, but both numerous studies on speaking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research for speech evaluation in proficiency assessments are currently the most actively made the study of foreign language speaking a speaking assessment utilizing the evaluation ACTFL most often. In this study, we propose a speech evaluation when introducing improvements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now look at the situation of foreign language speaking ongoing evaluation from domestic and abroad meet him for speaking assessment measures introduced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