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 -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 A Portrait of the Bodiless Worker -A Study of the Discourses of the 1980s South Korean Labor Litera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노동과 공적인 시간이 아닌, 비일상적인 일탈의 시간 경험이나 기억에서 ‘의미’를 추구하는 근대문학이 근대의 이원성의 세계를 구조화하고 있다면, 노동문학은 노...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노동과 공적인 시간이 아닌, 비일상적인 일탈의 시간 경험이나 기억에서 ‘의미’를 추구하는 근대문학이 근대의 이원성의 세계를 구조화하고 있다면, 노동문학은 노동 이라는 대표적인 공적인 시간에서 ‘의미’의 회복을 촉구한다. 그런 점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서사는 근대적 이원성의 극복을 요구한 서사시적 충동을 지녔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1980 년대 한국의 노동문학(론)은 거기에 고유한 딜레마가 있음을 드러냈다. 그 딜레마란, 노동(자)을 사회적, 정치적으로 의미화, 정당화하기 위해 노동현장을 떠난, 노동하기를 멈춘 노동자를 불가피하게 그려야 하며, 또 불가피하게 그 내러티 브는 노동으로의 복귀로 귀결되어야 한다는 것 이었다. 이는 당시 리얼리즘을 기율로 삼은 노동문학론에서 제기된 ‘총체성’ 또는 ‘전위’의 시각에 대 한 요청이 지닌 딜레마로 드러났다. 1989년 발표된 홍희담의 깃발 의 노동자 형상과 그것을 둘러싼 비평, 노동자 시인 박노해의 행로를 둘러싼 담론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 작품은 1970년대중후반 민주노조운동만이 아니라, 작중 시간으로는 미래인 1987년 노동자대투쟁까지 노동운 동의 역사와 그것에 대한 급진적인 시각을 작품에 기입하였다. 그러나 이 작품의 총체성은 거기 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광주항쟁’을 선진적 노동자의 역사순례의 시공이자 유훈으로 삼는 것을 통해 구현되었다. 한편, 1984년 『노동의 새벽』으로 찬사 받았던 그가 노동자전위조직의 전위로서 행한 언어적 문학적 역능에 기반한 선전 활동은 노동현장과 자본-임노동의 모순을 뛰어 넘어 분단과 통일운동, 광주항쟁 등을 포괄한 광범위한 것이었지만, 노동현실, 노동조직으로부터의 유리와 관념성이라는 이유로 비판받았다. 이 사례는 ‘노동자 시인’에서 더욱 중요하게 간주되는 신원이 ‘노동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달 리 말하자면, ‘노동자’라는 사회적 신원이나 기원이 그의 언어적 문학적 활동에 제한이나 구속을 부여하는 기제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요컨대, 노동문학은 그 고유한 딜레마 속에서 창출된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을 궁극적으로는 억압함으로써 주체화 양식의 이름으로 서의 프롤레타리아를 사회적 기원의 동일성으로 돌려버리는 한계를 노정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was a dilemma in the labor literature that predominantly portrayed the higher, solemn objective of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proletariat, as this could not be done without representing the hours that lie outside the ...

      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was a dilemma in the labor literature that predominantly portrayed the higher, solemn objective of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proletariat, as this could not be done without representing the hours that lie outside the temporal and spatial framework of the workplace, and how the mobility gained by abandoning the workplace should contribute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tion of the working class. This representative method or intention of the labor literature that emerged from the interaction of Marxist revolution theory with the mass movements of the Korean working-class in the 1980s inevitably divided the portrayal of workers into a vision of a revolutionary vanguard and of the collective bodies of the working class. A worker needed be more than his or her self, and this epic collectiveness of the proletariatThis paper suggests that there was a dilemma in the labor literature that predominantly portrayed the higher, solemn objective of social revolution through the proletariat, as this could not be done without representing the hours that lie outside the temporal and spatial framework of the workplace, and how the mobility gained by abandoning the workplace should contribute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tion of the working class. This representative method or intention of the labor literature that emerged from the interaction of Marxist revolution theory with the mass movements of the Korean working-class in the 1980s inevitably divided the portrayal of workers into a vision of a revolutionary vanguard and of the collective bodies of the working class. A worker needed be more than his or her self, and this epic collectiveness of the proletariat was not easy to accomplish. When re-reading the critical discourses of Hong Hee-dam``s novel The Flag (「깃발」), whose protagonist is a female factory worker who protested against a massacre by the military and died in a province building in the Gwangju uprising of May 1980, or when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Park No-hea, who transformed a worker into a poet and went on to became a revolutionary after the great labor struggle of 1987, it became strongly apparent that a portrait of the bodiless or non-working worker who speaks, reads, and writes about Marxist and revolutionary theories was repressed by the capital-state power, of course, and paradoxically under the name of the proletariat. was not easy to accomplish. When re-reading the critical discourses of Hong Hee-dam``s novel The Flag (『깃발』), whose protagonist is a female factory worker who protested against a massacre by the military and died in a province building in the Gwangju uprising of May 1980, or when considering the activities of Park No-hea, who transformed a worker into a poet and went on to became a revolutionary after the great labor struggle of 1987, it became strongly apparent that a portrait of the bodiless or non-working worker who speaks, reads, and writes about Marxist and revolutionary theories was repressed by the capital-state power, of course, and paradoxically under the name of the proletaria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해근,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비 2001

      2 오하나, "학출 - 1980년대 공장으로 간 대학생들" 이매진 2010

      3 백낙청,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창비 2006

      4 김명인, "지식인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풀빛 1 : 1987

      5 최원식, "좌담 : 민족문학과 민중문학" 59 (59): 1988

      6 김명인, "좌담 : ’88년 상반기 소설작품을 중심으로 한 민족문학 주체논쟁" 열음사 1 : 1988

      7 김원, "전태일 분신과 80년대 ‘노동열사’ 탄생의 서사들" 민족문학사학회 (59) : 105-143, 2015

      8 김영수, "전노협 1990~1995" 한내 2013

      9 김원, "여공 1970, 그녀들의 반 역사" 이매진 2006

      10 김예림, "어떤 영혼들: 산업노동자의 "심리" 혹은 그 너머" 상허학회 40 : 339-380, 2014

      1 구해근,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비 2001

      2 오하나, "학출 - 1980년대 공장으로 간 대학생들" 이매진 2010

      3 백낙청,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창비 2006

      4 김명인, "지식인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민족문학의 구상" 풀빛 1 : 1987

      5 최원식, "좌담 : 민족문학과 민중문학" 59 (59): 1988

      6 김명인, "좌담 : ’88년 상반기 소설작품을 중심으로 한 민족문학 주체논쟁" 열음사 1 : 1988

      7 김원, "전태일 분신과 80년대 ‘노동열사’ 탄생의 서사들" 민족문학사학회 (59) : 105-143, 2015

      8 김영수, "전노협 1990~1995" 한내 2013

      9 김원, "여공 1970, 그녀들의 반 역사" 이매진 2006

      10 김예림, "어떤 영혼들: 산업노동자의 "심리" 혹은 그 너머" 상허학회 40 : 339-380, 2014

      11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12 천정환,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민족문학사학회 (47) : 224-254, 2011

      13 안준범, "서발턴 역사 개념의 형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4 조희연, "사노맹 - 비합법 전위조직에 대한 조직사회학적 분석" 20 : 1992

      15 프레드릭 제임슨, "변증법적 문학 이론의 전개" 창작과비평사 1984

      16 김창호, "박노해 - 다시 고난에 찬 부정을 기대하며" 13 (13): 1992

      17 백낙청, "민중․민족문학의 새 단계" 57 : 1985

      18 김재은, "민주화운동과정에서 구성된 주체위치의 '성별화'에 관한 연구(1985-1991) : 상징정치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9 조정환, "민주주의민족문학론에 대한 자기비판과 ‘노동해방문학론’의 제창" (창간) : 1989

      20 조정환, "민주주의 민족문학의 현단계와 문학적 현실주의의 전망" 61 : 1989

      21 에리히 아우어바흐, "미메시스" 민음사 2012

      22 김진경, "문학예술운동 1" 1987

      23 박현채, "문학과 경제 - 민중문학과 경제" 4 : 1983

      24 김항, "말하는 입과 먹는 입" 새물결 출판사 2009

      25 김명인, "리얼리즘 문제의 재인식 (2)" 창작과 비평 66 (66): 1989

      26 김명인, "리얼리즘 문제의 재인식 (1)" 풀빛 3 : 1989

      27 신명아, "랑시에르의 민주주의와 ‘인민’(demos): 지성적 평등과 『프롤레타리아의 밤』" 한국비평이론학회 17 (17): 147-175, 2012

      28 이종수, "다시 태어나야 할 사노맹"

      29 조정환, "노동의 새벽과 박노해 시의 ‘변모’를 둘러싼 문학적 쟁점 비판" 1989

      30 홍희담, "깃발" 59 (59): 1988

      31 천정환,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1980~90년대 노동자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역사문제연구소 (106) : 173-205, 2014

      32 최원식, "광주항쟁의 소설화" 60 (60): 1988

      33 이정로, "광주봉기에 대한 혁명적 시각전환" 노동문학사 2 : 1989

      34 이강은, "광주 민중항쟁에 대한 소시민적 문학관을 비판한다" 노동문학사 2 : 1989

      35 조정환, "‘민족문학주체논쟁’의 종식과 노동해방문학운동의 출발점" (합본) : 1989

      36 Namhee Lee, "The Making of Minjung"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37 최원식, "80년대 문학운동의 비판적 점검" 민족문학사학회 8 : 1995

      38 김정한, "5·18 광주항쟁 이후 사회운동의 이데올로기 변화" 5.18연구소 10 (10): 161-190, 2010

      39 조정환, "1987년 이후 문학의 진화와 삶문학으로의 길" 87 : 2007

      40 김득중, "1980년대 민중의 발견과 민중사학의 성과와 한계" 24 : 2008

      41 전승주, "1980년대 문학(운동)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민족문학사학회 (53) : 388-409, 2013

      42 장성규, "1980년대 논픽션 양식과 소설 개념의 재편 과정 연구" 민족문학사학회 (54) : 63-80, 2014

      43 박수빈, "1980년대 노동문학(연구)의 정치성 - 연구자의 무의식과 노동자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37 : 163-19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7 2.15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