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아동기 피학대경험이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우울감이 어머니의 피학대경험과 양육방식에 매개하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3283
2023
-
338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91-11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아동기 피학대경험이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우울감이 어머니의 피학대경험과 양육방식에 매개하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아동기 피학대경험이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우울감이 어머니의 피학대경험과 양육방식에 매개하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에 거주하는 영·유아의 어머니 2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IBM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아동기 피학대경험과 양육방식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둘째, 어머니의 아동기 피학대경험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어머니의 우울감이 양육방식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넷째, 어머니의 아동기 피학대경험과 양육방식 사이에 우울감은 양 변인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on the parenting method, and to find out whether depression mediates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and parenting metho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on the parenting method, and to find out whether depression mediates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and parenting metho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250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living in Busan. As data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IBM SPSS 28.0, and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on the parent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was not significant, so there was no direc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other's abuse experience on de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abuse experience had an effect on depres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on parenting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목차 (Table of Contents)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관계망과 활동적 노화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아동보육시설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사자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검증
지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 및 대처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