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및 교사효능감과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61109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상담전공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1.32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 Perfectionism,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 형태사항

        55 L.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임성택
        참고문헌 : L. 43-49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472 teachers working in 15 middle schools were sampled in the study.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ntroll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which are correl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job stress,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teacher efficacy, job stress, and the interaction term of perfectionism and teacher efficacy on the job stress were tested in the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s. Finally,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In other word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eacher efficacy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fectionism and the job stress. It implies that perfectionism and teacher efficacy are independent each other and affect respectively to their job stre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presented, especially for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teacher 's job str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472 teachers working in 15 middle schools were sampled in the study. Pearson's prod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472 teachers working in 15 middle schools were sampled in the study.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ntroll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which are correla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job stress,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teacher efficacy, job stress, and the interaction term of perfectionism and teacher efficacy on the job stress were tested in the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s. Finally,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in middle school teachers. In other word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eacher efficacy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fectionism and the job stress. It implies that perfectionism and teacher efficacy are independent each other and affect respectively to their job stre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presented, especially for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teacher 's job st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부지역에 소재한 15개교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72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r)을 산출하였다.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는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완벽주의 성향,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효능감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별개로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부지역에 소재한 15개교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부지역에 소재한 15개교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72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r)을 산출하였다.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는 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한 후 완벽주의 성향,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효능감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별개로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론
      • 목 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4
      • 3. 용어의 정의
      • 6
      • 1) 완벽주의 성향
      • 6
      • 2) 교사효능감
      • 6
      • 3) 교사 직무스트레스
      • 7
      • II. 이론적 배경
      • 8
      • 1. 주요 개념과 구성요인
      • 8
      • 1) 완벽주의 성향
      • 8
      • 2) 교사효능감
      • 10
      • 3) 교사 직무스트레스
      • 11
      • 2.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 직무스트레스
      • 16
      • 3. 교사효능감과 교사 직무스트레스
      • 17
      • III. 연구방법
      • 19
      • 1. 연구대상
      • 19
      • 2. 측정도구
      • 20
      • 1) 완벽주의 성향 검사
      • 20
      • 2) 교사효능감 척도
      • 20
      • 3) 교사 직무스트레스 척도
      • 21
      • 3. 자료 분석
      • 22
      • IV. 분석 결과
      • 24
      • 1.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 24
      • 2.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 및 교사효능감의 설명효과 분석
      • 27
      • Ⅴ. 논의 및 결론
      • 35
      • 1. 논의
      • 35
      • 2. 결론 및 시사점
      • 39
      • 참고 문헌
      • 43
      • 부록
      • 50
      • 영문초록
      • 55
      • 표 목 차
      • <표 1> 스트레스에 대한 접근 방식에 따른 개념의 차이
      • 12
      • <표 2> 연구자들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정의
      • 13
      • <표 3> 교원의 근무여건과 관련된 교사 직무스트레스 요인
      • 15
      • <표 4> 연구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 19
      • <표 5> 완벽주의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 20
      • <표 6> 교사효능감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 21
      • <표 7>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 22
      • <표 8>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 24
      • <표 9> 스트레스 전체에 대한 완벽성향,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항의 설명효과 검증
      • 27
      • <표 10> 시간 관리에 대한 완벽성향,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항의 설명효과 검증
      • 28
      • <표 11> 업무관련 고충에 대한 완벽성향,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항의 설명효과 검증
      • 29
      • <표 12> 훈육과 동기부여에 대한 완벽성향,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항의 설명효과 검증
      • 30
      • <표 13> 전문적 관여에 대한 완벽성향,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항의 설명효과 검증
      • 31
      • <표 14> 전문적 고충에 대한 완벽성향, 교사효능감, 상호작용 항의 설명효과 검증
      • 32
      • <표 15> 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과 교사효능감의 설명효과
      • 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