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사는 한국 사회에서 근현대사 관련 기억 투쟁의 중심에 서 있다. 1980년대 말 부터 억압된 개인들의 사적 기억들이 집합 기억을 형성하면서 군사정부의 공식적 기 억에 저항하는 대항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63971
윤택림 (한국구술사연구소)
2021
Korean
5.18 ; 5.18 기억 ; 구술 증언 ; 기억공동체 ; 기록공동체 ; 5.18 ; 5.18 memory ; Oral testimony ; Community of memory ; Community of record
KCI등재
학술저널
55-85(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구술사는 한국 사회에서 근현대사 관련 기억 투쟁의 중심에 서 있다. 1980년대 말 부터 억압된 개인들의 사적 기억들이 집합 기억을 형성하면서 군사정부의 공식적 기 억에 저항하는 대항 기...
구술사는 한국 사회에서 근현대사 관련 기억 투쟁의 중심에 서 있다. 1980년대 말 부터 억압된 개인들의 사적 기억들이 집합 기억을 형성하면서 군사정부의 공식적 기 억에 저항하는 대항 기억이 되었다. 이 대항 기억들 중 공공 기억이 되어 기억 투쟁을 통해 공식적 역사에 편입된 대표적인 것이 바로 5.18 기억이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기억 투쟁의 흐름 속에서 5.18 기억을 자리매김하고 기억의 정치학의 특징들을 살펴 본다. 그리고 1990년대부터 구술 증언을 통하여 형성된 5.18 기억공동체가 특별법 제정을 통해 기념공동체가 되는 과정을 정리해본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항기억에서 공식적 기억이 된 5.18 기억에서 드러난 기억의 제도화와 지역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다. 그리고 구술 증언으로 시작된 5.18 기억공동체가 현재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는 구술 자료들을 목록화하고 구술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다양성과 다성성을 담보하는 기 록공동체로 거듭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5.18 기억이 지역화에서 벗어나서 국 가폭력에 맞서는 기억공동체로서 다른 기억공동체들과의 연대를 도모할 것을 제안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al history i n Korean society has been a t the center of the politics of memory concern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5.18 memory is a main example of coun ter-memories that have been incorporated i n to the official history. 5.18 oral tes...
Oral history i n Korean society has been a t the center of the politics of memory concerning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5.18 memory is a main example of coun ter-memories that have been incorporated i n to the official history. 5.18 oral testimonies from personal recollections formed a collective memory which became a counter-memory against the military government’s official memory. This article seeks to situate 5.18 memory in the context of the flow of Korean society’s struggle of memory and illustrates the features of politics of memory. It also reconstructs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ommunity of 5.18 memory to the commemorative community since the 1990s. While doing so, it deals with the problems and conflicts accompani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5.18 memory. It argues that the 5.18 community of commemoration should become a community of record by constructing the oral archives of 5.18. Oral testimonies of 5.18 community of memory have been scattered in several local institutes which need to be catalogued and serviced through the oral archives including various and multiple voices of the 5.18 participants. Lastly, it suggests that the 5.18 community of memory sh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and make an effort to consolidate other communities of memory against state violence, marching toward the memory solidar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택림, "현대사와 박물관 3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20
2 윤선자, "한국천주교회의 5․18 광주민중항쟁 기억․증언․기념" 5.18연구소 12 (12): 1-40, 2012
3 정근식,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5.18연구소 13 (13): 347-394, 2013
4 윤택림, "역사와 기록연구를 위한 구술사연구방법론" 아르케 2019
5 박정석, "산청 시천․삼장 민간인희생 사건-유족들의 사회적 고통과 기억의 장소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32) : 413-442, 2013
6 박영주, "사회적 폭력 - 5‧18에 나타난 고문을 중심으로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2) : 294-320, 2007
7 정호기, "민주화운동 기념사업의 정치 사회적 과정과 자원동원" 한국사회학회 38 (38): 221-247, 2004
8 최정기,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사회운동사: 5.18민중항쟁"
9 전진성,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 기억의 문화사로: '기억' 연구의 방법론적 진전을 위한 제언" 역사문제연구소 (76) : 451-483, 2006
10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그린비 2011
1 윤택림, "현대사와 박물관 3권"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20
2 윤선자, "한국천주교회의 5․18 광주민중항쟁 기억․증언․기념" 5.18연구소 12 (12): 1-40, 2012
3 정근식,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5.18연구소 13 (13): 347-394, 2013
4 윤택림, "역사와 기록연구를 위한 구술사연구방법론" 아르케 2019
5 박정석, "산청 시천․삼장 민간인희생 사건-유족들의 사회적 고통과 기억의 장소를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32) : 413-442, 2013
6 박영주, "사회적 폭력 - 5‧18에 나타난 고문을 중심으로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2) : 294-320, 2007
7 정호기, "민주화운동 기념사업의 정치 사회적 과정과 자원동원" 한국사회학회 38 (38): 221-247, 2004
8 최정기, "민주장정 100년, 광주 전남지역사회운동사: 5.18민중항쟁"
9 전진성,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 기억의 문화사로: '기억' 연구의 방법론적 진전을 위한 제언" 역사문제연구소 (76) : 451-483, 2006
10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그린비 2011
11 권윤경, "기억의 경쟁에서 기억의 연대로? - 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 역사문제연구소 (113) : 370-397, 2015
12 김백영, "기억과 전쟁" 휴머니스트 2009
13 정호기, "기념사업으로 본 ‘5ㆍ18’의 의미 변용 : 민주성지, 문화도시, 인권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71 (71): 52-74, 2015
14 지수걸, "국가의 역사독점과 민중기억의 유실 - ‘우금티 도회(都會)’를 제안한다" 역사문제연구소 (110) : 173-202, 2015
15 김귀옥, "구술사연구: 방법과 실천" 선인 2014
16 대중기억연구회,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7 임선화, "교과서 속의 5・18 광주민중항쟁: 2014년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53-78, 2018
18 최혜경, "광장의 권력과 기억 공동체 - 5·18 담론 공간의 장소성 변형을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35) : 111-135, 2018
19 윤은하,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한국기록학회 (33) : 3-37, 2012
20 마르틴 뤼케,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20
21 이동기,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한국독일사학회 (31) : 119-142, 2016
22 윤택림, "개인적 서술에서 공공의 기억으로: 구술사와 공공역사" 한국구술사학회 11 (11): 9-45, 2020
23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들 1" 한울 1995
2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5" 한울 2001
25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4" 한울 2001
26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3" 한울 1999
27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한울 1997
28 노용석, "‘장의’에서 ‘사회적 기념’으로의 전환: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피학살자 유해 발굴의 역사와 특징" 부산경남사학회 (95) : 207-242, 2015
29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 선인 2009
30 정호기, "‘5월운동’과 5.18기념사업 그리고 기념공동체" (창간) : 180-196, 2002
31 김영희, "‘5.18’의 기억 서사와 ‘여성’의 목소리" 한국여성연구소 18 (18): 149-206, 2018
32 Cauvin, Thomas, "Public History: A Textbook of Practice" Routledge 2016
33 Erll, Astrid, "Memory in Culture" Palgrave MaCmillan Memory Studies 2011
34 김원, "80년대에 대한 ‘기억’과 ‘장기 80년대’ -지식인들의 80년대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6) : 9-49, 2015
35 최정기, "5‧18연구소 20년과 5‧18 연구 - 연구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5.18연구소 16 (16): 5-31, 2016
36 천유철, "5․18광주민중항쟁 ‘현장’의 문화적 실천 양상" 민족문학사연구소 (55) : 463-503, 2014
37 노영기, "5·18항쟁기 민간인 희생자들을 위한 진혼곡" 역사문제연구소 (90) : 203-240, 2010
38 최정기, "5·18기념공간과 사회적 갈등―기념공간 관련 논쟁 및 갈등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8 (8): 51-78, 2008
39 임선화, "5·18 광주민중항쟁에서 구속된 여성 활동가 이야기 – 홍보 활동가를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77) : 271-296, 2020
40 5.18민주유공자나주동지회, "5.18과 나주사람들: 나주 오월민중항쟁 체험 구술집"
41 김보현, "5.18 민중항쟁에 대한 새로운 성찰적 시선" 한울 2009
42 광주광역시 5.18사료편찬위원회, "5.18 광주민주화운동자료 총서" 2013
43 윤택림, "(서평)구술, 기억, 공공 역사" 한국구술사학회 10 (10): 295-305, 2019
44 전남지방경찰청 5.18민주화운동 관련 경찰 사료수집 및 활동 조사 TF, "(경찰관 증언과 자료를 중심으로 한)5.18 민주화운동 과정 전남경찰의 역할"
전라남도 동부지역 학도병의 참전 연구 : 화개전투 참전 학도병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그들은 왜 상여를 끄는가 : 월성 원자력발전소 최인접지역 주민들의 ‘느린 폭력’ 드러내기
북성로 공구거리의 형성과 틈새 기술의 의미 : 철공소 기술자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