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국내에 출판된 중관학 연구서적의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용 중관학 교재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중관학 분야 연구서들을 크게 1. 국내 연구서, 2.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9981
2020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31(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내에 출판된 중관학 연구서적의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용 중관학 교재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중관학 분야 연구서들을 크게 1. 국내 연구서, 2. 연...
본 논문은 국내에 출판된 중관학 연구서적의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용 중관학 교재의 편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먼저 중관학 분야 연구서들을 크게 1. 국내 연구서, 2. 연구 번역서, 3. 역주서로 분류하여 살펴보고 ‘4. 중관 교재의 편찬 방향’에서는 필자 나름의 대학 교재로서의 중관 서적에 대한 목차를 제시해 보았다.
중관학에 대하여 김성철은 90년대 후반부터 연구서, 번역서는 물론 역주서에도 많은 저서를 남겨 후학들에게 중관학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박인성 역시 연구서와 『중론』 산스크리트본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통해 『중론』 연구에 기여하였고 이태승, 남수영은 중후기 중관 논서의 연구로 중관학의 지평을 넓혀왔다. 이후 김정근의 쁘라산나빠다 역주는 국내 『중론』 및 중관 연구에 또 다른 기반을 제공해준 매우 소중한 성과물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서를 바탕으로, 일견 추상적 주관적으로 느껴지는 공의 개념을 불교 사상사적 맥락 속에서 구체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해 주는 교재의 편성 방향을 제시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view of the Madhyamaka books published in Korea, this paper seeks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of the books. As a result, the books were categorized into 1. domestic research books, 2. translation books, 3.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Based on the review of the Madhyamaka books published in Korea, this paper seeks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of the books. As a result, the books were categorized into 1. domestic research books, 2. translation books, 3.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In addition to this, I presented a table of contents on the Madhyamaka research books in the “4.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of the Madhyamaka research books.”
Since the late '90s, Kim, sung-chul has left many books in research, translation, and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books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Madhyamaka studies for other students and scholars.
Park, In-sung also contributed to the studies through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Sanskrit, and Lee Tae-seung and Nam Soo-young have broadened the horizons of the Madhyamaka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of the mid- to late-term the Mādhyamika school.
Especially Kim, Jung-kun’s Annotated Korean translation of the Prasannapadā is also a very valuable achievement that has provided another foundation for domestic research on the Madhyamaka studies.
Based on this prior study, we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mpilation of textbooks that enable us to capture the concept of Śūnya, which seems abstractly subjective, in the context of Buddhist thought and history.
한국불교사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 권상로·김영수·김영태·정병삼 『한국불교사』의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