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ponse of Korean Literature and Mass-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9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is diverse comparing to those of other countries. While other countries have central multicultural issues such as race, religion, language, sex, social class, Korea has additional challenges includ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 residents abroad. Koreans have to deal with these multicultural matters of Korea, focusing to change mindsets of majorities instead of giving dispensation to minorities. In this sense, recent literature and mass-culture in Korea are trying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matter in overall aspects.
      Recent literature and mass-culture in Korea are showing the fact that minoriti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majorities and making efforts to find solutions through feature-length stories and films. In addition, animations, plays, poems and cartoons are dealing with issues coming from the diversity of a muticultural society.
      번역하기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is diverse comparing to those of other countries. While other countries have central multicultural issues such as race, religion, language, sex, social class, Korea has additional challenges including North Korean...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is diverse comparing to those of other countries. While other countries have central multicultural issues such as race, religion, language, sex, social class, Korea has additional challenges includ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 residents abroad. Koreans have to deal with these multicultural matters of Korea, focusing to change mindsets of majorities instead of giving dispensation to minorities. In this sense, recent literature and mass-culture in Korea are trying to reveal the essence of the matter in overall aspects.
      Recent literature and mass-culture in Korea are showing the fact that minoritie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majorities and making efforts to find solutions through feature-length stories and films. In addition, animations, plays, poems and cartoons are dealing with issues coming from the diversity of a muticultura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현상은 다른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다양하다.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인종, 종교, 언어, 성, 사회계층 등의 문제가 중심이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이 외에도 국내로 들어온 북한이탈주민, 재외동포들도 다문화사회의 한 구성원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한국의 다문화사회적 특성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고, 이 문제의 해결은 지금까지처럼 소수자에게 베푸는 시혜보다는 다수자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의 한국문학과 대중문화는 단편적인 현상보다는 총체적인 측면에서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문학 작품과 대중문화는 이들을 또 다른 우리, 다수자인 우리와 별로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런 문학, 문화의 형상화 노력은 단편 소설이나 단편의 인권 영화를 중심으로 문제의식을 부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에 비하여 장편 소설이나 장편의 독립 영화를 통해서 문제의 해결책이나 대안을 찾아내려는 노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외에도 애니메이션, 연극, 시, 만화 등에서도 다문화사회의 다양성이라는 특성과 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번역하기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현상은 다른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다양하다.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인종, 종교, 언어, 성, 사회계층 등의 문제가 중심이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이 외에도 국내로 들어...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현상은 다른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다양하다.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인종, 종교, 언어, 성, 사회계층 등의 문제가 중심이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이 외에도 국내로 들어온 북한이탈주민, 재외동포들도 다문화사회의 한 구성원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한국의 다문화사회적 특성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고, 이 문제의 해결은 지금까지처럼 소수자에게 베푸는 시혜보다는 다수자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최근의 한국문학과 대중문화는 단편적인 현상보다는 총체적인 측면에서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문학 작품과 대중문화는 이들을 또 다른 우리, 다수자인 우리와 별로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런 문학, 문화의 형상화 노력은 단편 소설이나 단편의 인권 영화를 중심으로 문제의식을 부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에 비하여 장편 소설이나 장편의 독립 영화를 통해서 문제의 해결책이나 대안을 찾아내려는 노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외에도 애니메이션, 연극, 시, 만화 등에서도 다문화사회의 다양성이라는 특성과 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2 Kang Younghill, "초당" 금룡도서 1948

      3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4 권오현, "의사소통중심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2) : 247-274, 2003

      5 연합뉴스, "유엔, 한국 ‘단일 민족국가’ 이미지 극복 권고"

      6 Li Mirok, "압록강은 흐른다" 여원사 1959

      7 윤여탁, "세계화 시대의 한국문학:세계문학과 지역문학의 좌표" 국어국문학회 (155) : 19-38, 2010

      8 한건수, "비판적 다문화주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모색을 위한 인류학적 성찰 in: 다문화 사회의 이해" 동녘 2008

      9 하종오, "베드타운" 창비 2008

      10 신동일, "반두비(Bandhobi)" 반두비 제작위원회 2009

      1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2 Kang Younghill, "초당" 금룡도서 1948

      3 Bak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88

      4 권오현, "의사소통중심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2) : 247-274, 2003

      5 연합뉴스, "유엔, 한국 ‘단일 민족국가’ 이미지 극복 권고"

      6 Li Mirok, "압록강은 흐른다" 여원사 1959

      7 윤여탁, "세계화 시대의 한국문학:세계문학과 지역문학의 좌표" 국어국문학회 (155) : 19-38, 2010

      8 한건수, "비판적 다문화주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모색을 위한 인류학적 성찰 in: 다문화 사회의 이해" 동녘 2008

      9 하종오, "베드타운" 창비 2008

      10 신동일, "반두비(Bandhobi)" 반두비 제작위원회 2009

      11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3, 2006

      12 윤여탁,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 현실과 방법론" 국어교육연구소 (22) : 7-34, 2008

      13 Banks J.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14 한경구, "다문화 사회란 무엇인가 in: 다문화 사회의 이해" 동녘 2008

      15 안경식,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학지사 2008

      16 오은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7 배화여자대학 유아교육과, "교재교구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의 실제" 다음세대 2008

      18 김 훈, "공무도하" 문학동네 2009

      19 김영하, "검은 꽃" 문학동네 2003

      20 Kaplan Matthew, "Scholarship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Wiley Periodicals Inc 2007

      21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John Wiley & Sons Inc 2007

      22 Council of Europ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Learning, teaching,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3 Gibson M. A,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s States: Some concepts and assumptions" Council on Anthropology and Education 7 : 7-18,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