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진호(李軫鎬)의 滿蒙の旅 에 나타난 동부 내몽골 = The East Inner Mongolia in 滿蒙の旅(Manmou no ryo) written by Lee Jin-h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7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 Jin-ho was the first Korean that served as a chief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manag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Korean colonial era. He published 滿蒙の旅 in Japanese after visiting Manchuria and the east Inner Mongolia on April, 1927.
      Followed by south Manchuria, he made observations sequentially on major stations of Sajo line(四洮線), railroad tracks in the east Inner Mongolia such as Jeonggadun(鄭家屯) station, Guri(歐里) station, Öndör Wangbu(溫都爾王府), Jonam(洮南) station, etc.
      Comparing with the essays written by no less contemporary peoples of 1920s, who travelled the same areas, the fact that a pro-Japanese high ranking official wrote 滿蒙の旅 after personal visiting the east Inner Mongolia and Manchuria, has an important value as a primary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living of the east Inner Mongolia and the Japanese policy in Manchuria and Mongolia. Moreover, to our surprise, this writing, one of traveler’s essays which has not only arrested any attention of researchers, but has not also been mentioned even in the study on the person Lee, Jin-ho.
      Therefore, with this survey of the document, we tried to investigate firstly that the author of 滿蒙の旅 is Lee, Jin-ho who served as a chief in the department of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secondly examined his perception of the east Inner Mongolia which was disclosed throughout 滿蒙の旅.
      Particularly, the situation of the east Inner Mongolia was described under the division into the geographical concept of Manchuria and Mongolia, the persons with whom he met in the east inner Mongolia and then his acknowledgement of agriculture, traffic, food, clothing, housing, religion of the east Inner Mongolia.
      번역하기

      .Lee, Jin-ho was the first Korean that served as a chief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manag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Korean colonial era. He published 滿蒙の旅 in Japanese after visiting Manchuria and the...

      .Lee, Jin-ho was the first Korean that served as a chief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manag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Korean colonial era. He published 滿蒙の旅 in Japanese after visiting Manchuria and the east Inner Mongolia on April, 1927.
      Followed by south Manchuria, he made observations sequentially on major stations of Sajo line(四洮線), railroad tracks in the east Inner Mongolia such as Jeonggadun(鄭家屯) station, Guri(歐里) station, Öndör Wangbu(溫都爾王府), Jonam(洮南) station, etc.
      Comparing with the essays written by no less contemporary peoples of 1920s, who travelled the same areas, the fact that a pro-Japanese high ranking official wrote 滿蒙の旅 after personal visiting the east Inner Mongolia and Manchuria, has an important value as a primary historical material to understand the living of the east Inner Mongolia and the Japanese policy in Manchuria and Mongolia. Moreover, to our surprise, this writing, one of traveler’s essays which has not only arrested any attention of researchers, but has not also been mentioned even in the study on the person Lee, Jin-ho.
      Therefore, with this survey of the document, we tried to investigate firstly that the author of 滿蒙の旅 is Lee, Jin-ho who served as a chief in the department of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secondly examined his perception of the east Inner Mongolia which was disclosed throughout 滿蒙の旅.
      Particularly, the situation of the east Inner Mongolia was described under the division into the geographical concept of Manchuria and Mongolia, the persons with whom he met in the east inner Mongolia and then his acknowledgement of agriculture, traffic, food, clothing, housing, religion of the east Inner Mongol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자해, "李慈海自傳" 국가보훈처 2007

      2 양지선, "한인의 동부내몽골 이주를 통해 본 일제의 滿蒙政策(1931∼1945)" 한국몽골학회 (39) : 147-174, 2014

      3 박형우, "한국 근대 서양 의학 교육사" 청년의사 2008

      4 이명화, "친일파 99인(1)" 돌베개 1993

      5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2009

      6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IV-14" 2009

      7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 IV-조선귀족과 중추원" 2008

      8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 III; 일제의 식민통치정책과 협력조선인 (1919-1937)" 2007

      9 김영수, "춘생문사건 주도세력 연구 - 궁내부에 기반을 둔 정치세력의 형성을 중심으로" 수선사학회 2 (2): 1-23, 2006

      10 주성화, "중국 조선인 이주사" 한국학술정보 2007

      1 이자해, "李慈海自傳" 국가보훈처 2007

      2 양지선, "한인의 동부내몽골 이주를 통해 본 일제의 滿蒙政策(1931∼1945)" 한국몽골학회 (39) : 147-174, 2014

      3 박형우, "한국 근대 서양 의학 교육사" 청년의사 2008

      4 이명화, "친일파 99인(1)" 돌베개 1993

      5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2009

      6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IV-14" 2009

      7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 IV-조선귀족과 중추원" 2008

      8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 III; 일제의 식민통치정책과 협력조선인 (1919-1937)" 2007

      9 김영수, "춘생문사건 주도세력 연구 - 궁내부에 기반을 둔 정치세력의 형성을 중심으로" 수선사학회 2 (2): 1-23, 2006

      10 주성화, "중국 조선인 이주사" 한국학술정보 2007

      11 김선호, "중국 내몽고자치구 조선족의 사회적 지위" 6 : 2001

      12 "주한일본공사관기록 7"

      13 박원길, "조선과 몽골 ― 최덕중, 박지원, 서호수의 여행기에 나타나는 몽골인식 -" 소나무 2010

      14 김상태, "제중원이야기" 웅진지식하우스 2010

      15 홍경만, "이재룡작사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 한울 1990

      16 반병률, "의사(醫師) 이태준(李泰俊, 1883-1921)" 26 (26): 2004

      17 김영숙,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어문학사 2012

      18 나카미 타테오, "만주란 무엇이었는가" 소명출판 2013

      19 홍순애, "만주기행문에 재현된 만주표상과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간극 ─1920년대와 만주사변 전후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5 (5): 407-439, 2013

      20 전성곤, "만몽문화" 경인문화사 2013

      21 이평래, "러시아․몽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22 김민철, "기억을 둘러싼 투쟁" 아세아문화사 2006

      23 황상익, "근대 의료의 풍경 3" 푸른역사 2013

      24 김선호,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 혜안 2002

      2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6 "국립중앙도서관"

      27 "駐韓日本公使館記錄 23권"

      28 윤효정, "風雲韓末秘史" 秀文社 1984

      29 반병률, "醫師 李泰俊(1883-1921)의 독립운동과 몽골" 13 : 2000

      30 モンゴル研究所, "近現代内モンゴル東部の変容" 雄山閣 2007

      31 矢野仁一, "近代蒙古史研究" 弘文堂書房 1931

      32 김영, "近代 滿洲 벼농사 발달과 移住 朝鮮人" 국학자료원 2003

      33 大垣丈夫, "舊韓末日帝侵略史料叢書 : 社會篇" 韓國學文獻硏究所 1985

      34 "純宗實錄 3券"

      35 "漢城週報 제 4호"

      36 "漢城週報 4호"

      37 李軫鎬, "滿蒙の旅" 朝鮮印刷株式會社 1927

      38 中見立夫, "満蒙問題の歴史的構図" 東京大学出版会 2013

      39 満蒙研究会, "満蒙に於ける日本の特殊権益" 満蒙研究会 1931

      40 加藤陽子, "満州事変から日中戦争へ" 岩波新書 2007

      41 金海, "清代蒙古志" 内蒙人民出版社出版 2009

      42 "朝鮮總督府官報"

      43 朝鮮功勞者銘鑑刊行會, "朝鮮功勞者銘鑑" 1987

      44 朝鮮功勞者銘鑑刊行會, "朝鮮功勞者銘鑑" 1935

      45 "日省錄 高宗 32년 9월 13일"

      46 "日本外交文書 第40卷 第1冊 573號"

      47 BORJIGIN Burensain, "史資料ハブ" 南アジア․東アジア関係史資料収集事業紹介 2005

      48 韓詩俊, "內蒙古지역의 한국독립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23 : 3-, 2002

      49 ボルジギン, "ウンドゥル王と「西夾荒」の開墾問題" 14 : 1999

      50 И.М. Майский, "Орчин үеийн монгол(Автономит монгол ХХзууны гараан дээр)" Улаанбаатар 2005

      51 Ж. Баттөр, "XX зууны Монгол-Солонгосын харилцаа (тэргүүн дэвтэр. 1910-1930-аад он)" Улаанбаатар 2004

      52 바트트루, "20세기 한국 몽골 관계사" KM미디어 2011

      53 이평래, "20세기 전기 한국 지식인들의 몽골 인식 1 ―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평가와 전망 ―" 중앙아시아학회 17 (17): 29-56, 2012

      54 김선호, "1930년대 내몽골 德王(Demchukdonggrub)의 初期自治運動과 외교전략 分析" 15 : 2004

      55 김경남, "1910년대 기행 담론과 기행문의 성격 -1910년대 『매일신보』 소재 기행 담론과 기행문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 (3): 85-10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