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  웃음과 눈물의 이중주 The duet of smile and tear = Duplicity of Seoul songs in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5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view and emotion of people at the time of 1930s through Seoul songs. For this purpose, the situation of Seoul at that period was described as 'duplicity of Seoul' in Chapter 2. The duplicity of Seoul was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view and emotion of people at the time of 1930s through Seoul songs. For this purpose, the situation of Seoul at that period was described as 'duplicity of Seoul' in Chapter 2.
      The duplicity of Seoul was found from the fact where the traditional and modern image meets each other and there are different cultures divided into Namchon(南村) and Bukchon(北村) by the Cheonggyecheon(淸溪川). It is quite natural that popular song reflects the life and emotion of the people especially when Jongno(鐘路) in Bukchon appeared in the popular songs quite often.
      In Chapter 3, Seoul songs were divided into two big categories. One includes the songs that contain the smile of Seoul and the other includes the songs that describe the tears of Seoul. It was possible to depict the smile of Seoul because the speaker was looking at Seoul from the point of critical view from a distance. The works that show the smile of Seoul do not really mean the real happiness and pleasure of its smile. It signifies the ridiculous smile with sneer voice. Also, it is noticed that the ridicule using happiness smile gives us both educational instruction and pleasure.
      Next, in the works describing the tears of Seoul, the speaker actually experiences it and he expresses his emotions that he had gone through from the said experience. In his works, the tears are not wailing but it is tears that stay alone on their own without making a noise. However, these tears do not simply mean loneliness and desolation. They show the passive hope in terms of describing the dark reality, reminiscent of the past and yearning. Therefore, when they come out as a popular song, they do not only limit itself to a lonely cry but also they become a cry with others and the general sensibility is created while crying together. Thus, Seoul songs in 1930s played a duet of smile and tea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1930년대 서울의 이중성
      • Ⅲ.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 1. 거리 두고 바라보기 : 웃음의 서울
      • 2. 그 속에서 체험하기 : 눈물의 서울
      • Ⅰ. 머리말
      • Ⅱ. 1930년대 서울의 이중성
      • Ⅲ.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 1. 거리 두고 바라보기 : 웃음의 서울
      • 2. 그 속에서 체험하기 : 눈물의 서울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1998

      2 권희영, "한국사의 근대성 연구" 백산서당 2001

      3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시공사 1999

      4 권오만, "한국 현대시의 서울 체험 연구" 서울시립대부설 서울학연구소. 9 : 1998

      5 장유정,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 -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6) : 49-89, 2003

      6 김영준, "한국 가요사 이야기" 아름출판사 1994

      7 이동순, "조명암 시전집" 선 2003

      8 마이크 새비지,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 한울 2002

      9 장규식, "일제하 종로의 문화공간, 종로; 시간, 장소, 사람"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2002

      10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2004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1998

      2 권희영, "한국사의 근대성 연구" 백산서당 2001

      3 이영미, "한국대중가요사" 시공사 1999

      4 권오만, "한국 현대시의 서울 체험 연구" 서울시립대부설 서울학연구소. 9 : 1998

      5 장유정, "한국 트로트의 정체성에 대한 일고찰 -1945년 이전 노래의 시적 자아의 정서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6) : 49-89, 2003

      6 김영준, "한국 가요사 이야기" 아름출판사 1994

      7 이동순, "조명암 시전집" 선 2003

      8 마이크 새비지,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 한울 2002

      9 장규식, "일제하 종로의 문화공간, 종로; 시간, 장소, 사람"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2002

      10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2004

      11 고석규, "일제강점기 서울 중심부에 나타난 都市文化의 특성" 나남출판. 1997

      12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사회사연구" 일지사 1996

      13 신명직, "식민지 근대도시의 일상과 만문만화 ,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혜안 2004

      14 정유화, "시적 방법과 근대적 자아의 소상 : 백석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03 : 1999

      15 김경일, "서울의 소비문화와 신여성 : 1920-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19) : 227-262, 2002

      16 김진송,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2002

      17 정숭교, "서울 서울내기 서울사람" 역사비평사 2 : 2000

      18 신명직, "모던 뽀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2003

      19 오세영, "도시시의 가능성과 그 의미 상상력과 논리" 1991

      20 이영미, "대중가요 속의 바다와 철도 , 우리는 지난 1 0 0 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역사비평사. 1998

      21 안 뱅상 뷔포, "눈물의 역사" 동문선 2000

      22 고석규, "공간의 이중성과 신파성:서울과 목포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수신문사 6 : 1999

      23 장유정, "1930년대 신민요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수용" 한국민요학회 12 : 289-323, 2003

      24 "1930년대 서울 노래의 이중성 웃음과 눈물의 이중주"

      25 이명찬, "1 9 3 0 년대 한국시의 근대성" 소명출판 2000

      26 전봉관, "1 9 3 0 년대 한국 시인의 도시 체험과 현대시의 향수" 국어국문학회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