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중산간지역에 분포해 있는 곶자왈 지대는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그곳에서 행해졌던 방목활동을 통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95381
2016
Korean
곶자왈 ; 마을공동목장 ; 방목 ; 청수-저지 ; 제주도 ; 중산간지역 ; Gotjawal ; village common pasture ; pasturing ; Cheongsu-Jeoji ; Jeju Island ; the mid-mountain area
KCI등재
학술저널
353-368(1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 중산간지역에 분포해 있는 곶자왈 지대는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그곳에서 행해졌던 방목활동을 통하여 ...
제주도 중산간지역에 분포해 있는 곶자왈 지대는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곶자왈 지대의 마을공동목장 운영과 그곳에서 행해졌던 방목활동을 통하여 중산간지역에서의 생활상을 고찰함으로써 곶자왈이 지니는 생활문화적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밝혀내고자 한다. 사례지역인 청수-저지 곶자왈 지대의 청수 및 저 지 마을공동목장은 1930년대에 형성된 이래 1960~70년대에 마을 농가들의 소 방목을 통해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 제 주도에서도 소는 농업활동과 운송, 이동의 주요수단이었고 소 사육은 농가의 소득을 확보하는 주요경제 수단이었다. 마을공동목장에서의 소 방목은 마을마다 독특한 방목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급수터의 조성, 건초준비를 위한 농가의 협업문화를 형성하였다.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목장 내에는 소 방목을 위한 목축시설이 아직도 일부가 남아있어 중산간지역의 주민생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Gotjawal located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asp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lue of Gotjawal as a life-cultural space. This will be illustrated by tracing the locals" previous pas...
The importance of Gotjawal located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asp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lue of Gotjawal as a life-cultural space. This will be illustrated by tracing the locals" previous pasturing activities and the management of village common pastures. Cheongsu Village Common Pasture and Jeoji Village Common Pasture in Cheongsu-Jeoji Gotjawal area, which are the study areas, have been actively used by local farmhous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astures in 1930"s. In particular cattle were significant means for agriculture and transportation methods in 1960"s and 1970"s. The farmhouses were needed to breed cattle as one of the main economic means. Pasturing cattle on the village common pastures has developed a unique ranching culture. Furthermore, cooperative work of these farmhouses were performed. These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ponds for water supply and the preparation of hay. Ranching facilities for pasturing were built on village common pastures and still remain in Gotjawal area. This has been us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s" lives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만익, "한라산지 목축경관의 실태와 활용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93-112, 2013
2 뿌리깊은나무, "한국의 발견 제주도" 뿌리깊은나무 1983
3 한국문화원연합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 "한경면 역사문화지" 2007
4 제주도, "주민등록인구현황" 2013
5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6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1967
7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8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9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10 고광민,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주)대원사 2004
1 강만익, "한라산지 목축경관의 실태와 활용방안"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93-112, 2013
2 뿌리깊은나무, "한국의 발견 제주도" 뿌리깊은나무 1983
3 한국문화원연합회 제주특별자치도지회, "한경면 역사문화지" 2007
4 제주도, "주민등록인구현황" 2013
5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6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1967
7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8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9 제주도, "제주도통계연보"
10 고광민,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주)대원사 2004
11 김문철, "제주도내 부락공동목장에 있어서 개량목초의 계절별 영양성분 및식생구성율변화에 관한 연구" 25 (25): 375-381, 1983
12 김형균, "제주도 부락공동목장의 실태조사" 16 (16): 374-379, 1974
13 윤순진,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의 해체과정과 사회ㆍ생태적 함의"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45-88, 2006
14 안웅산, "제주도 곶자왈 형성의 주요 원인" 대한지질학회 51 (51): 1-19, 2015
15 전용문, "제주도 곶자왈 지대의 지질학적 분류체계 제안과 의미" 대한지질학회 51 (51): 235-241, 2015
16 유리화, "제주 선흘곶자왈 이용객의 휴양이용 특성분석" 75-76, 2014
17 정광중,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자원의 유형과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 24 (24): 1-20, 2014
18 강창화, "제주 선흘곶자왈 내 역사문화유적의 분포실태와 특성" 한국사진지리학회 24 (24): 153-173, 2014
19 정광중, "제주 선흘 곶자왈에서의 숯 생산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37-55, 2013
20 고성우, "제주 곶자왈 숲 자연 놀이 체험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97-114, 2010
21 강만익, "일제시기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조합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22 김경덕, "연구보고 R700 농촌지역 공유자원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23 북제주군, "북제주군지" 제주도인쇄공업협동조합 경신인쇄사 1987
24 북제주군, "북제주군 통계연보"
25 정창조, "북제주군 마을공동목장 운영실태와 축산진흥방안" (복간) : 63-67, 1990
26 이경미,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14 (14): 35-45, 2012
27 "다음 위성사진"
28 강만익, "근현대 한라산 상산방목의 목축민속과 소멸" 탐라문화연구소 (43) : 137-195, 2013
29 (사)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곶자왈의 보전및 이용기술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2012
30 김태일, "곶자왈의 경관가치 분석에 관한 연구" 8 (8): 27-30, 2012
31 "곶자왈공유화재단"
32 최현,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비판사회학회 (98) : 12-39, 2013
33 한삼인, "共同牧場組合의 法理 硏究" 한국토지법학회 24 (24): 23-58, 2008
34 오성찬, "‘제주의 마을’⑬ 저지리" 도서출판 반석 1991
35 장용창, "Gotjawal Forest In Jeju Island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한국습지학회 11 (11): 99-104, 2009
36 임은영, "Floristics of bryophytes in Dongbaek-dongsan at Seonheul Gotjawal" 한국식물분류학회 43 (43): 274-284, 2013
37 김지수, "4・3과 중산간 마을의 거주공간 변모: 남제주군 안덕면 무등이왓을 사례로" 18 : 119-149, 2000
38 강만익, "1930년대 제주도 공동목장 설치과정 연구" 탐라문화연구소 (32) : 75-136, 2008
39 전영준, "13~14세기 원의 목축문화 유입과제주사회의 변화" 93-112, 2013
40 "(사)곶자왈사람들"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94 | 1.20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