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 in Jeju Is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5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을 지붕 형태, 지붕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을 논의한다. 이러한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경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제주도 촌락 가옥에서는 우진각지붕이나 우진각지붕/평지붕의 지붕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평지붕 · 맞배지붕 · 눈썹평지붕 등의 지붕 형태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 시멘트, 기와/시멘트, 슬레이트/시멘트 등의 지붕 재료 사용 빈 도가 높다.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를 단일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현무암석재/시멘트, 타일/시멘트, 타일, 사이딩 등을 사용한 가옥이 많다. 제주도 촌락 가옥은 지붕 형태와 외벽 재료의 특성이라는 측 면에서 경남 촌락 가옥과 사뭇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으로는 우진각지붕 가옥이 매우 많다는 점, 팔작지붕 가옥이 매우 희귀하다는 점, 현무암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을 지붕 형태, 지붕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본 연구는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유형을 지붕 형태, 지붕재료, 외벽 재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경남 촌락 가옥의 유형과 비교하면서 그 특성을 논의한다. 이러한 촌락 가옥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경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제주도 촌락 가옥에서는 우진각지붕이나 우진각지붕/평지붕의 지붕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평지붕 · 맞배지붕 · 눈썹평지붕 등의 지붕 형태가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 시멘트, 기와/시멘트, 슬레이트/시멘트 등의 지붕 재료 사용 빈 도가 높다. 외벽 재료에서는 시멘트를 단일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현무암석재/시멘트, 타일/시멘트, 타일, 사이딩 등을 사용한 가옥이 많다. 제주도 촌락 가옥은 지붕 형태와 외벽 재료의 특성이라는 측 면에서 경남 촌락 가옥과 사뭇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제주도 촌락 가옥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으로는 우진각지붕 가옥이 매우 많다는 점, 팔작지붕 가옥이 매우 희귀하다는 점, 현무암석재를 외벽 재료로 사용한 가옥이 많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rural hou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 types/material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The research area of this study is the fourteen rural settlements in Jeju Island. The hip roof type, the hip/flat roof type, the simple-flat roof type, the gable roof type, and the eyebrow-and-flat roof type are the most frequent roof types. Among the roof materials, the precoated steel plate, the artificial slate, the cement, the cement/roof tile, and the cement/artificial slate are the most frequent materials. The cement holds more than a half of the outer wall materials, and the cement/basalt rock, the tile/cement, the tile, and the diverse siding are the next frequent outer wall materials. The comparison of the rural housing reveals that there are some clear differences between Jeju Island and Gyeongnam Province in terms of the roof type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번역하기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rural hou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 types/material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The research area of this study is the fourteen ru...

      The studies on the rural housing have focused on folk housing,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rural hou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 types/material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The research area of this study is the fourteen rural settlements in Jeju Island. The hip roof type, the hip/flat roof type, the simple-flat roof type, the gable roof type, and the eyebrow-and-flat roof type are the most frequent roof types. Among the roof materials, the precoated steel plate, the artificial slate, the cement, the cement/roof tile, and the cement/artificial slate are the most frequent materials. The cement holds more than a half of the outer wall materials, and the cement/basalt rock, the tile/cement, the tile, and the diverse siding are the next frequent outer wall materials. The comparison of the rural housing reveals that there are some clear differences between Jeju Island and Gyeongnam Province in terms of the roof types and the outer wall materi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제주도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에 대한 분석
      • 3. 제주도 촌락 가옥의 지붕 재료에 대한 분석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제주도 촌락 가옥의 지붕 형태에 대한 분석
      • 3. 제주도 촌락 가옥의 지붕 재료에 대한 분석
      • 4. 제주도 촌락 가옥의 외벽 재료에 대한 분석
      • 5. 제주도와 경남의 촌락 가옥유형과 특성에 관한 비교
      • 6. 요약과 결론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준현, "현대건축재료" 기문당 2014

      2 장보웅, "한국의 민가형 분류와 문화지역구분" 대한지리학회 22 : 41-58, 1980

      3 조성기, "한국의 민가" 한울 2006

      4 장보웅, "한국민가의 지역적 전개" 보진재 1996

      5 박태화, "한국·중국·일본 3국 지붕의 변천" 한국도시지리학회 5 (5): 3-47, 2002

      6 이승호, "한국 다설지역의 가옥 특성-민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37 (37): 1-14, 2002

      7 홍경희, "촌락지리학" 법문사 1985

      8 이전, "촌락지리학" 푸른길 2011

      9 장보웅, "청산도 민가의 문화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18 : 34-45, 1978

      10 박병석, "중부형 민가 평면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 조준현, "현대건축재료" 기문당 2014

      2 장보웅, "한국의 민가형 분류와 문화지역구분" 대한지리학회 22 : 41-58, 1980

      3 조성기, "한국의 민가" 한울 2006

      4 장보웅, "한국민가의 지역적 전개" 보진재 1996

      5 박태화, "한국·중국·일본 3국 지붕의 변천" 한국도시지리학회 5 (5): 3-47, 2002

      6 이승호, "한국 다설지역의 가옥 특성-민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37 (37): 1-14, 2002

      7 홍경희, "촌락지리학" 법문사 1985

      8 이전, "촌락지리학" 푸른길 2011

      9 장보웅, "청산도 민가의 문화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18 : 34-45, 1978

      10 박병석, "중부형 민가 평면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1 이찬, "중부지방의 민가형태 연구 개요" 서울대 지리교육과 4 (4): 27-40, 1975

      12 문현숙, "제주와 서귀포의 기후 비교연구" 14 : 51-73, 1989

      13 송성대, "제주도의 풍토주가: 초옥민가를 중심으로" 10 : 99-174, 1993

      14 신화경, "제주도 민가의 형태결정요인에 관한연구"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9 : 335-356, 1996

      15 홍종수, "제주도 민가의 주거환경에관한 연구: 오조마을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19 (19): 16-26, 1991

      16 장보웅, "제주도 민가의 연구" 대한지리학회 10 : 13-31, 1974

      17 임화영, "전통가옥의 유형별 분포 권역에 관한 연구 : 논산시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8 장보웅, "울릉도 나리동의 투방집 연구" 대한지리학회 16 : 25-34, 1977

      19 박태화, "맞배지붕 민가의 사진에 의한 연구" 7 : 105-115, 1998

      20 박태화, "맞배지붕 민가의 발달과 구조" 32 (32): 59-86, 1998

      21 박태화, "동족촌락의 전통민가: 지리학적 고찰" 경북대학교출판부 2008

      22 김윤학, "농촌마을 지붕경관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가로변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 15 (15): 17-24, 2013

      23 김기덕, "기후 특성과 관련된 제주도의 민가 경관" 7 (7): 29-43, 2001

      24 최영준, "국토와 민족생활사: 한국역사지리학 논고" 한길사 1997

      25 이호욱,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6 이전, "경남 함양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7 (27): 70-83, 2015

      27 이전,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21 (21): 660-672, 2015

      28 이전, "경남 고성군 촌락 가옥의 유형에 대한 연구 -지붕 형태, 지붕 재료, 외벽 재료를 바탕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5 (25): 51-61, 2015

      29 김홍식, "가족구조와 민가크기(잠자리) 변천에 관한 연구" 2 : 253-277, 1985

      30 金鄕淑, "江原道의 겹집 類型과 그 分布" 江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31 김종혁, "文化圈 區分單位로서의 河川流域圈에 대한 試論"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4 (14): 33-51,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