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력 지속에 성공한 지방 여성의원들이 본 여성정치의 딜레마 = Career Interruption and Dilemmas of Women Politic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2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s the accomplishments of political institutions between 1995 and 2014 which have been introduced to orient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local autonomy, and their impacts on women politics and women politicians in Korea. Even though these institutions, such as gender quota system, provide considerable contribution for women to enter into politics, these also give negative influence for women to continue career as politicians, and hence eventually fail to achieve initial goals to improve unequal gender political power and maleᐨ oriented power system. Through a survey of three terms or more women local council members who have succeeded in career continuity, this paper looks into processes and experiences, which enable them to continue their career as politicians, and, at the same time, finds out dilemmas of women local council members as politicians and of women politics in Korea.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to overcome these dilemma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s the accomplishments of political institutions between 1995 and 2014 which have been introduced to orient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local autonomy, and their impacts on women politics and...

      This study reviews the accomplishments of political institutions between 1995 and 2014 which have been introduced to orient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local autonomy, and their impacts on women politics and women politicians in Korea. Even though these institutions, such as gender quota system, provide considerable contribution for women to enter into politics, these also give negative influence for women to continue career as politicians, and hence eventually fail to achieve initial goals to improve unequal gender political power and maleᐨ oriented power system. Through a survey of three terms or more women local council members who have succeeded in career continuity, this paper looks into processes and experiences, which enable them to continue their career as politicians, and, at the same time, finds out dilemmas of women local council members as politicians and of women politics in Korea.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to overcome these dilemma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도입된 여성정치 세력화를 지향하며 만들어 진 제도들이 1995년에서 2014년에 이르기까지 어떤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한국 여성정치와 여성정치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성할 당제와 같은 제도들은 여성들을 정치에 진입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도움을 주었 으나 여성들이 정치인으로서 경력을 지속하는 데 있어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침으로써 불균형적 성별 정치권력과 남성중심적 권력구조를 개선하고자 했던 제도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경력 지속에 성공한 3선 이상 지방 여성의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과정과 경험들을 살펴보고 또 그 속에서 드러나는 한국 여성정치의 딜레마가 무엇인지 그리고 지방 여성의원들이 여성정치인으로서 느끼는 딜레마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더 나아가 앞으로 그 딜레마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도입된 여성정치 세력화를 지향하며 만들어 진 제도들이 1995년에서 2014년에 이르기까지 어떤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한국 여성정치와 여성정치인에게 어떤...

      본 연구는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도입된 여성정치 세력화를 지향하며 만들어 진 제도들이 1995년에서 2014년에 이르기까지 어떤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한국 여성정치와 여성정치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성할 당제와 같은 제도들은 여성들을 정치에 진입시키는 데에는 상당한 도움을 주었 으나 여성들이 정치인으로서 경력을 지속하는 데 있어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침으로써 불균형적 성별 정치권력과 남성중심적 권력구조를 개선하고자 했던 제도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경력 지속에 성공한 3선 이상 지방 여성의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과정과 경험들을 살펴보고 또 그 속에서 드러나는 한국 여성정치의 딜레마가 무엇인지 그리고 지방 여성의원들이 여성정치인으로서 느끼는 딜레마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더 나아가 앞으로 그 딜레마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지영,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여성정치 참여: 과제와 전망" (사)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2015

      2 조현옥, "한국 여성정치할당제 제도화 과정 10년의 역사적 고찰"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110-139, 2010

      3 최일성, "참여민주주의와 사회적 배제: 1987년 6월 민주항쟁기에 대두된 ‘여성정치세력화운동’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7) : 192-213, 2012

      4 양인숙, "지식기반산업의 여성지식근로자의 경력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003

      5 김원홍, "지방의회 여성의원 의원경력 지속 및 확충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각 년도 통계자료"

      7 Mair. Peter, "정당과 정당체계의 변화: 접근과 해석" 오름 2011

      8 김민정, "여성정치인의 경력 지속성 향상방안ᐨ16, 17대 여성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09

      9 이진옥, "여성정치세력화 운동의 딜레마와 이중전략" 여성학연구소 10 (10): 103-139, 2017

      10 김원홍, "여성의원 경력지속성: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1 (51): 71-102, 2012

      1 문지영,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여성정치 참여: 과제와 전망" (사)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2015

      2 조현옥, "한국 여성정치할당제 제도화 과정 10년의 역사적 고찰"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9) : 110-139, 2010

      3 최일성, "참여민주주의와 사회적 배제: 1987년 6월 민주항쟁기에 대두된 ‘여성정치세력화운동’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7) : 192-213, 2012

      4 양인숙, "지식기반산업의 여성지식근로자의 경력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003

      5 김원홍, "지방의회 여성의원 의원경력 지속 및 확충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각 년도 통계자료"

      7 Mair. Peter, "정당과 정당체계의 변화: 접근과 해석" 오름 2011

      8 김민정, "여성정치인의 경력 지속성 향상방안ᐨ16, 17대 여성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09

      9 이진옥, "여성정치세력화 운동의 딜레마와 이중전략" 여성학연구소 10 (10): 103-139, 2017

      10 김원홍, "여성의원 경력지속성: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1 (51): 71-102, 2012

      11 박인혜,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제고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제6회 지방여성의원 토대조사"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16

      12 김은희, "그럼에도 페미니즘" 은행나무 2017

      13 김현희, "국민경선제 도입에 따른 젠더효과 분석 2014년 지방선거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6) : 300-331, 2017

      14 Dalerup Drude, "Women. Quotas and Politics" Routledge 2006

      15 Morris, Dick, "Vote.com: 인터넷과 직접민주주의, 그리고 쌍방향 대화" 아르케 2000

      16 Norris, Pippa, "Comparing Democracies: Elections and Voting in Global Perspective" Sage Publication Inc 184-215,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