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후기 양명학자인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마음[心]’ 개념을 중심으로 가치관계를 재구조화 한 다음, 이것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하곡은 심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69322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학과윤리교육전공 , 2025. 2
2025
한국어
충청북도
ⅵ, 156 ; 26 cm
지도교수: 김민재
I804:43012-00000004256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후기 양명학자인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마음[心]’ 개념을 중심으로 가치관계를 재구조화 한 다음, 이것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하곡은 심즉...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후기 양명학자인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마음[心]’ 개념을 중심으로 가치관계를 재구조화 한 다음, 이것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하곡은 심즉리의 기조를 토대로 마음과 이치를 하나로 보는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양명학에 제기되는 ‘임정종욕(任情縱欲)’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음을 본체[體]와 작용[用]으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하곡은 동시에, 이 구분이 결국 하나의 마음[一心]인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마음은 생생(生生)한 작용을 본질로 하는 ‘생리(生理)’와 근본으로서의 ‘진리(眞理)’로 표현되고, 이같은 리의 구조는 마땅함의 조리(條理)를 얻은 ‘물리(物理)’로 확장되어 자신과 세계의 연결 구조를 형성한다. 즉, ‘마음’ 개념이 만사만물을 잇는 근원이 될 수 있는 바, 도덕성과 활동성을 모두 포함하는 하곡의 ‘마음’ 개념을 바탕으로 가치관계를 정립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가치관계 확장법’을 이론적 틀로 삼아, 하곡의 마음 개념이 도덕적 관계의 형성과 확장에 어떻게 기 여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도덕적 관계는 자신과의 관계, 타자와의 관계, 자연과의 관계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뉘며, 이 각각의 관계에서 도덕적 가치를 함양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자신과의 관계에서는 마음의 본체로서 진리(眞理)가 작용하여 도덕적 기준을 형성하고, 감정과 욕망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신을 확립한다. 이 과정에서 실심(實心)과 성실·자기 초월 가치의 접점을 확인한다. 타자와의 관계에 서는 마음의 작용으로서 생리(生理)가 도덕적 삶의 동력으로 작용하여 배려와 정의를 실천하는 도덕 공동체의 형성을 돕는다. 여기서 리의 재제(宰制)는 배려와 정의 가치와 접점을 지님으로써 상호 수용성을 발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연과의 관계에서는 마음의 확장적 속성을 통해 조리(條理)로서의 물리(物理)를 기반으로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하고,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는 생명 공동체를 구축한다. 이 과정에서 생의(生 意)와 책임·자신으로의 회귀 가치의 접점을 발견한다. 이러한 리들은 상호 분리된 독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즉체즉용(卽體卽用)의 관점에 입각 한 한몸의 관계이며, 실심·리의 재제·생의 또한 생리를 중심으로 한몸인 리들과 결국 하나로 합치된다는 사실을 밝힌다.
하곡의 ‘마음’ 개념은 도덕적 주체와 도덕적 대상 간의 상호작용을 심화하고, 관계의 순환적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적 의의가 크다. 그는 마음을 인간이 보편적으로 지닌 도덕적 능력의 근원으로 보고, 이를 통해 도덕적 관계가 단순히 외재적 규범에 의존하지 않고 내재적 동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도덕적 가치를 외부에서 강요받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마음을 통해 스스로 발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도덕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하곡 정제두의 마음 개념은 도덕교육에서 인간 내면의 도덕적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도덕적 관계의 확장을 통해 개인과 사회, 그리고 자연을 아우르는 조화로운 삶을 제시한다. 이는 현대 도덕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철학적 근거로 평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