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9일부터 10월 26일까지 대학생을 5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9일부터 10월 26일까지 대학생을 5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
본 연구는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9일부터 10월 26일까지 대학생을 5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구 개발을 실시하였다. 개발 절차로는 핵심역량 관련 문헌 고찰 및 전문가 대상 면담을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한 후, 내용타당도 및 예비검사를 실시를 통해 최종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Q행렬을 개발한 후, 자카드 계수, 중다회귀방법 및 문항타당도 검증을 통한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 Q행렬 및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핵심역량 개인 및 집단 프로파일의 특성 및 검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Excel 2016, SPSS 25, R-4.0.4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Q행렬 타당화 과정에서 자카드 계수, 중다회귀방법 및 문항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예비문항 55문항 중 변별력이 떨어지는 6문항을 삭제하여 총 49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 대학생 핵심역량 프로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문항패턴에 따른 역량 보유수준을 제시하였다. 셋째, 개인 프로파일 뿐만 아니라 집단별 프로파일 분석에서도 문항패턴에 따른 역량보유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존 검사도구와 달리 총점이 같더라도 문항반응패턴에 따라 개인 맞춤형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대학이나 기관 등 그 규모가 큰 현장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집단별 개입방안 수립의 근거에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한 진단도구 개발을 통해서 검사 소요시간 단축 및 해석이 용이하고, 검사 후 총점이 같더라도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진단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실제적인 개입 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a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To this end, after collecting data from 505 college students from October 19 to October 26, 2021, a core com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diagnosis tool for college students by applying a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 To this end, after collecting data from 505 college students from October 19 to October 26, 2021, a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The development procedur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review of prior research on core competenc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elected final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preliminary tests. After developing the Q matrix based on the final preliminary item, the validity of the Jacquard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item validity were verified to confirm the final Q matrix and item.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test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individual and group profiles of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nd Excel 2016, SPSS 25, and R-4.0.4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irst, a total of 49 items were selected by deleting 6 items with poor discrimination among 55 final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Jacquard coefficient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Q matrix verification proces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e competency profile of college students, the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the item pattern was presented. Third, not only individual profiles but also group profile analysi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competency level according to the item pattern. Unlike existing inspection tools, even if the total score is the same, a personalized profil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question response pattern.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for each group in consideration of large-scale sites such as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ctual intervention plans by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that reflec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even if the total score is the same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using diagnostic classification models.
목차 (Table of Contents)
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서울: 교육부, 2016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부, 2015
3 김현욱, 이현민,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59(2), 307-331, 2021
4 전혜정, "청소년 학습문제 진단 검사 개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20
5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서울: 교육부, 2021
6 Hennig, C., "Cluster-wise assessment of cluster stability", 52, 258-271, 2007
7 성태제,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경기: 교육과학사, 2001
8 김창대, 이정윤, 이영선, 이상민, 이동혁, 유현실, 오인수, "다면적 성 장 잠재력 검사 개발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2012
9 권재기, 김정민, 김인숙,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 방법연구, 32(3), 357-382, 2020
10 홍성연, "원격대학 우수 학습자 역량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5(4), 157-186, 2009
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서울: 교육부, 2016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부, 2015
3 김현욱, 이현민,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59(2), 307-331, 2021
4 전혜정, "청소년 학습문제 진단 검사 개발",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20
5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서울: 교육부, 2021
6 Hennig, C., "Cluster-wise assessment of cluster stability", 52, 258-271, 2007
7 성태제,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경기: 교육과학사, 2001
8 김창대, 이정윤, 이영선, 이상민, 이동혁, 유현실, 오인수, "다면적 성 장 잠재력 검사 개발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2012
9 권재기, 김정민, 김인숙,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 방법연구, 32(3), 357-382, 2020
10 홍성연, "원격대학 우수 학습자 역량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25(4), 157-186, 2009
11 White , R. W.,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66(5), 297-333, 1959
12 De La Torre, J., & Douglas, J. A, "Higher-order latent trait models for cognitive diagnosis", 69(3), 333-353, 2004
13 방희원, 최진아, 주희진, 조규판,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동북아문화연구, 55, 259-279, 2018
14 손유미, 진미석, 주휘정,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2011
15 이하원, 이화선,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 (K-CCCA)의 개발", 교양교육연구, 11(1), 97-127, 2017
16 이홍민, "역량평가: 인적자본 역량모델 개발과 역량평가", 서울: 리 드리드출판, 2009
17 노윤신, 리상섭, "국내 4년제 대학교 대학생의 역량모델 구축 사례",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5(1), 79–101, 2013
18 김지원,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9 김지효, "진단분류모형을 활용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측정", 진로교 육연구, 27(2), 23-40, 2014
20 문명현, 이윤주, 이용상,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Y 대학 사례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1143-1165, 2020
21 박수정, 송영수, "대학 특성화에 따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 발", 직업능력개발연구, 19(2), 79-107, 2016
22 김선연, 유호정, "지방 대학생 직업기초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 화", HRD 연구, 15(4), 71-100, 2013
23 최선영, 최선일, "A 전문대학 학생들을 위한 핵심역량 진단척도 고 도화", 인문사회 21, 12(6), 1325-1340, 2021
24 박찬호, 이규진, "DINA 모형 기반의 초등학교 수학 진단평가 개발과 활용", 교육평가연구, 28(4), 1129-1151, 2015
25 박상민, 정은혜, 송영숙, 김동일, 고은영, 오헌석, "대학 교수가 바 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아시아교육연구, 10(2), 195-214, 2009
26 송미영, 김수진, 김선희, "수학 평가 결과의 분석을 위한 인지 진단 이 론의 활용", 학교수학, 10(2), 259–277, 2008
27 De La Torre, J., "A cognitive diagnosis model for cognitively based multiple-choice options", 33(3), 163-183, 2009
28 김선희, 송미영, 김수진, "Fusion Model에 의한 수학 능력 진단을 위한 Q-행렬의 정교화", 교육평가연구, 21(2), 115–139, 2008
29 김경이, 장미숙, 양길석, 안현아, 박영신,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9(4), 567-595, 2017
30 백평구,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교양교육연구, 7(3), 349-387, 2013
31 김주후,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 한 분석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227-246, 2012
32 김안나, 장수명, 이병식, 박남기, "생애능력 형성을 위한 고등교육체 제의 질관리 현황과 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2
33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3(1), 105-127, 2013
34 Moore, D. R., Cheng, M. I., & Dainty, A. R., "Competence, competency and competencies: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sations", 51(6), 314-319, 2002
35 이애화, 최명숙,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 석", 교육공학연구, 30(4), 561–588, 2014
36 박지회, 신안나,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S대학사례를 중심으로", 성인계속교육연구, 10(3), 89-116, 2019
37 인보란, "인지진단모형에 의한 성별에 따른 수학 성취 특성 차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8 김기헌, 이광현, 엄문영, 박현정, 박종효, 노지윤, 김창환, "한국의 교 육지표 지수 개발연구(Ⅱ): 학생역량지수개발연구", 서울: 한국교 육개발원, 2013
39 신민, 천호준,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W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61-271, 2018
40 김지효,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한 대학생 진로자기관리 검사개발 연 구", 직업교육연구, 35(5), 149-171, 2016
41 Huebner, A., & Wang, B, "A note on comparing examinee classification methods for cognitive diagnosis models", 71(2), 407-419, 2011
42 김화영, 정은선, 이성원,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123-151, 2020
43 김세형, 박해원, "진단분류모형을 적용한 운동선수 컨디션 관리 측정 척도 개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3), 77-90, 2020
44 Tatsuoka , K. K., "Rule space : An approach for dealing with misconceptions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20(4), 435-354, 1983
45 송영숙,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 개발 및 활용: S 대학교를 중 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4), 1-21, 2019
46 전보라, 정상훈,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P 대학교 학 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8(4), 101-123, 2018
47 김래영, "인지위계구조의 분할을 바탕으로 한 다단계 인지진단 검 사 모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48 이성흠, "교육훈련프로그램 반응평가를 위한 평가범주와 질문지 개 발준거", 교육공학연구, 21(3), 187-214, 2005
49 정주영, "대학생의 핵심역량 성장 및 변화궤적탐색: K 대학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42(4), 67-90, 2021
50 고진영, 정기수,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475-504, 2017
51 김미량, 유영의, 신혜종,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A 지역의 S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411-441, 2019
52 김부미, 한정아, 최숙기, 김희경,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학업성취 프로파일 분석 및 결과 보고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53 김안나, 이병식,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육, 30(1), 367-392, 2003
54 Jaccard, P., "Distribution de la flore alpine dans le bassin des Dranses et dans quelques regions voisines", 37, 241-272, 1901
55 김누리, 이미라,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M 대학교를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4(5), 576-582, 2018
56 강민수, 소미현,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4), 236-247, 2020
57 김희연, 정지영, 민경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3), 63-87, 2018
58 유영림, 윤지영,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C대학의 핵심역 량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353-373, 2018
59 이재숙, 이정희, "학습동아리 리더의 역량에 관한 연구: 자생적 학습 동아리 리더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1(1), 189-216, 2015
60 성태제, "인지진단모형에 의한 중1 수학 ‘수와 연산’의 형성평가 도 구 개발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31(1), 29-53, 2018
61 김동일, 조영희,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초등학생 어휘능력 부진 평 가의 Q 행렬 타당화 연구", 교육문화연구, 25(1), 597-620, 2019
62 김경희, 이선영, 김선희,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공통과목 수학의 내용 영역별 교과 역량 구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3(4), 305-319, 2019
63 이영민, "대학입학사정관 전형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대학 전공계열별 핵심 역량 분석", 교육종합연구, 8(3), 1-18, 2010
64 강민철, 김영근, 김수임, "심리검사 개발에 대한 진단분류모형 적용: 요인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5(1), 87-107, 2014
65 김영희, 최보영, "대학생의 핵심역량 육성을 위한 Action Learning 에서의 경험과정 연구-근거이론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477-491, 2013
66 Stoof, A., Martens, R. L., Van Merrienboer, J.J. , & Bastiaens, T. J, "The boundary approach of competence: A constructivist aid for understandingand using the concept of competence", 1(3), 345-365, 2002
67 김성훈, "인지구조모형에 근거한 학생의 지식상태의 진단-규칙장 이 론(Rule-space theory)의 적용", 교육학연구, 43(1), 81-107, 2005
68 박윤수, 이영선, 송미영, "인지진단모형을 통한 국가수준 학업성취 도 평가 결과 분석 및 성적 보고 방법 탐색",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11
69 이성하, 최명숙, 정진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요인 타당화 연구: A대학교의 인재 특성 및 학생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 구, 32(4), 627-650, 2020
70 김혜영, 이수정, "역량진단검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진단도구와 교 과 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7(4), 139-172, 2013
71 이연주, 임경수, "Rasch 모형을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의 동형진단 도구 개발: K 대학교 핵심역량진단도구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1(2), 243-266, 2021
72 김태호, 현윤진, 최숙기,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독서 문항의 Q행렬 타당화 연구-2018학년도 대학수학능 력시험 대비 6월 모의평가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63, 201-232,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