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제왕절개술의 임상적 고찰 = Clinical Study in Cesarean S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19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8년 1월 1일부터 1980년 12월 31일까지 만 3년간 국립원호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1000gm 이상의 태아를 분만한 1,481예중 제왕절개술에 의한 분만수는 251예로 이중 임상기록이 충실한 248예와 ...

      1978년 1월 1일부터 1980년 12월 31일까지 만 3년간 국립원호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1000gm 이상의 태아를 분만한 1,481예중 제왕절개술에 의한 분만수는 251예로 이중 임상기록이 충실한 248예와 쌍태아 5예를 포함하여 253예의 신생아 및 사산아를 임상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16.7%이었다. 2.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은 C.P.D.가 34.3%로써 가장 높았고 기왕제왕절개술이 24.2%, 태위이상이 13.3%등의 순위이었다. 3. 제왕절개술식은 자궁협부횡절개가 94.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4. 마취방법은 전신마취가 98.4%이고 요추마취는 1.6%이었다. 5. 제왕절개술과 병행된 수술은 난관결찰술이 77.5%이었고 다음이 충수절제술이 43.8%이었다. 6. 모성사망율은 없으며 모성이환율은 22.9%이었다. 7. 분만진통시간별 모성이환율은 분만진행이 12시간이상 경과된 군에서 현저히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8. 양수파막시간별 모성이환율은 파막된 시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파막된 후 25시간이 경과된 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9. 주산기 사망의 백분율은 8.6%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sarean section has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improved perinatal outcome in the last few years. However cesarean section is still associated with greater morbidity for mothers.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the trend of cesarean section, materna...

      cesarean section has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improved perinatal outcome in the last few years. However cesarean section is still associated with greater morbidity for mothers. An attempt was made to evaluate the trend of cesarean section, maternal mortality and morbidity and perinatal outcome. From 1, January 1978 to 31, December 1980, 248 cases of cesarean section were analysed statistically at dept. of obstet. and gynecol., national veterans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esarean section rate was 16.7%. 2. The indications of cesarean section were cephalopelvic disproportion(34.3%), previous cesarean section(24.2%) and malpresentation(13.3%) in order. 3. In the types of operation, low cervical cearean section was most common(94.8%). 4. In the anesthesia, general anesthesia was 98.4% and spinal anesthesia was 1.6%. 5. In the incidental operations with cesarean section, there were tubal ligations(77.5%) and appendectomy(43.8%). 6. It was found that maternal mortality was a nothing and the morbidity was 22.9%. 7. Maternal morbidity was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labor was prolonged. In the group of over 12 hours after onset of labor, it was markedly increased. 8. Maternal morbidity was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rupture of membrane was extended. In the group of over 25 hours after rupture of membrane, it was markedly increased then the group of less then 25 hours. 9. Perinatal mortality was 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