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는 공소사실을 특정하여 공소를 제기해야 하는데, 형사소송법 제298조에 따라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공소장변경이 가능하다. 공소장변경과 관련하여서는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72914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113-145(3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검사는 공소사실을 특정하여 공소를 제기해야 하는데, 형사소송법 제298조에 따라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공소장변경이 가능하다. 공소장변경과 관련하여서는 공...
검사는 공소사실을 특정하여 공소를 제기해야 하는데, 형사소송법 제298조에 따라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공소장변경이 가능하다. 공소장변경과 관련하여서는 공소장변경의 한계로서 ‘공소사실의 동일성’의 의미, 공소장변경의 한계를 둘러싸고는 다수의 판례와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작위와 부작위 간 공소장변경에 대하여는 실무상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지 않았다.
작위와 부작위 간 공소장변경과 관련하여서는 먼저,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기준이 문제되는데, 대법원은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이 문제되는 경우 원칙적으로 작위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형법상 작위와 부작위는 행위 자체가 아닌 구성요건 해당 여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점에서 규범적인 평가를 통해 구별해야 한다.
그렇다면, 작위범으로 기소한 공소사실을 부작위로 변경할 경우 공소장 변경이 가능한가? 공소장변경은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가능한데, ‘기본적 사실동일설’에 의할 때, 작위와 부작위는 동일한 범행 방법 내지 행태를 두고 법적인 평가 기준을 달리 보는 것에 불과하므로, 공소사실의 동일성 자체는 인정된다고 볼 여지가 크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작위의 범죄사실을 부작위로 인정함에 있어 공소장변경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지 여부이다. 대법원은 축소사실을 인정하는 경우나, 법률적 평가만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공소장변경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인데, ‘보라매병원’ 사건에서 항소심은 공소장변경 없이 작위범을 부작위범으로 인정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에 실질적인 불이익을 초래할 염려가 없어 위법하지 않다고 판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부작위가 갖는 독자적인 형법적 의미 및 ‘보증인지위’와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이라는 추가 구성요건을 요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작위의 공소사실을 공소장변경 없이 부작위로 인정하는 것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지나치게 제약하여 법치국가적 측면에서 허용된다고 보기 어렵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secutor must specify the facts when prosecuting, and can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only when the identity of the facts charged is not disturbed. Regarding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meanin...
The prosecutor must specify the facts when prosecuting, and can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only when the identity of the facts charged is not disturbed. Regarding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meaning of the ‘identity of the facts charged is not disturbed’ and the necessity of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however, there was very little research about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between commission and omission.
Regarding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between commission and omiss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mmission and omission is a problem.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when distinguishing between the commission and omission, it is the principle that presume as the commission. However, the commission and omission should be viewed as matters of legal evaluation, not acts.
Then, is it possible to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if the prosecutor change the facts of commission to omission?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can only be made if the basic facts are same, so in this case, prosecutors can amend the bill of indictments.
The more important question is whether or not to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when the court admits the criminal fact by omission.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if it admits the reduction or makes a different legal evaluation.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if the defendant’s defense is not impaired, it is okay to accept the act as a omission without amend the bill.
however, given the criminal meaning of omissions and the additional requirements for omissions, recognition of facts as omissions without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is not permissible in terms of the rule of law.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영기,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8
2 정승환,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8
3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9
4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7
5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19
6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9
7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8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16
9 이상돈, "형법강론" 박영사 2015
10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1 홍영기,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8
2 정승환,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8
3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9
4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7
5 임웅, "형법총론" 법문사 2019
6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19
7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8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16
9 이상돈, "형법강론" 박영사 2015
10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9
11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19
12 하태훈, "형벌법규의 해석과 죄형법정원칙"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1 : 2003
13 김혁돈, "치료중단행위의 작위성에 관한 소고" 한국법학회 (23) : 305-323, 2006
14 한상훈, "치료중단과 작위, 부작위의 구별 -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2도995 판결(보라매병원 사건) -" 법학연구원 15 (15): 249-274, 2005
15 이호중, "축소사실에 대한 공소장변경 없는 유죄인정" 한국형사판례연구회 8 : 2000
16 이세화, "작위와 부작위의 단계적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19 (19): 23-42, 2007
17 양화식,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14 (14): 2002
18 윤종행,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연세법학회 2005
19 한정환, "작위와 부작위, 진정 부진정 부작위범의 구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7 (7): 75-98, 2005
20 이정원, "의학적 권고에 반한 퇴원으로 사망한 환자에 대한 형사책임 - 대판 2004.6.24, 2002도995: 소위 보라매병원사건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6 (6): 361-388, 2004
21 서보학, "새로쓴 형법총론" 박영사 2014
22 김일수, "새로쓴 형법각론" 박영사 2018
23 김상준, "사회보호법상 보호감호를 인정하기 위한 위험성 판정방식" 법원도서관 2004
24 한정환, "사기죄에서의 기망과 재산상의 이익취득" 한국형사법학회 (12) : 1999
25 이종수, "비자금의 조성 및 사용과 횡령죄의 성립여부" 서울지방변호사회 33 (33): 2019
26 박미숙, "부작위와 공범" 한국비교형사법학회 5 (5): 6-162, 2003
27 김준혁, "부작위에 의한 사기죄의 성립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법학연구원 18 (18): 237-263, 2008
28 안경옥, "부작위에 의한 기망행위" 법학연구소 8 (8): 2002
29 김성룡, "부작위에 대한 정당방위" 한국형사법학회 27 (27): 203-221, 2015
30 윤동호, "부작위범의 죄수 및 경합- 대법원 1993. 12. 24. 선고 92도3334 판결 -" 법조협회 66 (66): 638-670, 2017
31 하태훈, "부동산거래관계에 있어서 고지의무와 부작위에 의한 기망"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 : 1994
32 이근우, "보험계약상 고지의무위반의 형법적 의미" 법학연구소 (54) : 325-354, 2012
33 김성룡, "묵시적 기망?부작위를 통한 기망 및 작위와 부작위의 상응성" 한국형사법학회 (23) : 22-42, 2005
34 이석배, "묵시적 기망행위와 부작위에 의한 기망행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0 (10): 203-223, 2008
35 서정걸, "구체적 방어권과 공소장변경의 요부" 한국형사판례연구회 6 : 1998
36 이존걸, "공소장변경의 필요성판단에 관한 기준" 한국법학회 (54) : 291-307, 2014
37 김준성, "공소장변경의 필요성과 허용범위" 비교법학연구소 48 : 217-242, 2016
38 김형준, "공소장변경의 필요성과 한계" 중앙법학회 (2) : 2000
39 조성훈, "공소사실의 동일성과 죄수 판단의 관계: 판례에서 규범적 요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1 (21): 233-272, 2019
40 윤동호, "공소사실의 동일성 개념의 재고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291-318, 2006
41 홍승희, "공소사실 동일성판단에서 규범적 요소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6) : 785-804, 2006
42 김정환, "공동정범과 방조범의 구별을 전제로 한 공동정범의 방조범으로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법조협회 61 (61): 208-244, 2012
43 최병각, "공동정범과 방조범"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7 : 115-147, 2019
44 사법연수원, "검찰실무 I" 사법연수원 2016
45 前田雅英, "刑法總論講義" 東京大学出版会 2019
46 松原芳博, "刑法總論" 日本評論社 2017
47 佐久間, "刑法總論" 成文堂 2009
48 山口厚, "刑法總論" 有斐閣 2007
49 白取祐司, "刑事訴訟法" 日本評論社 2017
50 三井誠, "刑事訴訟法" 日本評論社 2018
비교형사법연구 20년간의 논의와 성과 : 형법총론 분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0.749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