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신장애인 접촉자의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 변화 : 과정과 맥락 = Changes in awareness of contact people with mental ill people about mental illnesses; Processes and contex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332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ot of this study came from the controversy that the perception of members of community on mental illness is not an image of a people with mental illness but an image of studying the notion that was formed socially. To see the 'real' people with...

      The root of this study came from the controversy that the perception of members of community on mental illness is not an image of a people with mental illness but an image of studying the notion that was formed socially. To see the 'real' people with mental illness not socially known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is study have looked at the researches that focused on people who had contacted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After looking at the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wo contrary result. One was the contact changed people's prejudices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affirmatively and the other was it changed people's prejudices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negatively. Therefo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eople's perception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change during process and the context of the contact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ecause the current social system limites contact situation in community, the continous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usually happen with specialists, families, and volunteers. In order to exclude the changes that might come from other experiences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other than the contact, the objects of this study was chosen to be the volunteers. By analyzing the datas on 8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depths interviews in comparative method, This study could see the effects of process and context of the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ption on mantal illness ca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volunteers are cureently in. By making contac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people formed their own stance on mantal illness and it lead to change in the attitude of perception on mantal illness and how to treat them. Afterward, it created idea of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community. During the contact, the main reason for changing the notion on mantal illness was drawn to be 'See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Before making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cared of the 'unexpected actions' of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Also, participants saw people with mental illness as 'people who can't do anything' since they lived in the community that is bound to form negative image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since it treated 'mantal illness as a negative nuance', 'the media that report mantal illness in provocative manner' and 'the system that enhances social streotype'.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could only perceive people with mental illness negatively changed their perception by interacting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rough the conta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the participants had chance to see the 'real' mentally disalbed people but they returned to see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s, seeing them as 'human' or focusing on the 'disease'.
      The process of changing perception through the contact includes first, 'making sta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 second, chang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actions' based on the stance, third, led from the methods 'attitude toward the action' changed. Based on mentioned processes, they formed 'the notion of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community.' The process showed contrary result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institutions, whether to see people with mental illness as 'human' or focus on the 'disease'.
      The research participants changed their perception on mantal illness within the context of 'switching the perspective within relaton of power' during all processes, starting from before the contact to the contact.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fferentiat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from community mainly affected by highly influencing instruments like media, language and the system in this social structure which grants limited contact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Also, during the contact, they were understand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the perspective of staff of the volunteering institution and volunteers. The process of concept change of mantal illness upon the contact with mantal illness shows that the change occurs within the power structure and they were recognizing mantal illness in single institutional perspective within power structure. Therefore, research participants were unable to see the 'real' people with mental illness due to various power structur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came to two implications. First, from which perspective people with mental illness should be viewed when discussing about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community. Second, it should be community's job to overcome social perception of mantal illness not individual's when discussing about retur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community. However, this study was premised on one perspective within single institution and its contact between volunteers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limit of study is the contact in community in natural situation was not stud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장애에 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이 정신장애인의 모습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념들을 학습한 데에서 기인한다는 데에 관한 문제제기로 시작했다. 사회적인 관...

      본 연구는 정신장애에 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이 정신장애인의 모습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관념들을 학습한 데에서 기인한다는 데에 관한 문제제기로 시작했다. 사회적인 관념이 덧씌워진 정신장애인이 아닌 ‘진짜’ 정신장애인을 보기 위해 실제로 정신장애인과 접촉한 사람들에 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접촉이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연구와 오히려 더 부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정신장애인 접촉자가 정신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에서의 과정과 맥락에 따라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도로 인해 지역사회에서의 접촉이 제한된 상황에서 정신장애인과의 지속적인 접촉은 주로 전문가, 가족, 자원봉사자 등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접촉 경험 외의 다른 경험으로 인한 인식의 변화를 배제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8명의 연구 참여자와 심층 면접을 통해서 얻은 자료를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정신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에서의 과정과 맥락을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은, 기관의 관점을 덧쓴 채로 접촉을 하면서 기관의 관점에 따라 자신의 하나의 입장을 취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정신장애를 인식하는 것과 정신장애인을 대하는 태도가 변화되었으며, 이후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인식을 형성했다. 접촉 과정에서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맥락으로는 ‘기관의 관점이 덧씌워진 안경으로 바꿔 쓰기’가 도출되었다.
      정신장애인과 접촉을 하기 전에 연구 참여자들은 부정적인 어감의 정신장애라는 언어와 정신장애에 관해 자극적으로 보도하는 ‘미디어’, 사회의 관념을 강화하는 ‘제도’라는 세 가지 맥락들로 인해 ‘정신장애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밖에 없는 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할 수 없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정신장애인의 ‘돌발행동’을 두려워하고 있었다.
      정신장애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던 연구 참여자들은 접촉을 통해 상호작용하며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 정신장애인의 ‘진짜’ 모습을 볼 기회를 제공받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또다시 기관의 관점이 덧씌워진 ‘안경’을 쓴 채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았다. 기관의 관점에 따라 ‘인간’으로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거나 ‘병’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았다.
      접촉을 통해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은, ‘기관에 관점에 따라 입장’을 취하고, 서 있는 입장에서 ‘행동을 인식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행동을 대하는 태도’가 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인식’을 형성하였다. 변화의 과정은 ‘인간으로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기관의 관점과 ‘병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기관의 관점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낳았다. 선행연구에서도 볼 수 있었던 상반된 연구 결과는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보는가의 차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정신장애인과 접촉을 하기 전부터 접촉을 하는 과정까지 모든 과정에서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은 ‘권력관계 안에서 안경 바꿔 쓰기’라는 맥락 안에서 변화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신장애인과의 접촉이 제한된 구조에서 미디어, 언어, 제도 등 인식을 형성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도구들의 강력한 힘에 의해 정신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구별 짓고 있었다. 또한 접촉 과정에서는 전문가와 자원봉사자라는 권력관계 안에서 전문가의 관점을 덧쓰며 정신장애를 인식하고 있었다. 정신장애인과의 접촉 경험에 따라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은 권력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권력관계에 따라 어떠한 하나의 관점 안에서 정신장애를 인식하는 것을 보여주는 과정이었다. 즉, 다양한 권력 관계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진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지 못하고, 하나의 관점을 덧쓴 채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논함에 있어, 어떠한 관점을 통해 정신장애인을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논함에 있어 사회적 인식에 초점을 두는 것은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은 개인의 몫이 아니라 사회의 몫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관 내에서 접촉을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접촉의 과정과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하나의 관점을 전제한 채 접촉을 하는 상황만을 볼 수밖에 없었다. 지역사회에서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접촉 상황을 보지 못한 것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제 1 절 연구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7
      • Ⅰ. 서 론 1
      • 제 1 절 연구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7
      • Ⅱ. 문헌 고찰 9
      • 제 1 절 정신장애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일반적 정의 9
      • 1. 정신장애에 관한 다양한 관점 10
      • 1) 장애이론에서의 다양한 관점 10
      • 2) 정신장애에 관한 생의학적 관점 12
      • 3) 정신장애에 관한 장애학적 관점 13
      • 2. 정신장애에 관한 일반적 정의 15
      • 제 2 절 정신장애에 관한 인식 변화의 맥락 18
      • 1. 정신보건체계 18
      • 2. 정신장애에 대한 사회적 낙인 21
      • 1) 정신장애와 사회적 낙인 21
      • 2) 정신장애에 관한 이중적 태도 24
      • 3. 상호작용과 사회적 낙인 28
      • 1) 낙인의 개념과 분류 28
      • 2) 상호작용 관계에 따른 낙인 30
      • Ⅲ. 연구방법 32
      • 제 1 절 질적 연구 방법 32
      • 제 2 절 연구 참여자 및 자료수집 방법 34
      • 1. 연구 참여자 34
      • 1) 연구 참여자의 선정 34
      • 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35
      • 2. 자료수집 방법 37
      • 제 3 절 자료 분석 방법 39
      • Ⅳ. 분석 결과 41
      • 제 1 절 접촉 전의 경험; 사회로부터 구별 짓기 41
      • 1. 정신장애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밖에 없는 사회 42
      • 1) 부정적인 어감의 ‘정신’장애 42
      • 2) 정신장애에 관한 자극적인 미디어의 보도 44
      • 3) 제도 안에서 강화되는 사회의 관념 46
      • 2. 사회와 만나 ‘문제’가 되어버리는 정신장애인의 ‘행동’ 49
      • 1) ‘할 수 없는’ 정신장애인 49
      • 2) ‘돌발행동’에 대한 두려움 51
      • 제 2 절 접촉을 통한 인식 변화의 맥락 53
      • 1. 접촉을 통한 변화의 시작 53
      • 1) ‘알고 모르고’의 차이 53
      • 2) 변화 과정의 가운데에 위치하기 55
      • 2. 기관의 관점이 덧씌워진 ‘안경’으로 바꿔 쓰기 56
      • 1) ‘인간’으로서 정신장애인 바라보기 60
      • 2) ‘병’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인 바라보기 62
      • 제 3 절 접촉을 통한 인식 변화의 과정 65
      • 1. 기관에 관점에 따라 입장 취하기 65
      • 1)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입장 66
      • 2) 역할에 머무르기; 역할에 가려진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입장 67
      • 2. 행동을 인식하는 방식의 변화 68
      • 1) 행동 이면의 마음에 대한 통찰 69
      • 2) 드러나는 행동만을 관찰 71
      • 3) 위험성과 이질성에 대한 의식적 배제 73
      • 3. 행동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 76
      • 1) 다른 행동에 대한 배려 76
      • 2) 위험한 행동으로 인한 구별 77
      • 4.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인식의 변화 79
      • 1) 정신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갈 사회에 관한 고민 79
      • 2) ‘전문적 치료’라는 안전장치 81
      • Ⅴ. 논의 및 결론 85
      • 제 1 절 연구 결과 요약 85
      • 제 2 절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 ; 권력관계 안에서 ‘안경 바꿔 쓰기’ 89
      • 1. 접촉 이전의 권력 85
      • 1) ‘사회적 배제와 편견’의 악순환 고리로써의 제도 90
      • 2) 기존 질서 유지 수단으로써의 미디어 91
      • 2. 접촉 과정에서의 권력; 전문적 가치 유지 수단으로써의 정신의학 92
      • 제 3 절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 95
      • Ⅵ. 참고문헌 98
      •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108
      • 부록2. 분석 결과 도출된 범주 및 하위범주 1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