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교육목표분류학의 틀에서 본 구강보건교육학 목표 분석 = An Analysis of Education Objectives of Oral Health Education Based on Revision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1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in what category th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are described based on ``A revision o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Oral health education and p...

      This study examined in what category that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are described based on ``A revision o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Oral health education and practice from Educational Objective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Korea dental hygienist Prof Council, 2009) were selected to analyze a textbook, the body contents was analyzed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activity was analyzed in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Three experts were selected as a corder for reliabl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nowledge dimension i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 was focused on the categories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in textbook analysis based on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category dimension of ``understand`` showed to be the most for the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 Moreover, there was no ``meta cognitive knowledge`` that conforms to a higher-order thinking and the category dimensions of ``analyze``, ``evaluate``, and ``create`` took very low proportion or did not exist. Conclusion,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to fragmentary and Memorizing the level knowledge. Thus we have to develop oral health education textbooks reflected a variety of cognitive and knowledge dimen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치위생(학)과 학습목표" 고문사 143-158, 2009

      2 박경숙,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991

      3 Bobbitt F, "The curriculum" Houghton Mifflin 75-80, 1918

      4 Bloom B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David Mckay 98-187, 1956

      5 Marzano RJ,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rwin Press 68-71, 2001

      6 Hauenstein AD,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objectives: holistic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58-254, 1998

      7 김보경,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과 7차교육과정과 2007개정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소연,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지구과학과 수업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신진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지리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 문항 작성"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박철규, "Bloom의 신 교육 목표 분류학에 의한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실험 수업 목표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1

      1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치위생(학)과 학습목표" 고문사 143-158, 2009

      2 박경숙,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991

      3 Bobbitt F, "The curriculum" Houghton Mifflin 75-80, 1918

      4 Bloom B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David Mckay 98-187, 1956

      5 Marzano RJ,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rwin Press 68-71, 2001

      6 Hauenstein AD,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objectives: holistic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58-254, 1998

      7 김보경,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과 7차교육과정과 2007개정교육과정의 목표체계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김소연,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지구과학과 수업목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신진걸,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지리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 문항 작성"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박철규, "Bloom의 신 교육 목표 분류학에 의한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실험 수업 목표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1

      11 강현석,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소 53 (53): 51-84, 2005

      12 Furst EJ, "Bloom’s taxonomy: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iss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4-96, 1994

      13 Tyler 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6-87, 1949

      14 Krathwohl DR, "A revis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41 (41): 212-218, 2002

      15 Anderson LW,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67-6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2 1.307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