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日本) 소재(所在) 16세기(世紀)의 조선(朝鮮) 내사본(內賜本) 연구(硏究) = A Study on Naesabon of the Joseon Dynasty of 16th Century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9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oseon Dynasty suffered a great loss from the Japan invasion of Korea in 1592. At that time so many precious books were plundered by Japanese Army. And that plundered books, now in Japan, include a lot of complete titles of the books were given by...

      The Joseon Dynasty suffered a great loss from the Japan invasion of Korea in 1592. At that time so many precious books were plundered by Japanese Army. And that plundered books, now in Japan, include a lot of complete titles of the books were given by the Kings - the Naesabon (內賜本) - of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f we could find out the quantities and the contents of them, it could be helpful for studying the same books remained incompletely now in Korea. In this respect, understanding current situation of the Naesabon(內賜本) is an important subject of the Korean bibliographic and historic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esabon(內賜本) now in Japan, especially published in 16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역사상 조선은 임진왜란을 일으킨 왜군으로부터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전국토가 유린되고 살인, 방화, 약탈은 물론 수많은 양민과 기술자의 나포, 문화재 반출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

      우리 역사상 조선은 임진왜란을 일으킨 왜군으로부터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전국토가 유린되고 살인, 방화, 약탈은 물론 수많은 양민과 기술자의 나포, 문화재 반출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 가운데 서적의 약탈 및 반출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약탈된 서적 중에는 내사본을 포함하여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든 조선전기 완질본이 다량으로 전존되고 있다. 일본 지역 내사본의 실제적 내용이 확인된다면 국내에 잔본 등으로 소장되어 있는 동본(同本)에 대한 간행시기와 배포규모 등의 관련 제반사항을 훨씬 더 자세하게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 전존 내사본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서지학적, 역사학적 측면에서 하나의 중요한 과제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현재 일본 지역에 전존되고 있는 우리나라 내사본 가운데 우선적으로 16세기에 내사된 서적을 대상으로 소장처, 판종, 시기, 주제 등의 종합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殷澤, "菱花板製作 및 內賜記硏究" 2 : 79-97, 1975

      2 김재현,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3 이재준, "장서각 소장 내사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4 千惠鳳, "韓國書誌學" 민음사 1997

      5 이재준, "藏書閣 所藏 內賜本의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1 (33) : 153-184, 2009

      6 한국서지학회,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河合文庫所藏韓國本" 한국서지학회 1993

      7 한국해외전적조사연구회,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日本 宮內廳 書陵部 韓國本 目錄" 한국해외전적조사연구회 2001

      8 李在俊, "朝鮮時代 內賜本의 內賜記 記述 形式考" 44 : 85-118, 2009

      9 沈㬂俊, "日本訪書志"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8

      10 藤本幸夫, "日本現存朝鮮本硏究-集部"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6

      1 李殷澤, "菱花板製作 및 內賜記硏究" 2 : 79-97, 1975

      2 김재현, "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3 이재준, "장서각 소장 내사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4 千惠鳳, "韓國書誌學" 민음사 1997

      5 이재준, "藏書閣 所藏 內賜本의 書誌的 硏究" 한국서지학회1 (33) : 153-184, 2009

      6 한국서지학회,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河合文庫所藏韓國本" 한국서지학회 1993

      7 한국해외전적조사연구회, "海外典籍文化財調査目錄-日本 宮內廳 書陵部 韓國本 目錄" 한국해외전적조사연구회 2001

      8 李在俊, "朝鮮時代 內賜本의 內賜記 記述 形式考" 44 : 85-118, 2009

      9 沈㬂俊, "日本訪書志"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8

      10 藤本幸夫, "日本現存朝鮮本硏究-集部"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6

      11 藤本幸夫, "日本現存內賜本について" 173-205, 2000

      12 千惠鳳, "日本 蓬左文庫 韓國典籍" 지식산업사 2003

      13 姜順愛, "奎章閣의 圖書編撰 刊印 및 流通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0

      14 白麟, "內賜記와 宣賜之記에 對하여" 6 (6): 8-19, 1969

      15 尹炳泰, "內賜記와 內賜印記" (8) : 25-43, 1983

      16 尹炳泰, "內賜記 이야기" (4) : 7-20, 1997

      17 安秉禧, "內賜本의 한 硏究" 8 : 5-30, 2002

      18 沈㬂俊, "內賜本版式ㆍ古文書套式 硏究" 一志社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