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창작판소리는 전통판소리의 고유한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창작판소리의 발전뿐만이 아닌 판소리 자체의 생명력 유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51649
서울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2025
학위논문(석사)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 전통문화활용교육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충청남도
93 ; 26 cm
지도교수: 정성미
I804:44031-20000086939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창작판소리는 전통판소리의 고유한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창작판소리의 발전뿐만이 아닌 판소리 자체의 생명력 유지...
국문초록
창작판소리는 전통판소리의 고유한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창작판소리의 발전뿐만이 아닌 판소리 자체의 생명력 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창작판소리의 현대적 전승을 위해 전승자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작판소리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전승자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판소리의 현대적 전승은 전통성과 현대성의 균형이 유지될 때 그 예술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전통성은 예술적 뿌리로써 존중되어야 하며, 동시에 현대적 감각과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요소가 결합 되었을 때 근본 있는 소리로써 생명력을 유지 할 수 있다.
둘째, 전승주체의 능동적인 역할 변화와 사회적 지지는 창작판소리의 지속적인 전승을 가능하게 한다. 창작판소리 작창법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국악대학과 국악교육기관에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는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창작판소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이는, 창작판소리의 예술적 가치를 강화하여 대중에게 판소리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셋째, 창작판소리의 전승 확대와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과 대중적 접근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 전통판소리와는 다른 창작판소리의 전승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저작권과 공연권 등 여러 제반 사항을 고려한 새로운 공연자의 발굴과 양성이 요구된다.
또한, 축제와 전시, 디지털매체는 판소리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그 가치와 저변을 확대하고 대중과 소통의 환경을 조성한다. 이는 국내뿐만 아닌 전통예술의 매력을 세계적으로 알릴 기회가 될 수 있다.
전통과 현대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전승을 위해 치밀하고 균형 잡힌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해 창작판소리가 대중과 소통하고 그 예술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판소리, 전통판소리, 창작판소리, 지속가능성, 현대적 전승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