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역절중(周易折中)』에 대한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파의 반응 양상 = A Study on the Response of Zhengzu(正祖) and the Positive school(實學派)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Zhouyizhezhong(『周易折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57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u Xi朱熹’s Zhouyibenyi周易本義 as the original text, was bound with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程氏易傳, and included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啟蒙. In addition, Qimengfuiun啓蒙附論 where Li Guang-Di李光地 studied the meanings of Yixueqimeng易學啟蒙 geometrically was also attached to Yixueqimeng易學啟蒙.
      To Zhengzu(正祖),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an exemplary book. Zhouyizhezhong(『周易折中』) considered as an example by Zhengzu(正祖) was written in support of Zhu Xi(朱熹)’s position as it was also revealed in his Yijing(『易經』) of Jingshijianyi(『經史講義』). Yet, while Zhengzu(正祖) regarded Neo-Confucianism as the right study, he also opened a way for scholars to study other theories.
      Those who took a positive view of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later came to face a new situation whe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hadn’t succeeded Neo-Confucianism faithfully, but had been written just by a royal order.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ad a negative attitude to Li Guang-Di(李光地)’s opinion because, most of all,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of Diantanglixuepai(殿堂理學派) and accepted Yangmingxue(陽明學).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원본으로 하고 정이(程頤)의 『정씨역전(程氏易傳)』을 합본한 책이며,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啟蒙)』까지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이광지가 『역학계몽』의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연구한 『계몽부론(啓蒙附論)』도 『역학계몽』 뒤에 첨부되어 있다.
      정조에게 있어서 이광지의 『주역절중』은 모범이 되는 서적이었다. 정조가 『주역절중』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그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역경』에서도 드러나 있듯이 주희의 입장을 옹호하여 서술된 책이다. 그러나 정조는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여기면서도 학자들에게 다른 학설도 공부할 길을 열어 놓았다.
      이광지의 『주역절중』에 긍정적이었던 인물들은 후에 이광지의 『주역절중』이 주자학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지 못하고, 단순히 칙명(勅命)에 의해 『주역절중』을 저술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돌아서게 된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이광지의 견해에 부정적이었던 결정적 이유는 그가 전당리학파(殿堂理學派)의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고 양명학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 조, "홍재전서(弘齋全書)" 문화재관리국장서각 1978

      2 이덕무,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0

      3 이광지, "주역절중 (전12책)" 학고방 2018

      4 호 광,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 보경문화사 1994

      5 유미림, "조선후기의 정치사상" 지식산업사 2002

      6 서근식, "조선후기 실학파의 음양오행설에 대한 비판적 인식 연구- 다산 정약용을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5 : 425-454, 2017

      7 서근식, "조선후기 실학파의 『주역』해석방법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일조각 1996

      9 신재식, "조선 후기 지식인의 李光地 수용과 비판" 한국실학학회 (34) : 581-611, 2017

      10 송호빈, "정조의 역학관과『주역』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 정 조, "홍재전서(弘齋全書)" 문화재관리국장서각 1978

      2 이덕무,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0

      3 이광지, "주역절중 (전12책)" 학고방 2018

      4 호 광,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 보경문화사 1994

      5 유미림, "조선후기의 정치사상" 지식산업사 2002

      6 서근식, "조선후기 실학파의 음양오행설에 대한 비판적 인식 연구- 다산 정약용을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5 : 425-454, 2017

      7 서근식, "조선후기 실학파의 『주역』해석방법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일조각 1996

      9 신재식, "조선 후기 지식인의 李光地 수용과 비판" 한국실학학회 (34) : 581-611, 2017

      10 송호빈, "정조의 역학관과『주역』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1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3

      12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해석사 2000

      13 김정희, "완당전집(阮堂全集)" 민족문화추진회 2003

      14 홍석주, "연천선생문집(淵泉先生文集)" 민족문화추진회 2002

      15 정약용, "역학서언(易學緖言)"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16 이 익, "역경질서(易經疾書)" 여강출판사 1984

      17 서근식,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 역학의 성립과정(Ⅲ) –이익, 신후담의 역학에서 정약용의 역학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53) : 35-61, 2017

      18 서근식,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 『주역사전(周易四箋)』 「시괘전(蓍卦傳)」의 성립과정" 한국철학사연구회 (60) : 47-73, 2019

      19 서근식, "북학파의 『주역』 해석 방법론 연구(Ⅱ)-秋史 金正喜와 근기남인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53 : 403-432, 2019

      20 김매순, "대산집(臺山集)" 민족문화추진회 2002

      21 방인, "다산의 이광지 역학에 대한 비판" 대한철학회 90 : 131-156, 2004

      22 김인철, "다산의 독창적 점서방법(筮占方法) - 「시괘전(蓍卦傳)」 상해(詳解)" 한국주역학회 6 : 2001

      23 정약용, "다산과 문산의 인성논쟁" 한길사 1996

      24 정약용, "다산과 대산⋅ 연천의 경학논쟁" 한길사 2000

      25 "경서(經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8

      26 이난숙, "茶山 丁若鏞의 中國易學 批判 硏究 : 『易學緖言』을 中心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27 서근식, "正祖의 易學思想 硏究- 『經史講義』 『易經』의 問答을 중심으로 -" 퇴계학연구원 (133) : 185-215, 2013

      28 서근식, "星湖學派에서 茶山 丁若鏞 易學의 성립과정(Ⅰ) - 星湖 李瀷의 {易經疾書}에 나타난 {周易}解釋 方法" 한국철학사연구회 (44) : 61-88, 2015

      29 서근식, "星湖 李瀷의 『周易』解釋에 관한 硏究" 퇴계학연구원 (117) : 81-112, 2005

      30 李光地, "御纂周易折中" 商務印書館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1.189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