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은 각종 재난현장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복리와 질서유지를 위하여 열과 성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업무 수행 중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는 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89979
춘천 :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 소방방재학과 , 2016. 2
2016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vii,58 p. ; 26 cm
지도교수: 이승철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방공무원은 각종 재난현장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복리와 질서유지를 위하여 열과 성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업무 수행 중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는 소...
소방공무원은 각종 재난현장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복리와 질서유지를 위하여 열과 성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업무 수행 중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당하는 소방공무원은 2014년 한해 순직 7명, 공상자 325명으로 총 332명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소방공무원의 순직과 부상은 사회는 물론 소방 내부에서조차 간과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연구 및 제대로 된 조사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국가로부터 숭고한 희생에 대한 합당한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거나, 유사한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이나 예방대책이 수립되고 있지 않아, 아직까지 업무수행 중 다치거나 순직한 소방공무원의 현실에 대해 깊이 있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와 관련 있는 이론적 배경을 갖는 기존 문헌, 소방 현장 활동 사고사례, 국민안전처 2014년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 학위논문, 언론 및 신문보도자료, 소방 교육기관 교재 등의 자료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소방 공무원의 순직·공상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외국 및 국내의 사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최근 5년간(2010~2014)의 소방공무원의 순직 및 공상자 현황을 업무활동 원인별, 유형별 등으로 분석 하였으며 119구조대원의 화재, 구조, 구급, 수난, 산악 기타 현장에서 발생한 순직·공상자 사고 사례를 분석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 하였다.
우리나라 소방공무원 공·사상자의 실태를 파악하고, 미국과 일본의 공·사상자 현황을 비교하는 한편, 우리나라 재난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며, 사례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소방공무원 및 119구조대원의 현장 활동 중 순직·공상자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인력 보강 및 전문화이다. 현장 활동 인력의 부족은 지휘관이 지휘·통솔력의 약화와 팀웍이 무력해지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둘째, 위험예지 훈련의 생활화와 구조 훈련의 효율화이다. 이 훈련은 소방 활동이나 훈련·연습 중에서 위험요인을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개인 수준에서 팀 수준으로 감수성을 높이는 훈련으로 위험예지 훈련을 강화하여 재난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안전사고를 줄임으로써 현장 활동 소방대원 및 119구조대원의 순직· 공상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현장안전관리 강화로서 구조대원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노출 이력 관리이다. 각종 재난사고 현장 활동 및 고도의 훈련과정에서 구조대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개인별 위험노출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 감독하여 대상 위험별 노출되는 회수·강도 등을 지속적으로 누적 기록하고 기록과 관찰을 바탕으로 과학적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다.
넷째, 체력관리 프로그램 정비이다. 이러한 체력은 자신이 극한 상황에 처해
도 자력으로 위험에서 탈출 할 수 있는 정신적·육체적 멘탈을 키우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