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교의례 낙화법(落火法)의 기원과 형성과정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 공란에 수기된 낙화법이 불교의례의 형식을 갖추고 있어 주목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개성지역을 촬영한 사진 제목 관등(觀燈)을 통하여,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 공란에 수기된 낙화법이 불교의례의 형식을 갖추고 있어 주목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개성지역을 촬영한 사진 제목 관등(觀燈)을 통하여,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기된 낙화법의 절차는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를 염송하는 법으로, 소의경전을 갖추고 소재도량(消災道場)을 목적으로 한 것임을 알았다. 소의경전은佛說金剛頂瑜伽最勝秘密成佛隨求卽得神變加持成就陀羅尼儀軌와 普遍光明清淨 熾盛如意寶印心無能勝大明王大隨求陀羅尼經으로 하며, 다라니는 普遍焰滿清淨熾盛 思惟寶印心無能勝總持大隨求陀羅尼(일명 수구즉득다라니)이다. 낙화법은 다음과 같은 변화과정 속에서 형성되었다. 먼저 연등(燃燈)과 낙화(洛火)를동일한 범주에서 다루지 않고, 등(燈)과 화(火)를 분리하여 기원과 개념을 밝혔다. 등은수행처를 밝혀 수행을 돕는 상징이며, 화는 대신변일(大神變日, 정월 15일)의 소재도량이다. 등(燈)과 화(火)는 중국에서 고대 세시풍습인 폭죽·상원일·납제일 등과 결합하여연등회를 탄생시킨다. 국가나 왕실이 주관하는 상원연등회는 크게 연등과 불꽃놀이(화약사용)로 구성한다. 이 행사는 신라로 유입되고, 고려로 이어진다. 고려무신기를 지나며, 상원연등회에서 연등과 불꽃놀이의 주체는 왕실에서 사찰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조선왕실의 불꽃놀이에 대한 인식은 재난·재해의 퇴치와 치병이며 왕실의 안녕과 복을 비는것으로 소재도량의 설행을 의미했다. 화약 재료인 염초(焰硝, 질산칼륨, KNO₃)와 황(S) 의 수급문제가 발생하자, 화약 재료 중에 남아있는 숯 만을 사용한 낙화법을 고안하게된다. 종이와 숯의 수급이 용이했던 사찰에서는 숯을 이용한 불꽃놀이에 불교의궤를 접합한 불교의례로 발전시킨다. 이 낙화법은 불교에서 화(火)의 개념에 담겨있던 재난을물리치고 병을 치료하는 의미를 담아냄은 물론 밀교의 삼밀(三密)수행을 잘 담아내고있다. 때문에 낙화법은 놀이가 아닌 불교수행법으로 의의가 있고, 한국전통문화의 한 종류가 되기에 충분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 of Nakhwa(落火法) written in blank of Odaejineonjib in the collection of Yeongpyeong Temple has a form of Buddhist ritual. In addition,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method of Nakhwa were analyzed through Title Merrymaking at t...

      The method of Nakhwa(落火法) written in blank of Odaejineonjib in the collection of Yeongpyeong Temple has a form of Buddhist ritual. In addition,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method of Nakhwa were analyzed through Title Merrymaking at the Lantern Festival(觀燈) of the photograph of the Kaesong area in the 1920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written procedure of the method of Nakhwa was to chant Mahā-pratisāravidya-dhāraṇi, and that it was for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Ceremonies. The Dogmatic scriptures are Mahā-pratisāravidya-dhāraṇi-kalpa and Mahā-pratisāravidya-dhāraṇi sūtra, and dhāraṇi is Mahā-pratisāravidya-dhāraṇi. The method of Nakhwa was formed in the following process of change. First of all, the origin and concept were revealed by separating the lamp and fire, without dealing with the lotus lamp and falling fire in the same category. Lamp is a symbol that helps practice by lighting where to practice, and fire is Mahā-vikurvaṇa day (January 15) of Disaster Prevention Ceremonies. Lamp and fires are combined with firecrackers, Sangwon Day and Napjae Day, which are ancient customs in China, to create a lantern festival. The Sangwon Yeondeunghoe Festival, organized by the state or the royal family, is largely composed of lotus lamp and firecrackers (using gunpowder). This event flows into Silla and leads to Goryeo. After passing the Goryeo soldier dominated period, the Supervised lantern lamp and firecrackers at the Sangwon Yeondeunghoe begins to change from the royal family to a temple. The recognition of the firecrackers display of the Joseon Dynasty was a cure, an eradication of disaster, and it meant the sermons of the ritual to pray for the well-being and blessing of the royal family. When there was a supply and demand problem of the explosive materials saltpeter (焰硝, potassium nitrate, KNO₃) and sulfur (S), they devised a method of falling with only the charcoal remaining in the gunpowder materials. In the temple, where paper and charcoal were easily supplied, it developed into a Buddhist ritual that combines the Buddhist ritual rule. This method of Nakhwa contains not only the meaning of defeating the disaster contained and curing the disease in the concept of fire in Buddhism, but also embodies the trīṇi guhyāni. Therefore, the method of Nakhwa is significant as a Buddhist practice method rather than play, and is sufficient to become a kind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시작하는 말
      • Ⅱ. 낙화법(落火法) 소의경전과 관등(觀燈)의 종류
      • 1.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의 수기(手記) 낙화법
      • 2. 1920~1930년대 개성의 관등
      • <국문초록>
      • Ⅰ. 시작하는 말
      • Ⅱ. 낙화법(落火法) 소의경전과 관등(觀燈)의 종류
      • 1.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의 수기(手記) 낙화법
      • 2. 1920~1930년대 개성의 관등
      • Ⅲ. 등(燈)과 화(火)의 상징 의미
      • 1. 수행을 도와주는 기름과 심지 공양의 등(燈)
      • 2. 악귀를 퇴치하는 화(火)
      • Ⅳ. 연등회의 변화와 낙화법의 등장
      • 1. 고려 연등회의 시작과 변화
      • 2. 조선 불꽃놀이[火戲]의 종류와 낙화법의 등장
      • Ⅴ. 낙화숯봉지 만들기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림박물관 소장본, 보물 제1838호 초조본 『법원주림』 권82(初雕本 法苑珠林 卷八十二)"

      2 상기숙, "형초세시기" 집문당 1996

      3 민병만, "한국화약의 역사" 아이워크북 2014

      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서윤길, "한국밀교사상사" 운주사 2006

      6 "한국고전번역원"

      7 김용덕, "한국 불교민속문화의 현장론적고찰" 민속원 2014

      8 고운기, "한국 1930년대의 눈동자-무라야마가 본 조선민속" 이회 2003

      9 김영순, "조선의 습속" 민속원 2014

      10 국립진주물관, "조선무기조사연구보고서Ⅰ" 국립진주박물관 2019

      1 "호림박물관 소장본, 보물 제1838호 초조본 『법원주림』 권82(初雕本 法苑珠林 卷八十二)"

      2 상기숙, "형초세시기" 집문당 1996

      3 민병만, "한국화약의 역사" 아이워크북 2014

      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5 서윤길, "한국밀교사상사" 운주사 2006

      6 "한국고전번역원"

      7 김용덕, "한국 불교민속문화의 현장론적고찰" 민속원 2014

      8 고운기, "한국 1930년대의 눈동자-무라야마가 본 조선민속" 이회 2003

      9 김영순, "조선의 습속" 민속원 2014

      10 국립진주물관, "조선무기조사연구보고서Ⅰ" 국립진주박물관 2019

      11 "영평사 소장본 『五大眞言集』 및 『靈驗略抄』"

      12 한국불교민속학회, "연등회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2013

      13 이윤수, "연등회의 역사와 문화콘텐츠" 민속원 2014

      14 "매일신보"

      15 "동아일보"

      16 세종특별자치시, "낙화역사고증 학술연구용역"

      17 恭愍王, "高麗史節要"

      18 "高麗史, 志 禮 嘉禮雜儀(仲冬八關會儀/上元燃燈會儀)"

      19 "高麗史, 列傳(世家 恭愍王/叛逆 崔忠獻/禑王)"

      20 東國大學校, "韓國佛敎全書 第4冊 : 高麗時代篇 1" 1979

      21 道世, "諸經要集"

      22 孟元老, "東京夢華錄" 소명출판사 2011

      23 무랴야마 지준(村山 智順), "朝鮮の鄕土娛樂" 민속원 2002

      24 李瀷, "星湖僿說" 萬物門

      25 法顯, "摩訶僧祇律"

      26 成俔, "慵齋叢話"

      27 道宣, "廣弘明集"

      28 贊寧, "大宋僧史略"

      29 "周禮"

      30 菩提流志, "佛說文殊師利法寶藏陀羅尼經"

      31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經史篇 論史類 風俗"

      32 金富軾, "三國史記"

      33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태종실록"

      34 김익두, "‘낙화놀이’의 지역적 분포와 유형에 관한 민족지적 고찰" 한국민속학회 48 : 111-14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