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韓國과 日本의 初期稻作  :  未完의 課題들 = Some Unsolved Issues in the Early Rice Agriculture of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24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초기 벼농사 연구에서 공통으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청원 소로리유적에서 갱신세에 속한다는 벼자료가 보고되고 있는데 ...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초기 벼농사 연구에서 공통으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청원 소로리유적에서 갱신세에 속한다는 벼자료가 보고되고 있는데 재배벼로 이어진다고 보지는 않으며 과거 일본에서도 유사한 주장이 있었다. 둘째 벼농사의 출현이 한국에서는 청동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일본에서는 야요이시대에서 죠몬시대(중기)까지 소급되는 추세이지만 벼자료에 대한 직접적인 연대측정이 요구된다. 셋째 한일양국 모두 고대의 벼는 자포니카가 주류를 이루지만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인디카가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죠몬과 야요이시대에 열대형자포니카(자바니카)가 화전이나 밭벼로 재배되었다고 보고 있다. 특히 후자는 벼농사의 남방 전래설과도 연결된다. 필자는 청동기시대나 야요이시대 전기까지는 인디카의 존재에 대해서 회의적이다. 유전자분석과 벼규산체에 의한 열대형자포니카 판별이 어느 정도의 신뢰성이 있는 것인지 필자는 알지 못한다. 그러나 만약 일본에서 열대형이 존재한다고 할 때 우리나라의 대립형 고대미와 연결될 가능성은 없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한일 양국에서 벼농사가 화전에서 밭농사 그리고 논농사로 발전하였다는 도식에 의문점을 제기하였다. 다섯째 한일 양국 모두 초기 벼농사의 남방 전래설은 근거가 미약하다. 오히려 최근 일본에서 동북 루트 가능성이 제시되듯이 한국에서도 영동지방을 통한 전래가 벼농사 전래 루트의 하나로 제기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y to deal with some common controversies in the study of early rice agriculture of Korea and Japan. Firstly, though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rice husks were found from the presumed late Pleistocene peat deposits in Soro-ri site, cen...

      This paper try to deal with some common controversies in the study of early rice agriculture of Korea and Japan. Firstly, though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rice husks were found from the presumed late Pleistocene peat deposits in Soro-ri site, central Korea, they were not directly related with domesticated rice in Korea. Rice might had been cultivated from Neolithic Korea and Jomon Japan. Nevertheless radio-carbon datings directly to rice samples are urgently needed to solve the controversy. Thirdly, early rites grown in Korea and Japan were mostly Japonica-type, but some argues that Indica-type rice had existed from Neolithic Korea and tropical Japonica(that is Javanica)-type rice had been also cultivated in slash-and-burn and/or dry fields of Jomon and early Yayoi Japan. The present writer is sceptical about this argument. If Tropical Japonica-type rice was grown in Jomon and early Yayoi, we must check a possibility that it was related with Large-type rice in Korea. Fourthly, the model that early rice agriculture of Korea and Japan had been developed from the slash-and-burn field to the paddy field via dry one is open to question since paddy field had already been operated in China before rice agriculture diffused into Korea.. Fifthly, the southern route of early rice diffusion, proposed mostly by folklorists and agronomists, still lacks archaeological evidences. Another diffusion route via eastern region of Korea is suggested though similar kind of suggestion in Japan lacks evidences of rice cultiv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野生稻 問題
      • Ⅲ. 稻作의 出現時期
      • Ⅳ. Indica의 存在 與否
      • Ⅴ. 熱帶型Japonica의 存在 與否
      • Ⅰ. 머리말
      • Ⅱ. 野生稻 問題
      • Ⅲ. 稻作의 出現時期
      • Ⅳ. Indica의 存在 與否
      • Ⅴ. 熱帶型Japonica의 存在 與否
      • Ⅵ. 稻作의 運營形態
      • Ⅶ. 稻作의 傳播路
      • Ⅷ.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