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 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의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사회적기술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실시전.후간의 사회적기술영역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3641270
서울: 단국대학교, 1996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1996
1996
한국어
371.9
대한민국
62 p.: 삽도; 27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 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의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사회적기술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실시전.후간의 사회적기술영역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 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의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사회적기술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 실시전.후간의 사회적기술영역의 발달 효과와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재활학교 지체부자유학생 중 2, 중 3 40명중에서 인지 능력이 있고 학습능력이 있는 정상학습학생 20명을 비교대상으로, 인지능력과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지체학생 20명을 훈련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회적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하였다.
사회적기술프로그램훈련은 1주일에 3회씩 1회에 50분으로 수업 시간과 재활 시간에 실시하고 조회.종례시간에 반복해서 매일 20분씩 실시했으며 프로그램 실시 일주일전에 담임교사가 대상 학생들을 관찰하여 사전 검사를 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대상 학생들은 프로그램 종료후 일주일 동안 다시 관찰하여 사후검사를 통해서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사전.사후검사와 정상학습반 학생들의 사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정상학습반 학생들과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하위 영역의 사전검사 결과를 보면 정상학습반 학생들의 사전검사 평균이 학습 지체반 학생들의 사전검사 평균 보다 79.90으로 높게 나타내어 t검증 결과 p<.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록 같은 지체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이 높은 집단의 학생들이 사회적기술발달도 뛰어남을 보 여 주었다.
둘째 : 사회적 기술이 떨어지는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집단에게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적용한 훈련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의 결과를 보면 학습지체반 학생들의 사후검사 전체 평균점수가 사전검사 보다 40.25가 증가하여 t검증 결과 p<.OO0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5가지 하위 영역별 사회적기술프로그램 훈련이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지체 학생들에게 효과가 있고 유용함을 보여 주었다.
셋째 : 학습지체 집단에게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을 적용 훈련을 실시한 사후 검사의 결과와 정상학습반 학생들의 사전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면 양집단의 평균 차가 79.90에서 40.25가 감소되어 39.55로 나타내어 t검증 결과 p<.0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양집단간에 사회적기술의 차이가 줄어 들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