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현황 분석 = The Analysis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9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in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everal theme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curriculums and execution of curriculum reorganiz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in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everal theme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curriculums and execu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on each school curriculums. Correspondence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and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explains the high concentration rates of each cross-curricular themes on reflecti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each school curriculum. As the subject, there are most high hour rates of moral course but reflected several cross-curricular themes of korean course. The cross-curricular themes of the
      special course including safety education courses of the school curriculum is assign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specially the self-regulated activity course.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on implication deductions for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the analysis of th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적용에 앞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인천 소재 초등학교 10개교의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교...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적용에 앞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인천 소재 초등학교 10개교의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부 고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외
      에도 그 외 학습 주제가 다수 적용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 학습 주제의 재구성이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별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한 사항으로는 교과에 따라 개별 범교과 학습 주제의 편중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해당
      교과 학습 내용과 범교과 학습 주제 간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도덕 교과에 가장 많은 시수를 반영하였으나 주제별로는 국어 교과에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하였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로 안전교
      육 외 각 학교에서 학교특색 또는 중점사업으로 선정한 범교과 학습 주제 관련 시수를 다수 반영하였으며, 특히 자율활동 영역에 집중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에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59-182, 2006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3 정영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 박창언, "법률적으로 규정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문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45-663, 2014

      5 채희인,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3-40, 2015

      6 이미숙, "범교과 학습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박순경, "범교과 학습에 대한 이해" 76-80, 1999

      8 이미숙, "범교과 학습에 대한 교육 전문가 및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83-202, 2010

      9 이규은, "범교과 학습 영역 국가 기준제시 방식 및 학교급별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10 왕관은, "범 교과 학습주제의 한계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53-70, 2015

      1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59-182, 2006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3 정영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 주제 개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 박창언, "법률적으로 규정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문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645-663, 2014

      5 채희인,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3-40, 2015

      6 이미숙, "범교과 학습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7 박순경, "범교과 학습에 대한 이해" 76-80, 1999

      8 이미숙, "범교과 학습에 대한 교육 전문가 및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83-202, 2010

      9 이규은, "범교과 학습 영역 국가 기준제시 방식 및 학교급별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10 왕관은, "범 교과 학습주제의 한계 논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53-70, 2015

      11 박희경,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77-101, 2014

      12 홍후조,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패러다임 전환(Ⅲ): 교육과정 개정에서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이론적·실제적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183-206, 2006

      13 강현석,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39-264, 2014

      14 이상은, "각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적 교육과정(Cross-Curricula) 접근 방식 분석: 영국, 호주, 캐나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59-79, 2008

      15 Wragg., "The cubic curriculum" Routledge 1997

      16 Reid, A., "Cross-curricularity in the national curriculum : Reflections on metaphor and pedagogy in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school geography. Pedagogy" 13 (13): 181-204, 2005

      17 소경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5-214, 2015

      18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논리의 교과별 적합성 검토: 캐나다 온타리오 주 언어과와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분석을 통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25-149, 2015

      19 교육과학기술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