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5~6세기 경주지역 고분의 위계구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7242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 역사학과 , 2007. 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대구

      • 기타서명

        Research of Rank Structure of 5th and 6th Centuries Tumulus in Gyeongju area

      • 형태사항

        ⅲ, 12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노중국
        참고문헌 : p. 102-107

      • 소장기관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新羅古墳에 대한 硏究는 그 분포상과 묘제의 변천상을 통해 당시 신라사회의 문화 전반을 이해하고 인식하는데 있어서 자료가 부족한 古代 新羅地域에 존재한 政治體의 실체를 밝히는데 많...

      新羅古墳에 대한 硏究는 그 분포상과 묘제의 변천상을 통해 당시 신라사회의 문화 전반을 이해하고 인식하는데 있어서 자료가 부족한 古代 新羅地域에 존재한 政治體의 실체를 밝히는데 많은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신라지배층의 묘제인 積石木槨墓의 연구에만 너무 편중되어 신라고분을 통한 사회계층 연구나 문화상 등은 신라지배층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국한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古墳資料는 그 수가 다른 어떤 자료보다 많다는 점과 고분이 당시 사람들이 살던 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조성되었고, 한 집단은 한 곳에 계속 고분을 조성한다는 점이 당시의 사회상을 파악하는 자료로서 고분의 적합성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분자료를 기본으로 하고, 관계되는 문헌사료도 인용하여 考古學方法論에 문헌사료를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경주지역에 대한 권역설정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자연지리적 환경을 기준으로 권역을 설정한 연구가 다수 있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권역설정의 문제를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수계와 지형을 고려한 자연지리적 환경과 문헌자료를 기준으로 고분의 분포권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경주지역을 자연지리적으로 구분하면 경주 분지는 세 강의 支流로 둘러싸이는 저지대 분지로 이루어졌지만, 그 중심지 바깥으로는 하천변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산간계곡의 대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경주지역은 月城과 大陵苑을 중심으로 한 경주분지 일원과 울산방면으로 연결되는 조양동과 구정동을 중심으로 한 동남부권, 언양방면으로 연결되는 내남면을 중심으로 한 남부권, 영천방면으로 연결되는 건천읍을 중심으로 한 서부권, 그리고 포항방면으로 연결되는 강동면과 천북면을 중심으로 하는 북부권, 마지막으로 토함산 동쪽에 위치한 감포읍와 양북면, 양남면 일대를 중심으로 한 동부권으로 지리적 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 동부권의 감포지역은 경주지역과는 토함산을 기점으로 지리적인 단절을 보이는 곳으로 경주주변권역으로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감포지역은 사로국 초기 탈해의 이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경주주변권역으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묘제는 적석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가 확인되며, 그 시기는 5~6세기대에 조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고분 분포권별 고분자료를 바탕으로 규모와 부장 유물에 대한 조합상 등을 구분하여 기준으로 설정하여 검토한 결과 모두 9단계의 위계가 확인되었다. 이를 기준으로 고분에 대한 위계화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위계화를 기준으로 각 고분의 분포권에 적용하자 모두 6단계의 고분군간 위계가 확인되었다. 그 결과 고분 분포권간에는 상위위계와 하위위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분포권간의 위계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가’지역을 비롯한 ‘다’지역과 ‘라’지역에 비해 ‘바’지역의 고분이 하위의 묘제와 부장유물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계차이의 원인을 당시 六部의 위치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종합해 보면, 경주분지 일원인 ‘가’지역은 喙部(梁部)의 범위로 비정되고, 동남부권의 조양동과 구정동 일원인 ‘나’지역은 本彼部로, 남부권의 내남면 일원인 ‘다’지역은 沙喙部(沙梁部)로, 서부권의 건천읍과 서면 일원인 ‘라’지역은 牟梁部(岑喙部), 북부권의 천북면과 강동면 일원의 ‘마’지역은 習比部로, 동부권의 감포읍과 양북면, 양남면 일원인 ‘바’지역은 漢岐部로 각각 비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동향에 관련하여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당시 정치적 동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지역과 ‘나’지역인 喙部와 沙喙部는 이 시기 이들 部의 정치적인 영향력이 다른 여타의 部들을 능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분 역시 최상급의 적석목곽묘를 비롯하여 상위에 속하는 고분이 확인된다. ‘라’지역(서부권)은 6部 가운데 牟梁部로 박씨 집단의 근거지로 보인다. 이들은 김씨 집단과 지속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이 후 왕비를 배출할 정도로 자신들의 세력을 유지하였으며, 이로 인해서 이 지역에서는 ‘가’지역에 분포하는 고분들과 동일한 묘제인 적석목곽묘가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적석목곽묘는 규모나 부장품의 수준이 ‘가’지역의 적석목곽묘보다는 하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 김씨 집단보다는 하위의 고분을 축조하는 집단으로 생각된다. 반면 ‘바’지역(동부권)은 6部 가운데 漢岐部로 실성과 눌지의 권력싸움에서 실성을 지원하였지만 폐하고 말았다. 이로 인해서 漢岐部 세력은 큰 타격을 받았고, 그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바’지역의 고분에서도 확인이 된다. 타 지역에서 보이는 적석목곽묘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으며, 수혈식석곽묘 역시 중형이나 소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장유물 역시 상당히 빈약한 편이었다. ‘나’지역인 本彼部와 ‘마’지역인 習比部는 금석문의 내용으로 보아 喙部와 沙喙部, 牟梁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漢岐部와 같이 국정운영에 배제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역의 고분은 하위에 속하는 적석목곽묘와 상위의 수혈식석곽묘가 확인되고 있으며, ‘가’·‘다’·‘라’지역에 비해서는 하위에 속하고, ‘바’지역보다는 상위에 속하는 고분이 확인되었다. 이로 보아 고분자료에 나타나는 각 분포권의 위계구조 차이는 단순히 지형적 단절이나 해당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지역상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당시 정치체의 위상과도 일정부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고분자료만으로 당시 정치체의 존재와 내부구조의 복원, 문헌자료와의 비교·검토는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니다. 그 자체가 상당한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며, 자료의 분석과 해석의 결과인 이러한 인식은 재고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고분자료를 통한 당시 정치체의 존재와 위계구조의 복원, 문헌자료와의 비교·검토는 당시 경주지역에 존재했던 각 정치체의 실체를 밝히는데 유효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es on Silla Ancient Tombs have provided a lot of resources to figure out the political systems of ancient Silla area about which there is no enough resource to understand and to recognize the culture of Silla society through its ranges and cha...

      Researches on Silla Ancient Tombs have provided a lot of resources to figure out the political systems of ancient Silla area about which there is no enough resource to understand and to recognize the culture of Silla society through its ranges and changes of tombs. The researches so far, however, have focused only on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the tombs of Silla ruling class. Thus, the researches or understanding of culture has been limited only to recognize the ruling class' culture. Nevertheless, the amount of data regarding to the tombs is a lot more than any other, the range of tombs is not far from where general citizens had lived, and a group tended to build tombs on the similar locations. These facts meant the suitability that tombs can role as important resources to find out then social atmosphere. Therefore, this research is mostly based on the data of tombs and referred to the related documentary records so that archeological methodology and documentary records are combined.
      Regarding to the area settlemen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which set the area according to natural circumstances. In this research, however, we recognized the problem of area settlement and set the area of tombs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nd natural circumstances including water system and geographical features. Thus, Gyeongju is formed of lowland basin that is surrounded by branch streams of three rivers. However, a long mountain of valleys is formed through the outside of the central area. Based on this, Gyeongju has five districts; South-East District which is centered around Joyang-dong and Gujeong-dong connected to the Ulsan and Gyeongju basin area around Wolseng and Daereungwon, South District around Naenam-myeon which is connected to Unyang, West District around Geonchen-eup which is connected to Yeongcheon, North District around cheonbuk-myeon and Gangdong-myeon which is connected to Pohang, and East District around Yangbuk-myeon, Yangnam-myeon, and Gampo-eup located at the east side of Toham mountain. Gampo area of East District which is somehow geographically unconnected starting from Toham mountain may not be involved in Gyeongju. But it seems resonable to keep this area within Gyeongju considering historical fact that Gampo area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move of Talhae in early Saroguk era. Also, it was confirmed that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Stone-Lined Tombs have found frequently and the era also was confirmed as 5th and 6th centuries.
      Based on the range data of tombs, the total 9 levels of rank has been confirmed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size and association of remains within the tombs. Based on this, we ranked the tombs and the rank of total six levels of tombs was confirmed based on this rank system. As a result, there was a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class tombs and between the range of tombs as well. We could see that ‘Ba’area had more tombs of low class and more tombs with remains compared to ‘Ga’·‘Da’·‘Ra’areas.
      To integrate the reasons for this difference between the ranks through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location of Six tribes , a part of Gyeongju basin‘Ga’area can be assumed as Hue tribe(Ryang tribe), a part of Joyang-dong and Gujeong-dong in South East District ‘Na’area can be assumed as Bonpi tribe, a part of Naenam-myeon in South District ‘Da’area as Sahue tribe(Saryang tribe), a part of Geonchen-eup and Seomyeon in West District ‘Ra’ as Moryang tribe(Jamhue tribe), a part of cheonbuk-myeon and Gangdong-myeon in North of Bookcheon ‘Ma’ as Seupbi tribe, and a part of Gampo-eup , Yangbuk-myeon, Yangnam-myeon in East District ‘Ba’ can be assumed as Hangi tribe.
      We also could find out that this tendency was related to then politic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records. It seems that Hue tribe and Sahue tribe area, ‘Ga’ and ‘Na’area, had more political power over other areas. Tombs in these two areas are high rank tombs lik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Ra’area seems to be the base of Moryang tribe Park family among Six tribes. The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Kim family, maintained their power so that they had a queen from their family, thus there ar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just like ‘Ga’ area has many of them. But, as long as the tombs here are smaller in size and have lower quality remains within them, it is assumed that Park family's social rank was not as high as Kim family's. On the other side, ‘Ba’area supported Silseong in the power struggle between Hangi tribe and Silseong of Six tribes but Silseong failed. Accordingly, Hangi tribe had a serious damage and lost its power.
      Tombs of ‘Ba’area has this aspect as well.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in other areas was not confirmed at all, there are more middle or small size Stone-Lined Tombs, and the remains were in poor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epigraph, Bonpi tribe in ‘Na’area and Seupbi tribe in ‘Ma’area were not excluded in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with Hangi tribe but didn't have as much power as Hue tribe, Sahue tribe, and Moryang tribe. There are low ranked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high ranked Stone-Lined Tombs in this are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area was lower ranked than ‘Ga’·‘Da’·‘Ra’ and higher ranked than ‘Ba’area. It is not a simple work to compare and investigate political parties, restoration of internal structure and based only on documentary records. We have to admit that this work itself may have significant danger and it is possible that the recognization as a result of record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might be fixed.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 be acknowledged that we could approach toward the political parties of Gyeongju through this restoration work as one of the ways to get closer to the historical facts. Thus, I would like to say this is meaningful by itself as another way to get to know the political parties in Gyeongju through documentary reco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1
      • 2. 硏究史 檢討와 硏究方法 = 4
      • 2.1 硏究史 檢討 = 4
      • 2.2 硏究方法 = 8
      • 3. 古墳의 分布圈과 編年 = 13
      • 1. 머리말 = 1
      • 2. 硏究史 檢討와 硏究方法 = 4
      • 2.1 硏究史 檢討 = 4
      • 2.2 硏究方法 = 8
      • 3. 古墳의 分布圈과 編年 = 13
      • 3.1 古墳의 分布圈 設定 = 13
      • 3.2 古墳의 檢討 = 20
      • 3.3 古墳의 編年 = 40
      • 4. 古墳의 位階化와 六部 = 48
      • 4.1 古墳의 位階化 基準 = 48
      • 4.2 古墳의 位階構造 = 62
      • 4.3 古墳의 分布圈과 六部 = 72
      • 5. 맺음말 = 85
      • 參考文獻 = 102
      • Abstract = 108
      • 초록 =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