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의 이상향’ 이해를 위한 전통색채의 유심적 가치 연구 = The study of ‘Spiritualism Value' in traditional color for ‘Korean's Id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aces that we created until nowadays, used western color chart theory and developed based on that theory.  This western color theory chart is very functional and systematical but no human mentality and susceptibility are included.  Therefore, like a design trend in nowadays that based on susceptibility, it could be impossible to get more value from that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Korean’s traditional sensibility of color which work is to materialize the idealism of space.  In past time, susceptibility was the basis for color theory of Korea, and applied it by materializing these colors.  Thus, there is no diversity like western’s color chart, but we could includ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lor. This study also focused on getting psychologically idealized color through color functionality.  As space gradually developed, color that used is not only based functionalism, but pursuit for the color that is based human’s mental state and susceptibility. To develop the existing standard of traditional diversity of color and through human’s pursuit for basic materialization of color based on sensibility, this color fusion will provide new value of color to people who get tired of ordinary western’s color chart.
      번역하기

      The spaces that we created until nowadays, used western color chart theory and developed based on that theory.  This western color theory chart is very functional and systematical but no human mentality and susceptibility are included.  Therefore, l...

      The spaces that we created until nowadays, used western color chart theory and developed based on that theory.  This western color theory chart is very functional and systematical but no human mentality and susceptibility are included.  Therefore, like a design trend in nowadays that based on susceptibility, it could be impossible to get more value from that theory.  This study is based on Korean’s traditional sensibility of color which work is to materialize the idealism of space.  In past time, susceptibility was the basis for color theory of Korea, and applied it by materializing these colors.  Thus, there is no diversity like western’s color chart, but we could includ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lor. This study also focused on getting psychologically idealized color through color functionality.  As space gradually developed, color that used is not only based functionalism, but pursuit for the color that is based human’s mental state and susceptibility. To develop the existing standard of traditional diversity of color and through human’s pursuit for basic materialization of color based on sensibility, this color fusion will provide new value of color to people who get tired of ordinary western’s color ch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우리가 만들어온 공간은 서양의 색상환을 이용한 다양한 이론으로 적용 발전 되어 왔다. 서양의 이러한 색 분류 작업은 무척 기능적이고 체계적이지만 인간이 갖는 심리적, 감성적 기준은 적용되어 있지 않고 있다. 때문에 현재처럼 감성을 중요시하는 디자인 트렌드에서 더 이상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한국인의 색채의식을 통해 공간이 지닌 이상향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이다. 과거 한국의 전통 색채에 있어서 기준은 인간의 감성이었으며, 이를 구체화 시켜 만들어진 색을 분류하고 적용하였다. 때문에 서양의 색상환이 갖고 있는 다양성은 없지만 색이 갖는 의미와 기능을 추가 할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색상의 감성적 기능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상향의 색상을 추출 하는데 있다. 이는 공간이 발전하면서 적용되어온 색채의 역할이 시각적 기능주의라는 틀에서 벗어나서 인간이 심리적으로 추구하고, 감성적으로 의지해온 색채의 역할을 구체화 할 수 있다. 기존의 기준이 되었던 다양한 전통색의 의미와 활용을 확대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인간이 추구하였던 근원적인 감성적 색채의 구체화는 서양의 색채에 지쳐있는 사람들에게 색의 퓨전으로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우리가 만들어온 공간은 서양의 색상환을 이용한 다양한 이론으로 적용 발전 되어 왔다. 서양의 이러한 색 분류 작업은 무척 기능적이고 체계적이지만 인간이 갖는 심리적, 감성적...

      지금까지 우리가 만들어온 공간은 서양의 색상환을 이용한 다양한 이론으로 적용 발전 되어 왔다. 서양의 이러한 색 분류 작업은 무척 기능적이고 체계적이지만 인간이 갖는 심리적, 감성적 기준은 적용되어 있지 않고 있다. 때문에 현재처럼 감성을 중요시하는 디자인 트렌드에서 더 이상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한국인의 색채의식을 통해 공간이 지닌 이상향을 구체화시키는 작업이다. 과거 한국의 전통 색채에 있어서 기준은 인간의 감성이었으며, 이를 구체화 시켜 만들어진 색을 분류하고 적용하였다. 때문에 서양의 색상환이 갖고 있는 다양성은 없지만 색이 갖는 의미와 기능을 추가 할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색상의 감성적 기능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상향의 색상을 추출 하는데 있다. 이는 공간이 발전하면서 적용되어온 색채의 역할이 시각적 기능주의라는 틀에서 벗어나서 인간이 심리적으로 추구하고, 감성적으로 의지해온 색채의 역할을 구체화 할 수 있다. 기존의 기준이 되었던 다양한 전통색의 의미와 활용을 확대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인간이 추구하였던 근원적인 감성적 색채의 구체화는 서양의 색채에 지쳐있는 사람들에게 색의 퓨전으로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호, "현대철학의 흐름" 동녁 1996

      2 권영, "한중일의 공간조영" 도서출판국제 2006

      3 우서혜, "한국적 색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2001

      4 박명원, "한국인의 색채의식 및 색채교육 연구" 성균관대 2001

      5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1999

      6 하용,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명지출판사 1986

      7 이재, "한국의 색" 일진사 2005

      8 오주석, "한국의 미" 솔 2003

      9 김수옥, "한국미술에 나타난 음양오행에 의한 색채표현에 관한 연구" 조선대 1999

      10 박성혜, "풍수지리에 있어서 색채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2003

      1 박정호, "현대철학의 흐름" 동녁 1996

      2 권영, "한중일의 공간조영" 도서출판국제 2006

      3 우서혜, "한국적 색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2001

      4 박명원, "한국인의 색채의식 및 색채교육 연구" 성균관대 2001

      5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1999

      6 하용,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명지출판사 1986

      7 이재, "한국의 색" 일진사 2005

      8 오주석, "한국의 미" 솔 2003

      9 김수옥, "한국미술에 나타난 음양오행에 의한 색채표현에 관한 연구" 조선대 1999

      10 박성혜, "풍수지리에 있어서 색채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 2003

      11 고부, "탈식민주의-이론과 쟁점" 문학과 지성사 2003

      12 김용찬,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인물과 사상사 2008

      13 고연, "조선시대 산수화" 돌베개 2007

      14 이일숙, "일본 문학사" 제이앤씨 2007

      15 오주석,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솔 2005

      16 백낙선, "색채심리를 활용한 실내 색채계획" 2005

      17 클라, "동양은 어떻게 서양을 계몽 했는가" 우물이 있는 집 2004

      18 양비, "그림으로 읽는 중국고전" 천지인 2005

      19 오주석, "그림속에 노닐다" 솔 2008

      20 이중우, "건축사상과 공간" 기문당 2002

      21 Amos Ih Tiao Chan,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기문당 2006

      22 코디최, "20세기 문화 지형도" 안그라픽스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