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 인구의 남한 유입 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남북한 정태 CGE 모형을 통한 정책 시나리오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남북한 거래가 포함된 다지역 정태 CG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75960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5-170(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인구의 남한 유입 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남북한 정태 CGE 모형을 통한 정책 시나리오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남북한 거래가 포함된 다지역 정태 CGE ...
본 연구는 북한 인구의 남한 유입 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남북한 정태 CGE 모형을 통한 정책 시나리오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남북한 거래가 포함된 다지역 정태 CGE 모형을 구축하였고, 기존연구에 따라 동독의 산업연관표를 사전정보로 활용한 신동천(2009)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계정행렬을 구축하였다. 북한 인구의 남한 이주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을 위해 북한의 노동력이 남한으로 5%, 10%, 20% 이동하는 경우와 이주해 온 노동력의 25%, 50%, 75%, 100%가 고용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총 12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남한으로 북한 노동력의 이주 비율이 높아질수록 GDP, 소비 등 실물지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주한 노동력의 취업률이 낮을수록 악화정도는 심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부정적 효과에 대비하기 위해 북한 내부 인프라 확대, 남북한 기업투자를 위한 교류 지원, 남한 내 고용안정성 강화, 북한의 인적자원 육성 등의 제도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effects on the South and North Korean population inflow using Multi-Regional static CGE model and South-North Korea integrated Social Accounting Matrix. For scenario analysis, 12 scenarios are built which are 5%, 10%, ...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effects on the South and North Korean population inflow using Multi-Regional static CGE model and South-North Korea integrated Social Accounting Matrix. For scenario analysis, 12 scenarios are built which are 5%, 10%, 20% migration rate and 25%, 50%, 75%, 100% employment rate. As the result, North Korean labor’s migration rate grow, South Korean GDP, consumption, investment are decreased. Especially as more negative impact getting worse, unemployment rate is higher. Moreover, North Korean real economic indexes are more decrease than South Korea due to decrease in manpower by population outf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xpanding North Korea base, supporting investment of enterprises, stabilizing employment in South Korea, and strengthening education efforts in North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선, "한반도 통일핸드북Ⅰ" 1303-1065, 2003
2 김범수, "통일 이후 인구이동 : 모형과 예측결과" 5 (5): 93-106, 2014
3 최지영, "통계를 통한 북한경제의 이해" 125-156, 2014
4 김재현, "온실가스 감축의 지역간 격차 영향 분석" 한국환경경제학회 20 (20): 199-228, 2011
5 이영훈, "북한의 경제성장 및 축적체제에 관한 연구 : 1956~64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6 신동천, "북한경제 사회회계행렬의 추정과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1 (11): 109-130, 2009
7 신동천, "대북투자와 북한경제" 45 (45): 155-177, 1997
8 이상림, "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 전망과 대응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9 신동천, "對北支援의 경제적 효과" 한국응용경제학회 6 (6): 69-90, 2004
10 Noland, Marcus, "The Costs and Benefits of Korean Unification: Alternate Scenarios" 38 (38): 801-814, 1998
1 이영선, "한반도 통일핸드북Ⅰ" 1303-1065, 2003
2 김범수, "통일 이후 인구이동 : 모형과 예측결과" 5 (5): 93-106, 2014
3 최지영, "통계를 통한 북한경제의 이해" 125-156, 2014
4 김재현, "온실가스 감축의 지역간 격차 영향 분석" 한국환경경제학회 20 (20): 199-228, 2011
5 이영훈, "북한의 경제성장 및 축적체제에 관한 연구 : 1956~64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6 신동천, "북한경제 사회회계행렬의 추정과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1 (11): 109-130, 2009
7 신동천, "대북투자와 북한경제" 45 (45): 155-177, 1997
8 이상림, "남․북한 통합시 인구이동 전망과 대응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9 신동천, "對北支援의 경제적 효과" 한국응용경제학회 6 (6): 69-90, 2004
10 Noland, Marcus, "The Costs and Benefits of Korean Unification: Alternate Scenarios" 38 (38): 801-814, 1998
11 Rutherford, Thomas, "Applied General Equilibrium Modeling with MPSGE as a GAMS Subsystem: An Overview of the Modeling Framework and Syntax" 14 (14): 1-46, 1999
중국 거주 탈북여성의 탈북동기 사례 분석: 그녀들은 왜 중국에 가게 되었을까?
북한경제의 저발전 극복을 위한 대안적 체제전환 모델의 모색 : 아래로부터의 체제전환 모델 구상과 북한체제에 적용 가능성 및 성공조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1.29 | 1.22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