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xploring mobil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 a repertoire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5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ngoing diffusion and growing use of smartphones have located the mobile apps at the center of the media landscape. In the hyper-competitive mobile landscape with an infinite range of choices, users constantly shift between apps. Some users tend t...

      The ongoing diffusion and growing use of smartphones have located the mobile apps at the center of the media landscape. In the hyper-competitive mobile landscape with an infinite range of choices, users constantly shift between apps. Some users tend to use diverse apps simultaneously, while others choose to use only a select few. In recent years, with the expansion of mobile apps in the marketplace that aim to serve narrower and more specific information needs of users, what we access to obtain information has become of utmost interest to marketers and mobile service providers as much as what we seek and what we do on mobil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function of mobile apps, namely the native apps and mobile browsers, as sources and intermediaries of information.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mobil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 repertoire approach was applied, which measures a set of apps in us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 preliminary survey were preceded by the actual survey.
      The data from the sample of 1,139 Korean mobile user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ere using an average of 29 apps to seek and obtain information in the 10 given domains of information. In terms of the size of the 10 sub-repertoires, Shopping constituted the largest size of repertoire, followed by News and Entertainment. Then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pendence on mobile browsers in terms of mobile information seeking and the composition of top 30 apps ranked by the sum of the frequency of use by app.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six demographic and six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size of reperto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cross the domain of mobile use behavior, information seeking and media repertoire.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of the demographic factors, gender, education level, mobile communication cost and average daily traveling tim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ize of repertoire. For psychological factors, variety-seeking tendency, hedonic motive of browsing through mobile apps and mobile efficacy were shown to be predictive for the repertoire size.
      To conclude, this study provides a snapshot of the current mobile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long-run research question from traditional media repertoire studies, that is, whether the tremend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a actually leads to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use. In addition, the exploratory findings on factors affecting the repertoire size should serve as a baseline understanding for planning future research and mobile marketing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은 전체 미디어 이용 환경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바일 퍼스트 (mobile-first)’ 시대, 이용자의 정보 탐색 ...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은 전체 미디어 이용 환경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바일 퍼스트 (mobile-first)’ 시대, 이용자의 정보 탐색 행위(information seeking behavior)를 탐구하는 데 있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이용 목록을 의미하는 ‘레퍼토리’를 측정하는 접근법을 도입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사전 연구로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본 조사에서 총 1,139명의 모바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정보 이용을 목적으로 평균 약 29개의 모바일 앱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10개 정보 분야별 레퍼토리의 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쇼핑과 뉴스, 엔터테인먼트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어 본 연구는 일 주일에 최소 1회 이상 이용하는 모바일 앱의 레퍼토리를 기준으로 이용 빈도를 가중하여 합한 값을 통해 모바일 브라우저(mobile browser)의 이용 의존도를 살펴 보았으며, 개별 앱 단위에서 이용 빈도를 가중한 응답 빈도를 기준으로 상위 30개 순위 앱들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정보 이용을 위해 사용하는 앱 레퍼토리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각 여섯 개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을 도출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과 교육 수준, 모바일 통신 요금 그리고 일 평균 이동 시간이 정보 탐색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앱 레퍼토리의 크기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다양성 추구 성향과 쾌락 동기, 그리고 모바일 이용 효능감이 레퍼토리의 크기에 대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정보 탐색 행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정보원(information source)과 정보매개자(infomediary)로서의 개별 모바일 앱의 기능에 주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원의 다양화가 이용자 관점에서 역시 정보원 이용의 다양화를 야기하는 지에 대한 전통적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의 현상적 연구 문제를 횡단적으로 살펴보고, 이용자 관점에서 예측 변인들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2. Theoretical Background 4
      • 2.1.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Mobile Environment 4
      • 2.1.1. Understand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4
      • 2.1.2. Mobile Apps as Sources of Information and Infomediaries 6
      • 1. Introduction 1
      • 2. Theoretical Background 4
      • 2.1.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Mobile Environment 4
      • 2.1.1. Understanding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4
      • 2.1.2. Mobile Apps as Sources of Information and Infomediaries 6
      • 2.2. The Concept of Media Repertoire 9
      • 2.2.1. Uses and Gratifications and the Choice of Media 9
      • 2.2.2. The Alternative Explanation on the Formation of Media Repertoire 10
      • 2.2.3. The Integrated Approach 12
      • 2.3. Application of the Repertoire Approach on Mobile Information Seeking 13
      • 3. Methodology 21
      • 3.1. Overview 21
      • 3.2. Pilot Study 22
      • 3.2.1. Focus Group Interview 22
      • 3.2.2. Open-ended Questionnaire 25
      • 3.3. Participants 27
      • 3.4. Measures 29
      • 3.4.1. Mobile App Repertoire 29
      • 3.4.2. Frequency of Use 31
      • 3.4.3. Demographic Variables 31
      • 3.4.4. Psychological Variables 32
      • 3.5. Analytic Procedure 32
      • 4. Results 33
      • 4.1. The Size of App Repertoire 33
      • 4.1.1. The Size of Total Repertoire 33
      • 4.1.2. The Size of Sub-repertoires and Correlations 35
      • 4.2. Mobile Browser Dependence and Repertoire Size 39
      • 4.2.1. Pre-processing Step 39
      • 4.2.2. Results 40
      • 4.3. Predictive Factors of the Repertoire Size 42
      • 4.3.1. Pre-processing Step 42
      • 4.3.2. Results 43
      • 5. Discussion and Implications 47
      • 6.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51
      • References 53
      • Appendix 62
      • 국문 초록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