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 초기어휘 검사도구 M-B CDI-K의 개념 분포 특성 연구 = Study on the Conceptual Distribution of Young Children Vocabulary Based on the M-B CDI-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0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provides an analysis of concept distribution and conceptual depth of children's vocabulary by using the word list of M-B CDI-K for children aged 0 to 36 months. This analysis is done depending on the conceptual system of KAIST lexical semantic network (Choi et al., 2005; Choi & Bae, 2004). We have matched each of the lexical units to its corresponding concept node and obtained useful conceptual information about the 632 lexical units of M-B CDI-K which consists of 700 lexical units. Among these 632 lexical units, 53% (336 lexical units) correspond to CONCRETE and 47% (297 units), to ABSTRACT. The 57% of CONCRETE were ARTEFACT. HUMAN-ACT covered 48% of ABSTRACT and FACT/PHENOMENON, 19.6%. Under the FACT/PHENOMENON, most verbal units and adjectival units were distributed. Diverse geometrical figures and algebetic units were distributed to the ABSTRACT RELATION. In addition, by a conceptual depth analysis, we found that the depth in concept system is related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words. Through a series of works on the conceptual distribution of the first words of children, we can understand how children develop the conceptual system while learning their first words.
      번역하기

      This work provides an analysis of concept distribution and conceptual depth of children's vocabulary by using the word list of M-B CDI-K for children aged 0 to 36 months. This analysis is done depending on the conceptual system of KAIST lexical semant...

      This work provides an analysis of concept distribution and conceptual depth of children's vocabulary by using the word list of M-B CDI-K for children aged 0 to 36 months. This analysis is done depending on the conceptual system of KAIST lexical semantic network (Choi et al., 2005; Choi & Bae, 2004). We have matched each of the lexical units to its corresponding concept node and obtained useful conceptual information about the 632 lexical units of M-B CDI-K which consists of 700 lexical units. Among these 632 lexical units, 53% (336 lexical units) correspond to CONCRETE and 47% (297 units), to ABSTRACT. The 57% of CONCRETE were ARTEFACT. HUMAN-ACT covered 48% of ABSTRACT and FACT/PHENOMENON, 19.6%. Under the FACT/PHENOMENON, most verbal units and adjectival units were distributed. Diverse geometrical figures and algebetic units were distributed to the ABSTRACT RELATION. In addition, by a conceptual depth analysis, we found that the depth in concept system is related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words. Through a series of works on the conceptual distribution of the first words of children, we can understand how children develop the conceptual system while learning their first wo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발달은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지만 언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결정적인 능력을 획득하고 발달시키는 초기 3년간의 발달은 특히 중요하다. 영유아는 초기어휘를 습득하면서 어휘체계를 형성해 나가는데 이 과정에서 동시에 개념체계가 망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러나 초기어휘와 개념체계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태이다. 피아제가 전조작기인 2세부터 7세 사이에 상-하위, 전체-부분에 대한 유목화가 이루어진다고 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초기어휘와 개념화 관계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어휘와 유아기 어휘를 구분하여 제시한 유일한 초기어휘 검사도구인 『M-B CDI-K』의 어휘 단위에 대한 개념 연구를 통해 영유아기와 유아기의 개념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어어휘대계』(Ikehara, 1997)의 의미 속성 체계를 기반으로 확장 구축된 『KAIST 다국어어휘의미망』(최기선, 2005; Choi & Bae, 2004)을 활용하여 『M-B CDI-K』중 대명사, 조사 등의 기능어를 제외한 632개 어휘 단위에 대한 개념 분포를 분석하였다. 먼저 어휘 단위와 개념체계의 매칭 작업 과정에서 발견되는 어휘의미론적 문제들을 다룬 다음 632개 어휘 단위가 일반분야 개념체계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정보를 제시한다. 직관에 따르면 영유아 초기어휘는 [추상]보다는 [구체]에 훨씬 더 많은 어휘 단위가 연결될 것 같지만 실제로 [구체]와 [추상]은 53%와 47%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구체]는 대부분이 명사이고 [추상]의 상당수는 동사와 형용사가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개념 분포와 함께 영유아 어휘가 유아 어휘로 발달하면서 상하위 개념으로 분화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어휘 단위에서 개념 분화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향후 일련의 초기어휘에 대한 개념 연구가 성과를 거둔다면 언어치료를 위한 개념 기반 영유아 초기어휘 선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한국어 교육이나 발달성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인간의 발달은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지만 언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결정적인 능력을 획득하고 발달시키는 초기 3년간의 발달은 특히 중요하다. 영유아는 초기어휘를 습득하면서 어휘체...

      인간의 발달은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지만 언어적, 인지적, 정서적으로 결정적인 능력을 획득하고 발달시키는 초기 3년간의 발달은 특히 중요하다. 영유아는 초기어휘를 습득하면서 어휘체계를 형성해 나가는데 이 과정에서 동시에 개념체계가 망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러나 초기어휘와 개념체계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태이다. 피아제가 전조작기인 2세부터 7세 사이에 상-하위, 전체-부분에 대한 유목화가 이루어진다고 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초기어휘와 개념화 관계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어휘와 유아기 어휘를 구분하여 제시한 유일한 초기어휘 검사도구인 『M-B CDI-K』의 어휘 단위에 대한 개념 연구를 통해 영유아기와 유아기의 개념체계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어어휘대계』(Ikehara, 1997)의 의미 속성 체계를 기반으로 확장 구축된 『KAIST 다국어어휘의미망』(최기선, 2005; Choi & Bae, 2004)을 활용하여 『M-B CDI-K』중 대명사, 조사 등의 기능어를 제외한 632개 어휘 단위에 대한 개념 분포를 분석하였다. 먼저 어휘 단위와 개념체계의 매칭 작업 과정에서 발견되는 어휘의미론적 문제들을 다룬 다음 632개 어휘 단위가 일반분야 개념체계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정보를 제시한다. 직관에 따르면 영유아 초기어휘는 [추상]보다는 [구체]에 훨씬 더 많은 어휘 단위가 연결될 것 같지만 실제로 [구체]와 [추상]은 53%와 47%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구체]는 대부분이 명사이고 [추상]의 상당수는 동사와 형용사가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개념 분포와 함께 영유아 어휘가 유아 어휘로 발달하면서 상하위 개념으로 분화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어휘 단위에서 개념 분화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향후 일련의 초기어휘에 대한 개념 연구가 성과를 거둔다면 언어치료를 위한 개념 기반 영유아 초기어휘 선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한국어 교육이나 발달성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남호,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2

      2 김광해, "한국어 어휘 목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1

      3 배희숙, "자연언어처리용 전자사전을 위한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한국언어정보학회 7 (7): 41-54, 2003

      4 이창기, "의미 애매성 해소를 이용한 WordNet 자동 매핑" 262-268, 2000

      5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7

      6 서상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신원프라임 2008

      7 배소영, "영유아기 언어 및 의사소통 진단평가와 치료교육의 최근 동향: MCDI와 CSBS의 한국 적용" 2003

      8 이승복, "아이와 함께하는 신기한 언어발달" 정담미디어 2006

      9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10 김태련,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1 조남호,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2

      2 김광해, "한국어 어휘 목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1

      3 배희숙, "자연언어처리용 전자사전을 위한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한국언어정보학회 7 (7): 41-54, 2003

      4 이창기, "의미 애매성 해소를 이용한 WordNet 자동 매핑" 262-268, 2000

      5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어문각 1997

      6 서상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신원프라임 2008

      7 배소영, "영유아기 언어 및 의사소통 진단평가와 치료교육의 최근 동향: MCDI와 CSBS의 한국 적용" 2003

      8 이승복, "아이와 함께하는 신기한 언어발달" 정담미디어 2006

      9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10 김태련,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11 이응백, "국민학교 학습용 기본어휘 연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9

      12 WordNet, "http://www.princeton.edu/"

      13 낱말, "http://www.natmal.com/"

      14 HowNet, "http://www.keenage.com/"

      15 FrameNet, "http://framenet.icsi.berkeley.edu/"

      16 Moratol, J., "WordNet Applications" 2004

      17 Fillmore, C. J, "The case for case. in: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Holt, Rinehard and Winston 1-88, 1968

      18 Ikehara, S, "The Semantic System, volume 1. In Goidaikei–A Japanese lexicon" Iwanami shoten 1997

      19 Pustejovsky, J, "The Generative Lexicon" MIT press 1995

      20 Schwarz, M., "Semantik: Ein" Arbeitsbuch 1993

      21 Jackendoff, R. , "Semantic structure" MIT press 1990

      22 Key、 S. K., "Procedures and problems in Korean-Chinese-Japanese Wordnet with shared semantic hierarch" 2004

      23 Cameron, L, "Organizing the world: children's concepts and categories, and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English" 48 (48): 28-39, 1994

      24 Hardy-Vallée, B, "Naturaliser les concepts"

      25 배소영, "M-B CDI-K" 한림대학교 언어병리학전공 언어발달연구방 2006

      26 Pustejovsky, J., "Lexical Semantics-The Problem of Polysem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7 Novak, J. D.,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8 Owens, R, "Language disorders: a functional approach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llyn & Bacon 1998

      29 Sowa, J. F, "Knowledge Representation: logical, philosophical, and computational foundations.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in-Publication Data"

      30 최기선, "KAIST 다국어 어휘의미망" 한국문화사 2005

      31 Miller, G., "Introduction to WordNet: an on-line lexical database" 3 (3): 235-244, 1990

      32 Bloom, P, "How children learn the meanings of words" MIT Press 2002

      33 Barrière, C, "From a children's first dictionary to a lexical knowledge base of conceptual graphs" Université Simon Fraser 1997

      34 Baker, C. F., "FrameNet's frames vs. Levin's verb classes" 27-38, 2002

      35 Ruppenhofer, J., "FrameNet II: extended theory and practice"

      36 Saussure, F,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yot 1983

      37 Laurence, S, "Concepts" MIT Press 1999

      38 Gross, G, "Classes d'objets et description des verbes" 115 : 15-31, 1994

      39 Markman, E. M, "Categorization and naming in children: problems of induction" Bradford Book-MIT Press 1989

      40 이상금, "3. 4. 5세 아동의 회화에 나타난 어휘조사" 이화여자대학연구소 인간발달연구소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