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하는 예술의 침묵: 미디어의 전환과 커뮤니케이션의 성찰 = Silence of Speaking Arts: Transition of Media and Reflexion of Commun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a work of art that speaks and makes sound becomes silent, how are we to understand this peculiar case?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he answer to this problem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edia and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Eugen Gomringer's concrete poem, <Silence> and John Cage's silent music, <4'33"> were interpreted, and Robert Morris’ <Box with the Sound of Its Own Making> which is a wooden box making the occasional sounds was also reviewed.
      The unexpected silence (or sound) of these artworks cannot be understood simply as the result of the suspension of expression or as the occurrence of communication interruption with appreciators. Because through the silence, a new way of perception has been introduced. It allows the reader of a poem and the audience of a musical work to be awar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se works of art come into being.
      This recognition can occur, not because words and sounds were interrupted by silence, but rather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words and silence was artistically highlighted. Intrinsically, silence does not stop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operation of media, but operates to keep it uninterrupted. The operation of media only performs its function in situations where it is converted to form, and silence triggers such a transition. Communication operates on the premise of a transition to secondary order to understand the selection of communicator between word and silence. A communication is executed only when this selection is observed. The artworks mentioned before selected the silence, but these unique attempts demonstrated the whole process and latent meanings of communicative operation.
      번역하기

      When a work of art that speaks and makes sound becomes silent, how are we to understand this peculiar case?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he answer to this problem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edia and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Eugen Gomringer...

      When a work of art that speaks and makes sound becomes silent, how are we to understand this peculiar case?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he answer to this problem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edia and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Eugen Gomringer's concrete poem, <Silence> and John Cage's silent music, <4'33"> were interpreted, and Robert Morris’ <Box with the Sound of Its Own Making> which is a wooden box making the occasional sounds was also reviewed.
      The unexpected silence (or sound) of these artworks cannot be understood simply as the result of the suspension of expression or as the occurrence of communication interruption with appreciators. Because through the silence, a new way of perception has been introduced. It allows the reader of a poem and the audience of a musical work to be awar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se works of art come into being.
      This recognition can occur, not because words and sounds were interrupted by silence, but rather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words and silence was artistically highlighted. Intrinsically, silence does not stop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operation of media, but operates to keep it uninterrupted. The operation of media only performs its function in situations where it is converted to form, and silence triggers such a transition. Communication operates on the premise of a transition to secondary order to understand the selection of communicator between word and silence. A communication is executed only when this selection is observed. The artworks mentioned before selected the silence, but these unique attempts demonstrated the whole process and latent meanings of communicative 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예술작품으로 형상화된 침묵의 의미를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의 맥락에서 고찰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언어예술과 음악예술 작품에서 침묵을 형상화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 작품들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시로 알려진 오이겐 곰링어(Eugen Gomringer)의 <침묵>과 존 케이지(John Cage)의 침묵하는 음악인 <4분 33초>를 주로 분석하였다. 이 작품들에서 나타난 침묵은 단순히 예술적 표현의 정지나 감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중단된 결과로 이해될 수 없다. 침묵은 표현과 소통이 발생하는 배경이나 근본이 되는 환경이 형상화된 결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작가와 해석자들의 주장에서도 그러한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에 나타난 침묵을 통해 언어와 음악적 표현은 시각적 표현으로 전환되었는데, 이로 인해 시를 읽는 독자나 음악을 감상하는 청중들은 언어와 음악이 발생하는 환경에 대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 그것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지와 체험은 말과 소리가 침묵으로 인해 중단되지 않고 오히려 말과 침묵 사이의 차이가 예술적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침묵은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작용을 (두 작용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데)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의 작용은 도구의 활용이 아니다. 그것이 형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적 상황에서 비로소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침묵은 그러한 전환을 유발한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며, 2차 질서로의 변화을 바탕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는 말과 침묵을 구분하는 상황으로부터 발생한다. 그 구분이 관찰되는 경우에만 커뮤니케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이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작용에서 침묵은 드러나지 않지만 특별한 역할을 한다. <침묵>과 <4분 33초>는 전위적인 표현방식을 통하여 일상적인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에서 침묵이 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예술작품으로 형상화된 침묵의 의미를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의 맥락에서 고찰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언어예술과 음악예술 작품에서 침묵을 형상화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

      본 논문은 예술작품으로 형상화된 침묵의 의미를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의 맥락에서 고찰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언어예술과 음악예술 작품에서 침묵을 형상화한 사례를 살펴보고, 이 작품들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시로 알려진 오이겐 곰링어(Eugen Gomringer)의 <침묵>과 존 케이지(John Cage)의 침묵하는 음악인 <4분 33초>를 주로 분석하였다. 이 작품들에서 나타난 침묵은 단순히 예술적 표현의 정지나 감상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중단된 결과로 이해될 수 없다. 침묵은 표현과 소통이 발생하는 배경이나 근본이 되는 환경이 형상화된 결과로 고려되어야 하는데, 작가와 해석자들의 주장에서도 그러한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에 나타난 침묵을 통해 언어와 음악적 표현은 시각적 표현으로 전환되었는데, 이로 인해 시를 읽는 독자나 음악을 감상하는 청중들은 언어와 음악이 발생하는 환경에 대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었고 , 그것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지와 체험은 말과 소리가 침묵으로 인해 중단되지 않고 오히려 말과 침묵 사이의 차이가 예술적으로 부각되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침묵은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작용을 (두 작용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데)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의 작용은 도구의 활용이 아니다. 그것이 형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잠재적 상황에서 비로소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침묵은 그러한 전환을 유발한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며, 2차 질서로의 변화을 바탕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는 말과 침묵을 구분하는 상황으로부터 발생한다. 그 구분이 관찰되는 경우에만 커뮤니케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이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작용에서 침묵은 드러나지 않지만 특별한 역할을 한다. <침묵>과 <4분 33초>는 전위적인 표현방식을 통하여 일상적인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작용에서 침묵이 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경, "진화론으로 바라본 20세기 현대 음악 -존 케이지 4분 33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00-108, 2020

      2 이지은, "음악, 소음, 그리고 침묵: 현대미술에서의 소리" 현대미술사학회 (22) : 313-343, 2007

      3 김무규, "소통을 위한 성찰: 체계이론의 관점으로 살펴본 성찰적 커뮤니케이션 이론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178-200, 2012

      4 벤야민·발터,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7-231, 1983

      5 크네어·게오르그, "니클라스 루만으로의 초대" 갈무리 2008

      6 손탁·수전, "급진적 의지의 스타일" 현대미학사 11-58, 2003

      7 Luhmann, Niklas, "What is Communication?" 2 (2): 251-259, 1992

      8 Gomringer, Eugen, "Theorie der konkreten Poesie" Splitter 57-, 1997

      9 Paech, Joachim, "Text und Ton im Film" Narr 47-68,

      10 Weagel, Deborah, "Silence in John Cage and Samuel Beckett: 4'33" and “Waiting for Godot”" 12 : 249-262, 2002

      1 김효경, "진화론으로 바라본 20세기 현대 음악 -존 케이지 4분 33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00-108, 2020

      2 이지은, "음악, 소음, 그리고 침묵: 현대미술에서의 소리" 현대미술사학회 (22) : 313-343, 2007

      3 김무규, "소통을 위한 성찰: 체계이론의 관점으로 살펴본 성찰적 커뮤니케이션 이론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178-200, 2012

      4 벤야민·발터,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7-231, 1983

      5 크네어·게오르그, "니클라스 루만으로의 초대" 갈무리 2008

      6 손탁·수전, "급진적 의지의 스타일" 현대미학사 11-58, 2003

      7 Luhmann, Niklas, "What is Communication?" 2 (2): 251-259, 1992

      8 Gomringer, Eugen, "Theorie der konkreten Poesie" Splitter 57-, 1997

      9 Paech, Joachim, "Text und Ton im Film" Narr 47-68,

      10 Weagel, Deborah, "Silence in John Cage and Samuel Beckett: 4'33" and “Waiting for Godot”" 12 : 249-262, 2002

      11 Hasegawa, Tomohiro, "Silence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29 (29): 668-684, 1998

      12 Cage, John, "Silence" suhrkamp 1987

      13 Schmitz-Emans, Monika, "Schweigen und Geheimnis" Die blaue Eule 7-16, 2002

      14 Luhmann, Niklas, "Reden und Schweigen" Suhrkamp 138-177, 1989

      15 Luhmann, Niklas, "Reden und Schweigen" Suhrkamp 1989

      16 Gross, Sabine, "Lesezeichen: Kognition, Medium und Materialität im Leseprozeß"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4

      17 Mandic, Danilo, "Law with the Sound of its Own Making" 24 (24): 514-549, 2020

      18 Davies, Stephen, "John Cage’s 4'33": Is it Music?" 75 (75): 448-462, 1997

      19 Balázs, Béla, "Der sichtbare Mensch" Suhrkamp 2001

      20 Hall, Edward T., "Beyond Culture" Anchor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