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정원, "李德懋의 公安派 批評理論의 受容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5 (25): 725-754, 2005
2 권정원, "李德懋 初期散文에서 公安派 受容의 實踐樣相-敍述技法의 特徵的 面貌를 中心으로-" 우리한문학회 13 (13): 353-386, 2005
3 임형택, "허균의 문예사상, In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4 김우정, "허균산문의 연구 ―산문텍스트의 확장과 문예미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16) : 273-298, 2007
5 강명관, "허균과 명대문학" 민족문학사학회 13 : 1998
6 이종호, "허균 문예사상의 좌파양명적 성향(Ⅱ)" 한국사상문화학회 12 : 2000
7 이종호, "허균 문예사상의 좌파양명적 성향(Ⅰ)" 한국사상문화학회 11 : 2000
8 유명종, "한국의 양명학" 동화출판공사 1983
9 김도련, "한국고문의 발전과정과 특성" 국민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 : 1985
10 김영진, "조선후기의 명청소품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 권정원, "李德懋의 公安派 批評理論의 受容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5 (25): 725-754, 2005
2 권정원, "李德懋 初期散文에서 公安派 受容의 實踐樣相-敍述技法의 特徵的 面貌를 中心으로-" 우리한문학회 13 (13): 353-386, 2005
3 임형택, "허균의 문예사상, In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4 김우정, "허균산문의 연구 ―산문텍스트의 확장과 문예미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16) : 273-298, 2007
5 강명관, "허균과 명대문학" 민족문학사학회 13 : 1998
6 이종호, "허균 문예사상의 좌파양명적 성향(Ⅱ)" 한국사상문화학회 12 : 2000
7 이종호, "허균 문예사상의 좌파양명적 성향(Ⅰ)" 한국사상문화학회 11 : 2000
8 유명종, "한국의 양명학" 동화출판공사 1983
9 김도련, "한국고문의 발전과정과 특성" 국민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 : 1985
10 김영진, "조선후기의 명청소품 수용과 소품문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1 金大中 , "조선후기 한문학연구와 ‘중국’이라는 타자" 대동문화연구원 (60) : 227-270, 2007
12 송혁기,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 월인 2006
13 김풍기, "조선중기 고문의 소품문적 성향과 許筠의 척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35 : 2001
14 김우정, "조선 중기 복고적 산문의 두 경향" 한국한문학회 (37) : 399-428, 2006
15 강명관, "이덕무와 공안파" 민족문학사학회 21 : 159-188, 2002
16 권정원, "이덕무 초기 산문의 공안파 수용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7 김우정, "유몽인 산문에 있어서 自得의 의미와 실현양상" 동양학연구원 (40) : 1-20, 2006
18 김우정, "월정 윤근수 산문의 성격" 근역한문학회 19 : 2001
19 이우일, "원굉도와 박지원의 문학사상 연구: 소품문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0 임유경, "우리한문학과 일상문화" 소명출판 2007
21 임유경, "우리한문학과 일상문화" 소명출판 2007
22 김도련, "연암문학에 대한 小考:연암의 고문론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 : 1981
23 김우정,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근역한문학회 30 : 83-104, 2010
24 이성혜, "소품문의 문체적 특징에 관한 고찰" 동양한문학회 12 : 1998
25 김우정, "선조ㆍ광해 연간 文風의 변화와 그 의미: 前後七子 수용 논의의 반성적 고찰을 겸하여" 한국한문학회 (39) : 187-222, 2007
26 이종주, "북학파의 인식과 문학" 태학사 2001
27 강명관, "다산과 명청문학" 동양한문학회 36 (36): 5-21, 2013
28 김도련, "고문의 원류와 성격"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 1979
29 김혈조, "고려 중엽 한문 산문의 문체" 우리한문학회 18 (18): 85-120, 2008
30 김우정, "간이 최립 산문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31 金聲振, "許筠의 尺牘에 대핸 一考察" 한국한문학회 (31) : 7-47, 2003
32 김우정, "澤堂 李植과 17세기 초 문단" 동방한문학회 (46) : 119-142, 2011
33 정선모, "唐·宋古文의 初期受容樣相考 -對北宋 外交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48) : 11-49, 2011
34 장유승, "前後七子 수용과 秦漢古文派 성립에 대한 비판적 고찰" 근역한문학회 36 : 97-128, 2013
35 김동석, "『열하일기』에 형상화된 공안파의 영향" 우리한문학회 5 : 2001
36 김우정, "『月汀集』의 知性史的 意味와 位相 -尹根壽의 학문과 문학에 대한 조망을 겸하여-" 한국고전번역원 39 (39): 39-68, 2012
37 윤해동, "‘숨은 神’을 비판할 수 있는가? -金容燮의 ‘內在的 發展論’-" 한국사학사학회 (14) : 105-134, 2006
38 김철범, "19세기 전반 산문론의 전개와 그 특성" 동양한문학회 11 : 1997
39 노경희, "17세기 明代文學論의 流入과 漢文散文의 '朝鮮的' 전개에 대한 一考 -申最 金錫 選集 刊行의『皇明茅鹿門王 州二大家文抄』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7) : 423-453, 2005
40 강명관, "16세기 말∼17세기 초 의고문파의 수용과 진한고문파의 성립" 한국한문학회 18 : 1995
41 강명관, "16세기 17세기 초 秦漢古文派의 산문비평론" 대동문화연구원 41 : 167-205,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