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폐병쟁이들의 근대-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결핵의 표상- = Modernity of Lung Disease Patients―Representation of Tuberculosis Appeared in Modern Korean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7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나는 결핵에 대한 체험은 질병에 대한 근대인들의 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반응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광수의 「혈서」는 식민 본국의 일본인 여인 노부코의 결핵을 가부장적인 가정에 반발하여 자신의 정념을 펼쳤다가 얻게된 순결한 마음의 발로로 이해한다. 따라서 그녀의 사랑을 사후적으로 추인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사랑의 실천이 작품의 화자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때 그 순결한 마음을 전하고 민족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것은 노부코에 의해 피로 쓰여진 글자를 통해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나도향의 『환희』는 자신의 실수로 인해 결핵이라는 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혜숙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그녀는 뒤늦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죄갚음으로 죽음을 선택한다. 그녀는 결핵이라는 질병을 스스로에 대한 처벌로 받아들이고 선용에 대한 뒤늦은 자신의 연모를 전하기 위해 흘러가는 강 위에 피로 쓴 흔적을 남기지만, 그 알 수 없는 글자는 끝내 선용에게 전해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독자들은 알고 있다. 아름답고 재주 있는 사람이 걸리는 질병인 결핵에 걸렸음을 사람들이 처음 확인하는 증상은 각혈이라는, 피의 분출이다. 이광수와 나도향이 선명하게 새겨넣은 결핵 걸린 자의 피로 쓴 글자들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기의 결핵의 표상을 알려주는 표지로서 기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핵의 표상으로서 피로 쓰인 글자가 보여주는 두 가지 방식이 결핵의 낭만화와 관련을 지닌다면, 채만식과 강경애의 소설은 결핵을 탈낭만화시킴으로써 당대 사회를 조명하는 분명한 성과를 보여준다. 결핵이란 주체의 죄와 관련된 어떤 질병이 아니라, 식민지 사회의 저개발된 상황에서 발생한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실이었음을 직시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채만식과 강경애의 소설이다. 이들에게 결핵이란 식민지 조선의 가난한 현실을 환기시키는 질병으로 표상되고 있다. 이는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결핵의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나는 결핵에 대한 체험은 질병에 대한 근대인들의 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반응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광수의 「혈서」는 식민 본국의 ...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나는 결핵에 대한 체험은 질병에 대한 근대인들의 모순적이고도 양가적인 반응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광수의 「혈서」는 식민 본국의 일본인 여인 노부코의 결핵을 가부장적인 가정에 반발하여 자신의 정념을 펼쳤다가 얻게된 순결한 마음의 발로로 이해한다. 따라서 그녀의 사랑을 사후적으로 추인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사랑의 실천이 작품의 화자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때 그 순결한 마음을 전하고 민족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것은 노부코에 의해 피로 쓰여진 글자를 통해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나도향의 『환희』는 자신의 실수로 인해 결핵이라는 처벌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혜숙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그녀는 뒤늦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죄갚음으로 죽음을 선택한다. 그녀는 결핵이라는 질병을 스스로에 대한 처벌로 받아들이고 선용에 대한 뒤늦은 자신의 연모를 전하기 위해 흘러가는 강 위에 피로 쓴 흔적을 남기지만, 그 알 수 없는 글자는 끝내 선용에게 전해지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독자들은 알고 있다. 아름답고 재주 있는 사람이 걸리는 질병인 결핵에 걸렸음을 사람들이 처음 확인하는 증상은 각혈이라는, 피의 분출이다. 이광수와 나도향이 선명하게 새겨넣은 결핵 걸린 자의 피로 쓴 글자들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기의 결핵의 표상을 알려주는 표지로서 기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핵의 표상으로서 피로 쓰인 글자가 보여주는 두 가지 방식이 결핵의 낭만화와 관련을 지닌다면, 채만식과 강경애의 소설은 결핵을 탈낭만화시킴으로써 당대 사회를 조명하는 분명한 성과를 보여준다. 결핵이란 주체의 죄와 관련된 어떤 질병이 아니라, 식민지 사회의 저개발된 상황에서 발생한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실이었음을 직시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채만식과 강경애의 소설이다. 이들에게 결핵이란 식민지 조선의 가난한 현실을 환기시키는 질병으로 표상되고 있다. 이는 한국 근대소설에 나타난 결핵의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2 "한국결핵사" 대한결핵협회 1998

      3 류보선,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소명 2005

      4 채만식, "탁류" 동아출판사 1995

      5 "청춘"

      6 프레드릭 카트라이트, "질병의 역사" 가람기획 2004

      7 미셸 푸코, "임상의학의 탄생" 인간사랑 1996

      8 강경애, "인간문제" 동아출판사 1995

      9 이광수, "이광수전집 16" 삼중당 1966

      10 이광수, "이광수전집 14" 삼중당 1966

      1 신동원, "호환, 마마, 천연두-병의 일상 개념사" 돌베개 2013

      2 "한국결핵사" 대한결핵협회 1998

      3 류보선,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소명 2005

      4 채만식, "탁류" 동아출판사 1995

      5 "청춘"

      6 프레드릭 카트라이트, "질병의 역사" 가람기획 2004

      7 미셸 푸코, "임상의학의 탄생" 인간사랑 1996

      8 강경애, "인간문제" 동아출판사 1995

      9 이광수, "이광수전집 16" 삼중당 1966

      10 이광수, "이광수전집 14" 삼중당 1966

      11 이광수, "이광수전집 14" 삼중당 1966

      12 수잔 손택, "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2010

      13 존 윌러, "왜 하필이면 세균이었을까" 몸과마음 2004

      14 "별건곤"

      15 "매일신보"

      16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문학과지성사 2004

      17 "동광"

      18 나도향, "나도향 전집 하" 1998

      19 나도향, "나도향 전집 상" 1998

      20 "국역 경성발달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21 황종연, "고도의 근대" 동국대출판부 2012

      22 최은경,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대한의사학회 21 (21): 227-250, 2012

      23 福田眞人, "結核の文化史-近代日本における病のイメージ" 名古屋大學出版會 1995

      24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大阪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enter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9 1.314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