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양시 진상 방언의 성조형과 음조형 = A Study on the Tonemic Patterns and their Pitch Forms of Jinsang Dialect, Gwangyang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1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방점법 이론에 의해서 광양시 진상 방언의 성조가 가장 상위의 층위인 방점 층위에서는 무표 성조인 평성(□)과 유표 성조인 측성으로 나눠지고, 측성은 다시 그 조치가 단순 수평...

      이 연구는 방점법 이론에 의해서 광양시 진상 방언의 성조가 가장 상위의 층위인 방점 층위에서는 무표 성조인 평성(□)과 유표 성조인 측성으로 나눠지고, 측성은 다시 그 조치가 단순 수평조인 거성(·□)과 완만한 굴곡조인 상성(:□)으로 나누어지는 3성조 체계이며, 무표 성조의 약한 중화력과 유표 성조들의 강한 중화력으로 말미암아 최종 방점 표상에서는 성조의 연결에 제약이 심하여 크게 4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짐을 증명했다. 그 4가지는 2분법으로 분류하면 1차적으로 평측형(□₁·□ⁿ)과 측성형으로 나눠지고, 2차적으로 평측형은 평1형(□·□₀)과 평복형(□₂·□ⁿ)으로, 측성형은 거성형(·□₁)과 상성형(:□₁)으로 나눠지며, 평복형을 더 나누면 평2형, 평3, ……, 평n형으로 나눠짐을 밝혔다. 이 방언의 방점형은 3음절 이상인 경우 평성으로만 이루어지는 평성형(□₃)이 없다는 점에서 그것이 있는 창원 방언과 다르며, 또 창원 방언에서는 없는 4음절 이상의 평측형의 1측형(□₃·□)화가 거의 필수적으로 일어나서, 2측형, 3측형, ……, n측형 등은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보여주었다.
      방점법에서 제2의 층위인 성조형의 도출은 방점들을 대상 방언의 높낮이 표시인 성조들로 바꿔 주는 단순 작업이다. 광양시 진상 방언에서는 □, ·□, :□은 각각 H, M, 으로 바꾸면 되므로, 4가지 방점형 곧 평1형(□·□₀), 평복형(□₂·□ⁿ), 거성형(·□₁), 상성형(:□₁)은 각각 HM₀, H₂Mⁿ, M₁, ₁으로 간단하게 바뀐다. 제3의 층위는 성조형에서 음조형을 도출한다. /국론/이 음운 규칙의 적용으로 [궁논]으로 도출되는 것처럼, 성조형은 음조 실현 규칙의 적용으로 음조형이 도출된다. 성조형과 그것에서 도출되는 으뜸음조형과 버금음조형들을 적으면, /HM₁/{[HM₁], [HнM₀], [HHM₀]}, /H₂Mⁿ/[Mн₀HMⁿ], /M₁/{[HHM₀], [MHM₀]}, /₁/{[HM₀], [ḦM₁]}이 된다.
      제4의 층위는 음조형을 더 자세히 기술하는 곳이다. 음조형은 심리적인 판단에 의해 주관적으로 기호화하는 대신에, 그리고 또한 음향물리적인 측정 대신에, 지각심리적인 관점에 의해 개발해 낸 사분음척도로 제보자에게서 얻은 음향 스펙트로그람을 측정하여 Qt 단위로 엄격하게 객관적인 방법으로 기호화했다(참고: 1Qt=1/24 Octave). 우리의 측정과 기호화의 장점과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이 방언에 대한 선행연구 성과인 후꾸이(1998)의 주관적인 액센트형 기술과 대조했다. 그리고 사분음척도의 사용에 의한 음조형 기술은 아직 그 역사가 2년 정도밖에 안 되며, 연구 논문도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사용 방법의 개발에 무게를 두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tonemic patterns and their pitch forms of Jinsang dialect, Gwangyang City, based on the side-dot theory. This dialect has three tone system, which consist of an unmarked even tone and two marked tones, wh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tonemic patterns and their pitch forms of Jinsang dialect, Gwangyang City, based on the side-dot theory. This dialect has three tone system, which consist of an unmarked even tone and two marked tones, which are departing tone and rising tone. The even tone is symbolized as □ with no dot, the rising tone, the departing tone as ·□ with one dot, and the rising tone as :□ with two dots. The symbols □, ·□, and :□ are common signs in Middle Korean and all its modern daughter tone dialects. The symbols □, ·□, and :□ are decided according to the neutralization force exercising upon the following syllable and on the basis of phonetic complexity of pitch. The three tones □, ·□, and :□ can b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word initial position. Both even tone □ and marked tone ·□ can can b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position after the even tone □, but rising tone is neutralized as ·□ except at the word initial position. Marked marked tone ·□ only can appear at the position after ·□, or :□.
      Because of the restriction mentioned above, the ways of combination of the side-dot symbols, that is, the side-dot patterns of this dialect are much restricted as follows: ① Pyeong-il ‘only-one even tone’ complex pattern □·□₁, ② Pyeong-bok ‘more -than-two even tone’ complex pattern □₂·□ⁿ, ③ Geoseong pattern ·□₁, ④ Sang-seong pattern :□₁.
      Each side-dot symbol □, ·□, and :□ has its underlying pitch value, /H/(high), /M/(mid), and //(mid-rising), respectively in Jinsang dialect. We can call /H/, /M/, and // as tone represen tations, or tones. Therefore each of the four side-dot patterns has its own tonemic pattern representations: /HM₁/(□·□₁), /H₂·Mⁿ/(□₂·□ⁿ), /M₁/(·□₁), //(:□₁,).
      Each tonemic pattern representation is realized as its surface pitch form through the application of some pitch realization rules. The couples of each tonemic pattern and its pitch form are as follows: /HM₁/{[HM₁], [HнM₀], [HHM₀]}, /H₂Mⁿ/[Mн₀HMⁿ], /M₂/{[HHM₀], [MHM₀}, /₂/{[HM₀], [ḦM₁]}
      The tone signs and pitch signs can not be determined arbitrarily from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We have measured sound spectrograms of tape-recorded pitch forms with the Quarter Tone Scale (Q-tone scale) developed by SeongㆍKwonㆍLeeㆍGim's team in 2006. The scale is not a acoustic-physical scale of the unit Hz but the perceptual-psychological scale of the unit Qt(cf. 1Qt is 1/24 octave).
      Each Qt knots of pitch forms are made up as a Qt chain. There are thre kinds of Qt chain. One is measure Qt chain, a chain of Qt rate in each syllable, an other is the adjusted Qt chain which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modu lation. The other is reference Qt chain which can be obtained by contrast and comparision of a large amount of measure Qt chains and adjusted Qt chain.
      The tone signs /H/, /M/ and //, and the pitch he tone signs [H]/, [M], [н], [Ḧ] and [] and so on are determined through strict contrast of the above three Qt chai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曺廷換, "「韓國語昌寧方言アクセント体系―体言を中心に―」, 韓國語アクセント叢論" 東京大學大學院人文社會系硏究科 附屬文化交流硏究施設 東洋諸民族言語文化部門 21-49, 2000

      2 "훈민정음(訓民正音). 1446. 한글학회(1997)"

      3 이돈주, "한중 한자음 연구" 태학사 2003

      4 "최세진. 1527. 훈몽자회(訓蒙字會) . 대제각 영인본(1973)"

      5 "최세진. 1517. 「번역 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 사성통해(四聲通解). 대제각 영인본(1974)"

      6 허웅, "중세국어 연구" 정음사 1972

      7 김완진, "중세국어 성조의 연구" 탑출판사 1977

      8 김차균, "중부 동해안 방언 성조의 비교" 도서출판 글누림 2006

      9 최영미, "정선방언의 성조체계와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9

      10 福井玲, "전남 광양시 방언의 액센트 체계와 그 지리적 분포에 대하여" (31) : 271-287, 1998

      1 曺廷換, "「韓國語昌寧方言アクセント体系―体言を中心に―」, 韓國語アクセント叢論" 東京大學大學院人文社會系硏究科 附屬文化交流硏究施設 東洋諸民族言語文化部門 21-49, 2000

      2 "훈민정음(訓民正音). 1446. 한글학회(1997)"

      3 이돈주, "한중 한자음 연구" 태학사 2003

      4 "최세진. 1527. 훈몽자회(訓蒙字會) . 대제각 영인본(1973)"

      5 "최세진. 1517. 「번역 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 사성통해(四聲通解). 대제각 영인본(1974)"

      6 허웅, "중세국어 연구" 정음사 1972

      7 김완진, "중세국어 성조의 연구" 탑출판사 1977

      8 김차균, "중부 동해안 방언 성조의 비교" 도서출판 글누림 2006

      9 최영미, "정선방언의 성조체계와 그 역사적 변천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9

      10 福井玲, "전남 광양시 방언의 액센트 체계와 그 지리적 분포에 대하여" (31) : 271-287, 1998

      11 윤양석, "음악 기초론―소재와 양식―" 세광음악출판사 1986

      12 강흥구, "울진방언 사조와 음조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학회 (43) : 31-52, 2003

      13 강흥구, "울진 방언 가사문학 작품의 성조 연구" 한말연구학회 (19) : 1-65, 2006

      14 강흥구, "울진 방언 가사문학 작품 ≪유람일기≫의 운율의 분석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54) : 31-80, 2007

      15 강흥구, "울진 방언 가사(歌辭)의 운율 연구" 한말연구학회 (23) : 1-62, 2008

      16 김차균, "우리말의 성조" 태학사 1993

      17 김차균, "우리말 방언 성조의 비교" 도서출판 역락 1999

      18 김세진, "우리말 방언 성조 체계 설정 방법 -대립과 중화에 바탕을 두고-" 어문연구학회 (44) : 79-124, 2004

      19 김차균, "영호남 방언 운율 비교" 도서출판 역락

      20 김차균, "영남 방언 성조 비교" 도서출판 역락 2003

      21 "소학언해(小學諺解). 1586. 대제각 영인본(1997)"

      22 이문규, "성조소 기술 방법론의 비교 연구" 언어과학회 (15) : 213-231, 1998

      23 김차균, "성조 연구 in : 허 웅 선생의 우리말 연구" 태학사 159-225, 2005

      24 이호영, "서울말과 경상도 방언의 운율 유형론" 한국언어학회 (15) : 353-382, 1993

      25 김세진, "사천 방언과 하동 방언 평측형 풀이씨의 형태성조론적 고찰" 한글학회 (277) : 47-99, 2007

      26 김차균, "방점법" 한국언어학회 15 : 145-167, 1993

      27 허웅, "방점 연구―경상도 방언 성조와의 비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 : 37-194, 1955

      28 임석규, "동남방언의 성조소에 대한 재검토" 국어국문학회 135 : 21-40, 2003

      29 최명옥, "동남 방언의 성조형과 그 분포" 67-88, 1990

      30 "동국정운(東國正韻). 1448. 대제각 영인본(1973)"

      31 이문규, "대구방언과 안동방언의 성조 비교 연구" 한국어문학회 77 : 101-149, 2002

      32 이문규, "대구 방언의 성조 중화 현상" (18) : 21-44, 1997

      33 김차균, "나랏말과 겨레의 슬기에 바탕을 둔 음운학 강의" 태학사 1998

      34 김영만, "국어 초분절음소의 사적 연구" 고려대학교 1986

      35 구현옥, "국어 성조 기술 방법 비교 연구" 한글학회 260 : 5-40, 2003

      36 김차균, "국어 방언 성조론" 도서출판 역락 2002

      37 김영만, "고금 성조 비교 재론" 한글 학회 (149) : 43-76, 1972

      38 김차균, "경상도 방언의 성조 체계" 서울대학교 1977

      39 김차균, "경상도 방언의 성조 체계" 과학사 1980

      40 김주원, "경상도 방언의 성조 기술방법―표기 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시론―" 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7 (27): 585-608, 1991

      41 정원수, "경북 방언의 복합 동사 형성에 나타나는 성조 변동 연구" 한글 학회 (224) : 73-94, 1994

      42 이문규, "경북 방언 의문문의 성조 연구" 한글 학회 (252) : 5-45, 2001

      43 박숙희, "경북 동해안 방언의 성조 연구" 도서출판 역락 2008

      44 김세진, "경남 서남부 방언의 성조 연구" 충남대학교 2006

      45 김차균, "경남 동남부 방언의 성조 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0) : 23-119, 2008

      46 강흥구, "강릉 방언 1음절 어간 풀이씨의 성조" 한글학회 (270) : 5-63, 2005

      47 福井玲, "韓國語諸方言のアクセント体系について」, 韓國語アクセント叢論" 東京大學大學院人文社會系硏究科 附屬文化交流硏究施設 東洋諸民族言語文化部門 1-20, 2000

      48 曺廷換, "朝鮮語慶尙道方言のアクセントの体系化―昌寧方言を中心に―" 東京大學大學院 總合文化硏究科 言語情報科學專攻 1996

      49 大江 孝男, "晋州方言のアクセント型について" 日本言語學會 (71) : 1-20, 1977

      50 Chomsky, N.,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Harper & Row 1968

      51 성철재, "Q-tone 청취 등급을 이용한 경남 동남부 방언 성조 분석" 한글학회 (279) : 5-33, 2008

      52 Ramsey, Robert S., "Accent and Morphology in Korean Dialects.:A Descriptive and Historical Study" Yale University 19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1.33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