宗廟는 조선의 역대 임금과 왕후의 神主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던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종묘 외대문은 그 정문으로, 종묘제례를 지낼 때 임금 또는 임금을 대신한 獻官이 侍衛 군졸과 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86778
안소정 (고려대학교 박물관)
2020
Korean
宗廟前路 ; 宗廟洞口 ; 外大門 ; 三途 ; 下馬 ; 輦輿換乘 ; 문화자원 ; Jongmyo Jeonro ; Jongmyo Donggu ; Oedaemun ; Sam-do(three paths which is for spirit tablets ;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respectively) ; the rite which one should dismount from a horse to pay homage ; the transfer of palanquins(yeon and yeo) ; Cultural Resources
KCI등재
학술저널
85-130(4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宗廟는 조선의 역대 임금과 왕후의 神主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던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종묘 외대문은 그 정문으로, 종묘제례를 지낼 때 임금 또는 임금을 대신한 獻官이 侍衛 군졸과 文...
宗廟는 조선의 역대 임금과 왕후의 神主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던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종묘 외대문은 그 정문으로, 종묘제례를 지낼 때 임금 또는 임금을 대신한 獻官이 侍衛 군졸과 文武 관원을 거느리고 공식적으로 출입하던 문이다.
외대문 내외 공간은 설치된 시설의 종류와 행례의 단계에 따라 종묘동구, 외대문, 외대문과 정전 사이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종묘동구는 종묘의 입구에 해당하는데, 종묘 앞 운종가 구간인 종묘전로와 하마의 의절을 표시했던 하마비, 일종의 금천인 회동・제생동천을 건너는 종묘전교, 종묘의 진입로에 해당하는 외대문 앞길로 나눌 수 있다. 외대문과 정전 사이 공간은 신위, 헌관, 향축(향축을 받드는 관원) 등 제례 참여자가 외대문을 들어서서 본 의례가 시작되기 전까지 대기하던 기착지까지로, 외대문에서 정전의 신문 앞, 재실, 향청에 이르는 범위이다.
외대문 공간에서는 종묘에 대한 경의를 드러내기 위한 여러 가지 행례가 이루어졌다. 종묘제례에 참여하는 관원들은 하마비 앞에 이르면 말에서 내려 종묘에 걸어 들어가는 것으로 예를 표했고, 임금 및 왕세자는 위의를 갖추어 거둥할 때 사용하던 의장용 가마 대신 작고 낮은 이동형 가마를 갈아타고 종묘에 들어가는 것으로 예를 갖추었다. 또한 종묘제례에 참가하는 이들은 외대문으로 들어설 때 선대 임금의 신주와 향축 등 제례와 관련된 의물이 들어가는 가운데 문을 피해 출입했다. 즉 임금은 동문으로, 왕세자와 시신은 서문으로 들어가는 등 사용하는 출입문을 달리했다. 외대문 안에 들어서서 대기처로 이동하는 길 역시 출입행례가 일단락되는 지점까지 사용주체에 따라 神路, 御路, 世子路, 香路로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이렇듯 종묘의 진입 공간인 외대문 공간에서는 종묘에 대한 경의가 예로 실현되었고, 이는 출입이라는 행위와 관련이 있었다. 더 나아가 외대문 공간에 설치되었던 시설과 그곳에서 이루어졌던 출입 행례는 종묘와 종묘 안에 봉안된 신주의 신성성을 드러내는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출입 행례가 종묘의 신성성을 드러내는 방식은 제례 참여자의 행례 공간과 행례의 방식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공간과 행위의 위계를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세밀한 위계 구분을 통해 종묘에 대한 공경과 경외의 밀도가 높아지고, 종묘의 신성성이 강화될 수 있었다. 종묘 외대문 공간은 조선시대 종묘 출입의 행위가 의례화되었던 공간이자, 종묘가 가졌던 위상과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자원이다. 문화자원으로서 외대문 공간이 가진 가치를 재인식하고 활용한다면 종묘의 의미와 가치가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ngmyo is a royal shrine dedicated to the performance of memorial rites for the deceased kings and queens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the preservation of their spirit tablets. The kings and their royal officials, accompanied by royal guards and mil...
Jongmyo is a royal shrine dedicated to the performance of memorial rites for the deceased kings and queens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the preservation of their spirit tablets. The kings and their royal officials, accompanied by royal guards and military and civilian functionaries, would gain entry into Jongmyo through its main gate, or Oedaemun.
In addition to the Oedaemun itself, the Oedaemun Area comprises Jongmyo Donggu, the Oedaemun,space from the door of Oedaemun to Jongmyo JeongJeon with each section boasting different facilities and practices performed therein. Jongmyo Donggu is the entrance of Jongmyo and includes the area near Unjong Street(Unjong-ga) or Jongmyo Jeonro, and the hamabi point, where riders had to dismount their horse to pay homage; Jongmyo Jeongyo, a bridge over Hoe-dong Creek and Jesaeng-dong Creek; and the path in front of Oedaemun. The Inner Section, including the area before the gate of Jeongjeon called shinmun(神門), Jaeshil (an annex to Jongmyo), and Hyangchung(香廳), spans from the main gate to a midpoint where ritual performers such as shinwi(神位), hungwan(獻官) and hyangchuk(香祝, those who held incense and a written prayer for the deceased during ceremonies) waited before the royal rites started in earnest.
A number of practices were performed in the Oedaemun Area to express homage to the deceased kings and queens. As a show of respect when entering Jongmyo, for instance, officials partaking in ceremonies dismounted their horses at the hamabi, and kings and crown princes would ride a palanquin smaller and lower than ones they ordinarily used. Moreover, as ritual items – the ritual spirit tables of deceased kings and queens, incense and written prayers – were transported through the Central Gate, kings used the Eastern Gate, and crown princes and royal chamberlains the Western Gate to enter Jongmyo. In addition, each of the pathways from Oedaemun to the middle waiting point – shin-ro, eo-ro, seja-ro and hyang-ro – was reserved for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Jongmyo was honored at its gateway, the Oedaemun Area, in the practice of formal entries. The facilities in the Oedaemun Area and the ritual practices performed therein represent the royal authority of Jongmyo and its spirit tablets, specifically by highlighting the hierarchy of partakers in rites and rituals. The stringent hierarchy elevated Jongmyo to an object of veneration and awe, thereby establishing its royal authority. Jongmyo’s Oedaemun, where entry practices were ritualiz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an invaluable cultural resource that attests to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Jongmyo. Once duly recognized and explored, its value will further be enrich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2 종로구청, "종묘광장 정비공사 수리보고서"
3 서울역사박물관, "종묘광장 발굴조사보고서" 2012
4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5 강제훈,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으로 본 종묘제례" 국립고궁박물관 2014
6 이왕무, "조선후기 종묘 행행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75) : 205-232, 2015
7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9
8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의 공간구성과 공간인식" 서울학연구소 (26) : 1-48, 2006
9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와 거둥길" 서울학연구소 (30) : 33-69, 2008
10 고동환, "조선후기 漢城府 행정편제의 변화-坊·里·洞·契의 변동을 중심으로" 11 : 1998
1 이현진, "종묘와 사직" 책과함께 2011
2 종로구청, "종묘광장 정비공사 수리보고서"
3 서울역사박물관, "종묘광장 발굴조사보고서" 2012
4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5 강제훈,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으로 본 종묘제례" 국립고궁박물관 2014
6 이왕무, "조선후기 종묘 행행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75) : 205-232, 2015
7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9
8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의 공간구성과 공간인식" 서울학연구소 (26) : 1-48, 2006
9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와 거둥길" 서울학연구소 (30) : 33-69, 2008
10 고동환, "조선후기 漢城府 행정편제의 변화-坊·里·洞·契의 변동을 중심으로" 11 : 1998
11 "조선왕조실록"
12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가마"
13 정연식, "조선시대의 도로에 관하여" 42 : 1999
14 이현진, "조선시대 종묘의 부묘 의례와 성격" 서울학연구소 (43) : 55-102, 2011
15 허영록, "조선시대 도시계획의 기본요소로서 시전에 대한 연구" 6 : 1995
16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 설행 논의와 결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173-200, 2007
17 이욱, "조선 왕실의 제향 공간 : 정제와 속제의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18 김영모, "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동녘 2012
19 "승정원일기"
20 박현욱, "서울의 옛 물길 옛 다리" 시월 2006
21 이현진, "도설로 본 조선시대 宗廟와 永寧殿의 변화" 한국고지도연구학회 7 (7): 5-24, 2015
22 김지영, "길 위의 조정 : 조선시대 국왕 행차와 정치적 문화" 민속원 2017
23 "經國大典"
24 "端敬王后復位祔廟都監儀軌"
25 윤방언, "朝鮮王朝 宗廟와 祭禮" 문화재청 2002
26 고동환, "朝鮮初期 漢陽의 形成과 都市構造" 역사문화학회 8 (8): 67-104, 2005
27 "景宗端懿王后祔廟都監儀軌"
28 "春官通考"
29 "宣懿王后祔廟都監儀軌"
30 "宗廟儀軌續錄(奎 14221)"
31 "宗廟儀軌"
32 "國朝喪禮補編"
33 "國朝五禮序例"
34 "仁元王后祔廟都監儀軌"
일본군의 한성 점령과 군대 해산-駐箚部隊의 개편과 공간 占奪을 중심으로-
서울 봉원사 칠성각 「치성광여래도」 도상연구-새로운 치성광여래 도상의 창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2-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 |
2015-10-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3 | 1.024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