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은혜와 자유의 관점에서 본 김세윤의 포괄적 칭의론 : 그 의미와 교회론적 함의 = Kim Se-yoon’s Comprehensive Doctrine of Just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ace and Free Will: Its Meaning and Ecclesiology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99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세윤의 칭의론을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자유를 통해 분석하고, 한국 교회의 제자도적 위기를 치유할 교회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은혜와 자유는 신앙의 양상을 결정짓는 주요 지표다. 하지만 하나님 은혜의 지나친 강조는 인간의 책임을 약화 시키고, 인간 자유의 지나친 긍정은 행위구원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한국 교회는 은혜를 강조하는 신학적 토대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윤리적 비판에 직면해 있다. 김세윤은 그 원인을 칭의를 법정적 차원에서 단편적으로 이해했기 때문으로 본다. 본 연구 이 전제에 동의하며 은혜와 자유를 통해 칭의론을 해석하고 교회론적 방향을 제시하여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은혜와 자유의 관점을 로마 가톨릭의 의화적 칭의관, 칼빈의 주권을 강조한 칭의관, 아르미니우스의 선행은혜를 통한 칭의관으로 나누어 김세윤의 칭의론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김세윤의 칭의론은 ‘의’의 다양한 성서적 의미를 포괄적으로 수용함을 통해 칭의가 가진 함의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또한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칭의를 정립함으로 은혜와 자유의 조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하나님의 은혜를 ‘덕 입는다’는 형식과 ‘신성화’로 칭의를 이해함으로 인간 스스로의 본질적 의로움을 거부하고 포괄적 칭의 신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반응을 조화 시키는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김세윤의 신학은 교회론적으로도 적용될 수 있는데 교회의 정체성 확립, 일치운동, 사명을 통해 이러한 부분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김세윤은 아르미니우스적 관점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의 약점은 자칫 인간의 반응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인식이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덕입음, 신성화는 그러한 측면을 보완하고 있다. 또한 한국 교회의 칭의의 단편적 이해를 벗어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개인의 삶을 넘어 교회론적 범주를 통해 한국 교회의 신앙을 다시 회복시킬 기회를 갖게할 것으로 판단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김세윤의 칭의론을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자유를 통해 분석하고, 한국 교회의 제자도적 위기를 치유할 교회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은혜와 자유는 신앙의 양상을 결정짓는 주요 ...

      본 연구는 김세윤의 칭의론을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자유를 통해 분석하고, 한국 교회의 제자도적 위기를 치유할 교회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은혜와 자유는 신앙의 양상을 결정짓는 주요 지표다. 하지만 하나님 은혜의 지나친 강조는 인간의 책임을 약화 시키고, 인간 자유의 지나친 긍정은 행위구원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한국 교회는 은혜를 강조하는 신학적 토대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윤리적 비판에 직면해 있다. 김세윤은 그 원인을 칭의를 법정적 차원에서 단편적으로 이해했기 때문으로 본다. 본 연구 이 전제에 동의하며 은혜와 자유를 통해 칭의론을 해석하고 교회론적 방향을 제시하여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은혜와 자유의 관점을 로마 가톨릭의 의화적 칭의관, 칼빈의 주권을 강조한 칭의관, 아르미니우스의 선행은혜를 통한 칭의관으로 나누어 김세윤의 칭의론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김세윤의 칭의론은 ‘의’의 다양한 성서적 의미를 포괄적으로 수용함을 통해 칭의가 가진 함의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또한 하나님 나라 신학으로 칭의를 정립함으로 은혜와 자유의 조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하나님의 은혜를 ‘덕 입는다’는 형식과 ‘신성화’로 칭의를 이해함으로 인간 스스로의 본질적 의로움을 거부하고 포괄적 칭의 신학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반응을 조화 시키는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김세윤의 신학은 교회론적으로도 적용될 수 있는데 교회의 정체성 확립, 일치운동, 사명을 통해 이러한 부분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김세윤은 아르미니우스적 관점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의 약점은 자칫 인간의 반응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인식이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덕입음, 신성화는 그러한 측면을 보완하고 있다. 또한 한국 교회의 칭의의 단편적 이해를 벗어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은 긍정적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개인의 삶을 넘어 교회론적 범주를 통해 한국 교회의 신앙을 다시 회복시킬 기회를 갖게할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through the lens of God's grace and human free will and offers Ecclesiology implications to address the discipleship crisis in the Korean church. Grace and free will are key indicators that shape the nature of faith. However, an excessive emphasis on God's grace can weaken human responsibility, while an overemphasis on human free will may lead to the danger of salvation by works. Despite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grace in the Korean church, it faces serious ethical criticism. Kim Se-yoon attributes this issue to a fragmented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particularly viewing it from a legalistic perspective. This study agrees with this premise and seeks to interpre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through grace and free will, proposing an Ecclesiology direc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conducting the research, the perspectives on grace and free will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octrinal viewpoints: the Catholic view of justification as transformation (i.e., infused righteousness), Calvin's emphasis on divine sovereignty, and Arminius's view of prevenient grace for justification. These perspectives were used to analyze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The study'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presents a new understanding by encompassing the various biblical meanings of "righteousness." Additionally, he establishes justifi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God's kingdom theology, aiming to harmonize grace and free will. In particular, by understanding justification as "receiving virtue" and "sanctification," Kim Se-yoon rejects any notion of inherent human righteousness and attempts to harmonize God's grace with human response through a comprehensive theology of justification. This theological framework is also applicable Ecclesiology, offering insight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hurch, promoting unity, and fulfilling its mi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m Se-yoon's perspective is closer to that of Arminius. However, a potential weakness of this view is the overemphasis on human response, which could undermine the recognition of God's grace. Nonetheless, the concepts of "receiving virtue" and "sanctification" help to counterbalance this issue. Furthermore, Kim Se-yoon's proposal for a new direction in understanding justification, moving beyond the fragmented view of justification in the Korean church, is seen as a positive development. Ultimately, this approach offers an opportunity to restore faith in the Korean church, not just on an individual level but within the Ecclesiology framework, helping to rejuvenate the church's witness and miss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through the lens of God's grace and human free will and offers Ecclesiology implications to address the discipleship crisis in the Korean church. Grace and free will are key indicators that s...

      This study analyzes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through the lens of God's grace and human free will and offers Ecclesiology implications to address the discipleship crisis in the Korean church. Grace and free will are key indicators that shape the nature of faith. However, an excessive emphasis on God's grace can weaken human responsibility, while an overemphasis on human free will may lead to the danger of salvation by works. Despite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grace in the Korean church, it faces serious ethical criticism. Kim Se-yoon attributes this issue to a fragmented understanding of justification, particularly viewing it from a legalistic perspective. This study agrees with this premise and seeks to interpre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through grace and free will, proposing an Ecclesiology direc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conducting the research, the perspectives on grace and free will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octrinal viewpoints: the Catholic view of justification as transformation (i.e., infused righteousness), Calvin's emphasis on divine sovereignty, and Arminius's view of prevenient grace for justification. These perspectives were used to analyze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The study's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im Se-yoon's doctrine of justification presents a new understanding by encompassing the various biblical meanings of "righteousness." Additionally, he establishes justifi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God's kingdom theology, aiming to harmonize grace and free will. In particular, by understanding justification as "receiving virtue" and "sanctification," Kim Se-yoon rejects any notion of inherent human righteousness and attempts to harmonize God's grace with human response through a comprehensive theology of justification. This theological framework is also applicable Ecclesiology, offering insight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hurch, promoting unity, and fulfilling its mi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im Se-yoon's perspective is closer to that of Arminius. However, a potential weakness of this view is the overemphasis on human response, which could undermine the recognition of God's grace. Nonetheless, the concepts of "receiving virtue" and "sanctification" help to counterbalance this issue. Furthermore, Kim Se-yoon's proposal for a new direction in understanding justification, moving beyond the fragmented view of justification in the Korean church, is seen as a positive development. Ultimately, this approach offers an opportunity to restore faith in the Korean church, not just on an individual level but within the Ecclesiology framework, helping to rejuvenate the church's witness and mi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2
      • 3. 연구 방법 6
      • Ⅱ. 은혜와 자유에서 본 칭의의 세 관점 12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2
      • 3. 연구 방법 6
      • Ⅱ. 은혜와 자유에서 본 칭의의 세 관점 12
      • 1. 공로를 통한 실재적 칭의 12
      • 2. 주권을 통한 법정적 칭의 15
      • 3. 선행은혜를 통한 자유적 칭의 19
      • Ⅲ. 김세윤의 포괄적 칭의론 24
      • 1. 통합적 칭의 24
      • 2. 종말론적 칭의 34
      • 3. 행위대로 심판과 칭의 44
      • Ⅳ. 김세윤의 하나님 나라와 포괄적 칭의 50
      • 1. 하나님 나라로의 전이와 칭의 50
      • 2.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와 칭의 55
      • 3. ‘오는’ 하나님 나라의 선취와 칭의 61
      • Ⅴ. 포괄적 칭의의 교회론적 함의 71
      • 1. 칭의와 신자들의 교회 71
      • 2. 칭의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74
      • 3. 칭의와 교회의 사명 80
      • Ⅵ. 결론 84
      • 참고자료 88
      • Abstract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