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48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the direct effects am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the direct effects among the job performance,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were not included in the criteria for average sales standards and total assets of less than 500 billion won. The survey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65 questions about job performance,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job involvement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job performance and job involvement scale were revised using a back-translation method based on previous studies. Learning agility and digital literacy scale were selected and used the research instruments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Th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data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 platform from early May to mid-May. The 40 resposes that is missing, abnormal, and careless responses(insincere respondents, non-office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were removed from 606 collected data. Finally 566 respons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IBM SPSS Statistics 26.0 and Process Macro 4.0 program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was applied .05 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s in which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are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 involvement has the greatest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learning agility and digital literacy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involvement, and learning agility has a greater effect on job involvement than digital literacy. Third, the digital literacy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as a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the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and also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job performance. Fifth,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sequentially double-mediatea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ore multi-dimensionally investigate th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m by reflecting the survey instrument that subdivides the recruitment of learning agility and digital literacy, which is judged to be able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related variables. Fourth, in addition to the research variable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 variable showing a negative relationship.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ctively utilize information on digital platforms to learn and design employee experiences to respond quickly and flexibly to changes in the digital working environ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eedback, and coaching to reorganize into a digital-bas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immerse in work in such a work environment and creat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및 직무몰입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및 직무몰입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및 직무몰입 간의 직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대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 및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제3조제1항에 제시된 업종별 평균 매출액 기준 및 자산총액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기업을 의미하며, 사무직은 경영기획, 재무/회계, 인사/교육, 구매/총무, 영업/마케팅, 연구/개발, 생산/품질, 물류/무역, 일반사무, 기타(안전/보안, 서비스 등) 영역에 속한 업무를 담당하는 근로자 중 정규직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유의표집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 및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된 총 65문항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 중 직무성과와 직무몰입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도구를 번안 절차를 바탕으로 번안하여 사용하되 국내 기업이라는 연구맥락을 반영하였고, 학습민첩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도구를 연구맥락을 반영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5월 초순부터 5월 중순까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총 606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이후 결측치로 판정된 40개의 응답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총 566명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0,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결과의 해석은 사회과학분야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적용하는 p<.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 간의 직접효과 분석결과, 학습민첩성은 직무성과(β=.347, p<.001)에,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무성과(β=.149, p<.001)에, 직무몰입은 직무성과(β=.403,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민첩성은 디지털 리터러시(β=.618,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민첩성은 직무몰입(β=.279, p<.001)에,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무몰입(β=.125,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각각 디지털 리터러시(β=.144, p<.001)와 직무몰입(β=.174, p<.001)이, 직무성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계에서 직무몰입(β=.131, p<.001)이 정(+)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이 정(+)적인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β=.036, p<.001)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 중에 직무몰입이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는 모두 직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민첩성이 디지털 리터러시 대비 직무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한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직무성과와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한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순차적 이중매개한다.
      이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학습민첩성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인을 세분화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이들 간의 관계에서의 영향력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구명해야 한다. 둘째, 직무성과와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변인 이외에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변인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하고 디지털로의 근무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직원경험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기반의 조직문화로 재편하고 동시에 이러한 근무환경에서도 직무에 몰입하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피드백, 코칭을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6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6
      • 5. 연구의 제한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 8
      • 2. 직무성과 11
      • 3.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 15
      • 4.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의 관계 28
      • Ⅲ. 연구 방법 38
      • 1. 연구 모형 38
      • 2. 연구 대상 38
      • 3. 조사 도구 40
      • 4. 자료 수집 49
      • 5. 자료 분석 51
      • Ⅳ. 연구 결과 54
      • 1. 주요 변인의 일반적 특성 54
      • 2.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 간의 직접효과 65
      • 3.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72
      • 4.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80
      •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91
      • 1. 요약 91
      • 2. 결론 93
      • 3. 제언 95
      • 참고문헌 97
      • 부록 120
      • [부록1] 조사 도구 번안 120
      • [부록2] 조사 도구 타당도 검증 127
      • [부록3] 예비조사 설문지 138
      • [부록4] 본조사 설문지 144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