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래관광객의 속성수준 평가와 전반적 만족간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Level Performance and Overall Satisfaction of Inbound Touri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7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level performa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inbound tourists. It was hypothesized that asymmetric and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study, total 8,677 out of 12,038 data which were collected during 2011 as inbound tourist survey was used.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all 10 individual attributes of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verall satisfaction of inbound tourists. The asymmetric and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ttribute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analyzed. Lodging, shopping, and tourist attractions among the 10 individual attributes of satisfaction has asymmetric relationship with overall satisfaction level. All individual attribute rated positively on satisfaction level has nonlinear relationship with overall satisfaction level while only five individual attributes including lodging, FNB, shopping,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t information service which rated negatively on satisfaction level ha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level performa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inbound tourists. It was hypothesized that asymmetric and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study, total 8,677 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level performa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inbound tourists. It was hypothesized that asymmetric and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study, total 8,677 out of 12,038 data which were collected during 2011 as inbound tourist survey was used.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all 10 individual attributes of satisfac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overall satisfaction of inbound tourists. The asymmetric and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ttribute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analyzed. Lodging, shopping, and tourist attractions among the 10 individual attributes of satisfaction has asymmetric relationship with overall satisfaction level. All individual attribute rated positively on satisfaction level has nonlinear relationship with overall satisfaction level while only five individual attributes including lodging, FNB, shopping,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t information service which rated negatively on satisfaction level h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개별속성과 전반적인 만족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흥미로운 가설인 비대칭성, 비선형성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외래관광객실태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한다는 차원에서 이 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개별 속성과 전반적 만족의 관계에서 비대칭, 비선형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에 근거하는 것으로 세부적인 고객만족의 향상 방법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10개의 개별 속성은 전반적인 만족에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누적적 비대칭, 비선형 현상이 나타는지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negative 계수와 positive 계수가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 누적적 비대칭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비선형성을 보면, negative 제곱항은 유의적이지 않고, positive 부분에서만 약한 정도의 민감도 체감현상, 즉 비선형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개별 속성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숙박, 쇼핑, 관광지매력도 속성에서만 비대칭 특성이 나타났다. 비선형 특성은 모든 속성이 긍정적 평가 부분에서 비선형 현상을 보였지만 부정적 평가 부분에서는 숙박, 음식, 쇼핑 등 5개 속성에서만 비선형 특성이 나타났다.
      숙박, 쇼핑, 관광지 매력도 속성에 한정하여 집단간 계수변화를 살펴본 결과, negative 계수가 다회 방문집단 보다 일회 방문집단에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회 방문집단에서 비대칭 성격이 더 강해지고 뚜렷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방문횟수가 적은 관광객일수록 낯선 환경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아 부정적 평가를 더 크게 인식하는 비대칭 현상이 강화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위험지각이 비대칭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개별속성과 전반적인 만족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흥미로운 가설인 비대칭성, 비선형성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외래관광객실태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한다...

      본 논문은 개별속성과 전반적인 만족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흥미로운 가설인 비대칭성, 비선형성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외래관광객실태조사의 조사자료를 활용한다는 차원에서 이 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개별 속성과 전반적 만족의 관계에서 비대칭, 비선형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프로스펙트 이론(prospect theory)에 근거하는 것으로 세부적인 고객만족의 향상 방법을 탐색하는데 유용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10개의 개별 속성은 전반적인 만족에 모두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누적적 비대칭, 비선형 현상이 나타는지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negative 계수와 positive 계수가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 누적적 비대칭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비선형성을 보면, negative 제곱항은 유의적이지 않고, positive 부분에서만 약한 정도의 민감도 체감현상, 즉 비선형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개별 속성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는 숙박, 쇼핑, 관광지매력도 속성에서만 비대칭 특성이 나타났다. 비선형 특성은 모든 속성이 긍정적 평가 부분에서 비선형 현상을 보였지만 부정적 평가 부분에서는 숙박, 음식, 쇼핑 등 5개 속성에서만 비선형 특성이 나타났다.
      숙박, 쇼핑, 관광지 매력도 속성에 한정하여 집단간 계수변화를 살펴본 결과, negative 계수가 다회 방문집단 보다 일회 방문집단에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회 방문집단에서 비대칭 성격이 더 강해지고 뚜렷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것은 방문횟수가 적은 관광객일수록 낯선 환경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아 부정적 평가를 더 크게 인식하는 비대칭 현상이 강화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위험지각이 비대칭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유홍, "주제공원 서비스 질이 방문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26 (26): 219-236, 2002

      2 윤혜란, "제품 속성에 대한 만족/불만족 평가, 동기 유형이 전반적 만족도에 끼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Prospect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봉구, "장애유형별 관광지 및 관광정보 관련 속성에 대한 만족 차이와 각 속성에 대한 만족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이 - Matzler와 Sauerwein의 삼(三) 요인 만족 모델의 적용 -" 한국관광학회 35 (35): 55-79, 2011

      4 이인재, "서비스경험 평가에 있어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 속성수준의 평가가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311-327, 2011

      5 김남조, "사회적 수용력의 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를 중심으로" 24 (24): 243-257, 2000

      6 박창규, "기대와 지각된 성과가 관광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2 (22): 317-323, 1998

      7 이유재, "고객만족에 관한 종합적 고찰" 11 (11): 139-166, 2000

      8 Cheung, C. M. K., "User Satisfaction with anInternet-Based Portal : An Asymmetric and Nonlinear Approach" 60 (60): 111-122, 2009

      9 Matzler, K., "The factor structure of customersatisfaction : An empirical test of the importance grid and thepenalty-reward-contrast analysis" 13 (13): 314-332, 2002

      10 Johnston, R., "The determinants of service quality : Satisfiers anddissatisfiers" 6 (6): 53-71, 1995

      1 권유홍, "주제공원 서비스 질이 방문자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26 (26): 219-236, 2002

      2 윤혜란, "제품 속성에 대한 만족/불만족 평가, 동기 유형이 전반적 만족도에 끼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Prospect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봉구, "장애유형별 관광지 및 관광정보 관련 속성에 대한 만족 차이와 각 속성에 대한 만족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이 - Matzler와 Sauerwein의 삼(三) 요인 만족 모델의 적용 -" 한국관광학회 35 (35): 55-79, 2011

      4 이인재, "서비스경험 평가에 있어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 속성수준의 평가가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311-327, 2011

      5 김남조, "사회적 수용력의 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99강원국제관광엑스포를 중심으로" 24 (24): 243-257, 2000

      6 박창규, "기대와 지각된 성과가 관광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2 (22): 317-323, 1998

      7 이유재, "고객만족에 관한 종합적 고찰" 11 (11): 139-166, 2000

      8 Cheung, C. M. K., "User Satisfaction with anInternet-Based Portal : An Asymmetric and Nonlinear Approach" 60 (60): 111-122, 2009

      9 Matzler, K., "The factor structure of customersatisfaction : An empirical test of the importance grid and thepenalty-reward-contrast analysis" 13 (13): 314-332, 2002

      10 Johnston, R., "The determinants of service quality : Satisfiers anddissatisfiers" 6 (6): 53-71, 1995

      11 Matzler, K.,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level performance and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33 (33): 271-277, 2004

      12 Oliva, T. A., "The RelationshipAmong Consumer Satisfaction, Involvement, and Product Performance" 40 (40): 104-132, 1995

      13 Mittal, V., "The Asymmetric Impact ofNegative and Positive Attribute-Level Performance on Overall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62 (62): 33-47, 1998

      14 Anderson, E. W.,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of Customer Satisfaction for Firms" 12 (12): 125-143, 1993

      15 Anderson, E. W., "Strengthening the Satisfaction-ProfitChain" 3 (3): 107-120, 2000

      16 Mittal, V.,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 andrepurchase behavior :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characteristics" 38 (38): 131-142, 2001

      17 Hamilton, L. C., "Regression with Graphics : A Second Course inApplied Statistics" Duxbury Press 1992

      18 Kahneman, D., "Prospect Theory :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47 (47): 263-291, 1979

      19 Füller, J., "Customer delight and market segmentation : An application of the three-factor theory of customer satisfaction onlife style groups" 29 : 116-126, 2007

      20 LaTour, S.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in Consumer Satisfaction Research" 6 : 431-437, 1979

      21 Gardial, S. F., "Comparing consumers' recall of prepurchase andpostpurchase product evaluation experiences" 20 (20): 548-560, 1994

      22 Oliver, R. L.,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ute Bases of theSatisfaction Responce" 20 (20): 418-430, 1993

      23 Huang, R., "Assessing satisfaction with core andsecondary attributes" 61 (61): 942-949, 2008

      24 Neter, J.,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 Irwin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