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focused on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in special situation of ‘immigration’ and ‘marriage.’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s being implemented as part of stability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20042
조희원 (경희대학교)
2013
Korean
국제이주 ; 결혼이주여성 ; 다문화정책 ; 젠더 ; 차이 ; International Immigration ; Marriage Immigrant Women ; Multi-cultural Policy ; Gender ; Difference.
KCI등재
학술저널
5-30(26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focused on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in special situation of ‘immigration’ and ‘marriage.’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s being implemented as part of stability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focused on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in special situation of ‘immigration’ and ‘marriage.’ Korean multi-cultural policy is being implemented as part of stability and integration,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increasing immigrants and Koreans. The policy is focused on marriage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patriarchal system,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mainly managed as a group who can solve a crisis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as a mother and a member of a Korean family. And they share daily lives with us but they are not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nd exist as a marginal person because there is still strong recognition that they are foreigners different from Koreans in outer appearance based on consciousness of homogeneous society. Accordingly, realistic multi-cultural policy is needed so that marriage immigrant women can actively adapt to Korean society and play a role as a member of a community.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이주’와 ‘결혼’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 다문화현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늘어나는 이주민과 내국인과의 안정과 통합, 공존...
본 논문의 목적은 ‘이주’와 ‘결혼’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 다문화현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늘어나는 이주민과 내국인과의 안정과 통합, 공존과 소통을 위한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결혼이주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결혼이주여성은 부계혈통중심주의에 따라 한국인의 아이를 낳고 한국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저출산․고령화사회의 위기를 해결해 줄 대상으로 관리되고 있는 측면이 강하다. 또한 우리와 일상을 공유하지만 여전히 단일민족의식을 바탕으로 외모가 다른 외국인이라는 인식이 강해 우리 사회의 주류로 편입되지 못하고 타자화된 주변인의 모습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한국의 다문화 정책 추진 과정에 나타난 여러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결혼이주여성이 능동적으로 한국사회에 적응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해럴드경제"
2 이종두, "한국의 특수성과 다문화 정책"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7 (17): 335-361, 2012
3 조희원,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아시아.유럽미래학회 7 (7): 259-274, 2010
4 이종윤, "한국의 다문화정책 관련법에 관한 일 고찰"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4 : 163-186, 2010
5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한울아카데미 2007
6 임형백, "한국농촌의 국제결혼의 특징" 14 (14): 2007
7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2월호"
8 전형권, "초국가 이주와 국민국가: 한국의 국제결혼이주여성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7 (17): 283-310, 2012
9 "중국동포신문"
10 앤서니 기든스,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 한울 1999
1 "해럴드경제"
2 이종두, "한국의 특수성과 다문화 정책"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7 (17): 335-361, 2012
3 조희원,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아시아.유럽미래학회 7 (7): 259-274, 2010
4 이종윤, "한국의 다문화정책 관련법에 관한 일 고찰"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4 : 163-186, 2010
5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한울아카데미 2007
6 임형백, "한국농촌의 국제결혼의 특징" 14 (14): 2007
7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2월호"
8 전형권, "초국가 이주와 국민국가: 한국의 국제결혼이주여성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7 (17): 283-310, 2012
9 "중국동포신문"
10 앤서니 기든스,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 한울 1999
11 데이비드 헬드, "전지구적 변환" 창작과 비평사 2002
12 "전북일보"
13 김현미,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26 : 2008
14 정현주,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한지리학회 43 (43): 894-913, 2008
15 길강묵,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현황과 과제- 법무부의 이민 정책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다문화통합연구소 4 (4): 139-168, 2011
16 법무부, "외국인정책 관련 환경변화 미래예측 보고서" 2006
17 "연합뉴스"
18 김용찬, "여성노동자 국제 이주와 이주 수용국가에서의 조직화의 관계 연구: 한인 여성노동자의 독일 이주와 조직화 사례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82-215, 2007
19 조희원, "여성과 차이: 여성, 여성들, 여성개념의 변화" 한국정치학회 40 (40): 103-124, 2006
20 래첼 파레나스, "세계화의 하인들" 여이연 2009
21 "서울신문"
22 "매일경제"
23 김비환, "다문화민주주의?: 몇 가지 예비적 고찰" 4 (4): 2011
24 에릭 홉스봄, "극단의 시대, 21세기 역사" 까치 1997
25 이선주, "국제노동이주와 젠더: 배제와 제한된 포용" 한국여성학회 22 (22): 125-155, 2006
26 "국민일보"
27 "경향신문"
28 민가영,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정책 수용과정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2 (22): 83-104, 2011
29 남인숙, "결혼이민여성 가족의 출신국 문화이해" 한국사회이론학회 35 (35): 7-30, 2009
30 황정미,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여성연구소 9 (9): 1-37, 2009
3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06669&mobile&categoryId=520"
32 "http://inews.jb.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scatelist &mkey2=21&aid=5264"
33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IOM), "Word Migration Report 2010"
34 Koser, K., "The New Migration in Europe. Social Constructions and Social Realities" Macmillan 1998
35 Fagen, B., "The Journey from Eden: The Peopling of our World" Thames and Hudson 1990
36 Marglin, S., "The Golden Age of Capitalism. Reinterpreting the Postwar Experience" Clandon Press 1991
37 Zlotnik, Hania, "The Global Dimension of Female Migration"
38 Curtin, P., "The Atlantic Slave Trade: A Censu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9
39 Castle, S., "The Age of Migration(Third Edition)" The Guilford Press 2003
40 Piper, Nicola, "Introduction: Marriage and Migr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In Wife or Worker?: Asian Women and Migr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41 Lin, Leam,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of Asian Women: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Policy Concerns" 5 (5): 1996
42 Emmer, P., "Intercontinenal Migration as a world historical process" 1 (1): 1993
43 Piper, Nicola, "Globalization, gender and Migration: The Case of International in Japan, In Towards a Gendered Political Economy" Macmillan 2000
44 Sassen, Saskia, "Globalization and its Discontents" The New Press 1998
45 Pettman, Jan Jindy, "Globalisationand the Gendered Politics of Citizenship, In Women, Citizenship and Difference" Zeb Books 1999
46 Zolberg, A., "Global Movements, Global Walls: Response to Migration, 1985-1925, In Lobal History and Migration" Westview Press 1997
47 Truong, Thanh-Dam, "Gender, International Migr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Implications for Theory, Policy, Research and Networking" 5 (5): 1996
48 Yamanaka, Keiko, "Feminized Migration, Community Activism and Grassroots Transnationalization in Japan" 12 (12): 2003
49 Crosby, A., "Ecological Imperialism: The Biological Expansion of Europe, 900-19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50 Baruah, Nilim., "Compendium of Labour Migration Politics and Practices of Major Asian Labour Sending Countries, In Labour Migration in Asia: Trends, challenges and policy responses in countries of origin" IOM 2003
51 Battistella, Graziano, "Asian Women in Migration" Scalabrini Migration Center 1996
52 조희원, "14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구화와 젠더 불평등" 국제지역연구원 14 (14): 1-20, 2007
서울의 환호, 평양의 좌절과 대처: 서울올림픽과 남북관계
6・25전쟁 민간인 납북자 문제와 휴전회담: 납북자 명부와 휴전회의록 분석
South Korea’s Regional Cooperation: A Challenge to the European Integration Model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9 | 0.5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