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팬데믹 상황에서 예체능 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업 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rning Emotion for Online Class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s and Sports on Learning Outcomes in Pandemic Situ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5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예체능 전공 대학생의 학업 정서가 인지된 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예체능 전공 대학생의 학업 정서가 인지된 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즐거움, 자부심, 지루함 정서와 인지된 성취도에서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즐거움과 화 정서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된 성취도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된 성취도는 자부심과 학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학업 정서는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학습자의 성취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학생들의 정서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학습설계 및 교수법 등이 필요하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도 학생들의 학습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learning emo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s and sports who took online classes a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of COVID-19 on perceived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derive...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learning emo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rts and sports who took online classes a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of COVID-19 on perceived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4.0 and AMOS 22.0,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joyment, pride, and boredo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achievement. Second, enjoyment and ange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achieveme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perceived achievement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de and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learning emotion is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in order to increase learner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systematic and strategic learning methods that consider students’ emotions are needed. In addition, various strategies are required to improve student learning outcomes even after the post-coro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승이,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45-970, 2011

      2 유지원, "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9-44, 2012

      3 이정민, "학업정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11-128, 2017

      4 김은진,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는 관계구조 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201-218, 2013

      5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교육연구소 10 (10): 73-98, 2009

      6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7 김승환,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81) : 9-26, 2020

      8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9 한승우, "코로나19 이후 대학 온라인 교육에 관한 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155-172, 2020

      10 김현우,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고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활용 실태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41-53, 2020

      1 도승이,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945-970, 2011

      2 유지원, "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9-44, 2012

      3 이정민, "학업정서,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11-128, 2017

      4 김은진,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는 관계구조 검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201-218, 2013

      5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교육연구소 10 (10): 73-98, 2009

      6 이쌍철,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15-138, 2018

      7 김승환,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81) : 9-26, 2020

      8 홍성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6 (36): 957-989, 2020

      9 한승우, "코로나19 이후 대학 온라인 교육에 관한 학습자들의 반응 조사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155-172, 2020

      10 김현우,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고등학교 온라인 체육수업 활용 실태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41-53, 2020

      11 최현규, "코로나 이후, 온라인 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35-560, 2021

      12 양혜진, "코로나 19상황에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35-143, 2020

      13 배상훈, "코로나 19가 우리나라 대학에 미친 영향과 향후 과제" 2020

      14 고전규,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 및 수업 만족도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73-186, 2010

      15 교육부,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 기준안 마련. 2020. 3. 27"

      16 최성보, "중⋅고등학생들의 체육수업 정서가수업 열정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17 양명희, "정서조절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정서를 매개로 하는 관계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49-467, 2010

      18 조한익, "정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과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313-324, 2013

      19 김민정, "전문대학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에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들의 구조적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0 조수선, "전면적 원격수업 상황에서 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코로나 불안의 조절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6 (26): 909-934, 2020

      21 김아영, "자아효능감과 학습동기"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1-38, 2004

      22 유화영, "이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5 (25): 477-497, 2019

      23 김승호,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정서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0 (30): 749-775, 2014

      24 이승미, "이러닝 학습자의 감정 상태에 따른 감성 피드백의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 (10): 125-134, 2007

      25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실제성, 학습동기, 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3-51, 2008

      26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27 김민성, "온라인 토론에서의 정서적 경험의 변화과정: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의 변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97-722, 2008

      28 송수연,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1099-1126, 2020

      29 장지훈, "쌍방향 수업 좀 늘려달라:원격 수업 장기화에 학부모들 관심" 뉴스1

      30 양명희,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조절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51-71, 2009

      31 권정옥, "성공적인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심리 사회적 요인 연구에 대한 질적 및 양적 접근" 6 (6): 303-319, 2003

      32 김영민, "사이버대학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국제e-비즈니스학회 20 (20): 199-216, 2019

      33 정영란, "사이버대학에서 수업만족도 영향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61-94, 2009

      34 최부기,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315-334, 2011

      35 강현화, "사이버강의에 대한재학생의 요구 및 만족도 조사" 8 : 71-105, 2003

      36 기영화,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랜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 (1): 63-80, 2005

      37 이경순, "대학에서 이러닝 배려하는 교수, 생각하는 학생을 위한 수업아이디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38 한희원, "대학생의 학업정서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75-103, 2015

      39 이경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33-57, 2014

      40 신정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287-313, 2008

      41 김은주,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독서량 간의 관계 검증" 12 (12): 1-22, 2014

      42 이정민,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학업적 정서조절과 집단응집성이 학습만족도와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341-356, 2016

      43 이종연,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19-147, 2010

      44 유지원,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적 학업소진 및 학습지속의향 간 관계에서 학업정서의 조절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89-413, 2015

      45 강대식, "대학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학습실재감, 몰입감, 학습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133-152, 2011

      46 채민정,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523-548, 2017

      47 채민정, "대학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48 이종연, "대학 모바일러닝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및학습만족도와 관련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0 (40): 49-79, 2013

      49 송지준, "논문통계의 이해와 적용(SPSS와AMOS를 활용)" 21세기사 2019

      50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1 노미영,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여대생의 인지된 운동능력과 운동정서 및 수업만족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267-278, 2017

      52 신종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3, 2006

      53 박정현, "e-Learning 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자의 얼굴 표정 분석" 4 (4): 160-163, 2006

      54 Kleine, M., "The structure of students emotions experienced during a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 37 (37): 221-225, 2005

      55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56 (56): 218-226, 2001

      56 Mayer, J. D., "The experience and meta-experience of mood" 55 (55): 102-111, 1988

      57 Pekrun, R.,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18 : 315-341, 2006

      58 Pekrun, R.,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 An integrative approach to emotions in education" 37 (37): 91-105, 2007

      59 Alwin, D. F., "The Decomposition of Effects in Path Analysis" 40 (40): 37-47, 1975

      60 Dettmers, S., "Students’ emotions during homework in mathematics : testing a theoretical model of antecedents and achievement outcomes" 36 (36): 25-35, 2011

      61 Carmines, E. G., "Social Measurement:Current Issues" Sage 1981

      62 Rowe, J., "Since feeling is first:: narrative inquiry toward understanding emotion in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5

      63 Rovai, A. P., "Sense of community, perceived cognitive learning, and persistence in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5 (5): 319-332, 2002

      64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1994

      65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66 Kaplan, S., "On the rol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in job performance :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94 (94): 162-176, 2009

      67 McCroskey, J. C., "Nonverbal immediacy and cognitive learning :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45 (45): 200-211, 1996

      68 Hair, J. F. Jr.,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2006

      69 Linnenbrink, E. A., "Motivation, affect, and cognitive processing: What role does affect play?" 2003

      70 Linnenbrink, E. A., "Motivation, Emotion, and Cogn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7-87, 2004

      71 Bagozzi, R. B., "International social action in virtual communities" 16 (16): 2-21, 2002

      72 Kraiger, K., "Integrating training research" 1 : 5-16, 1995

      73 Carver, S. C.,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41-84, 2000

      74 Brave, S., "Handbook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Lawrence Eribaum Associates 251-271, 2002

      75 Rovai, A. P., "Gender difference in online learning : Sense of community, perceived learning,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6 (6): 31-44, 2005

      76 Clifford, M. M., "Failure Tolerance and risk taking in ten-to twelve year-old student" 58 (58): 15-27, 1988

      77 Vuorela, M., "Experienced emotions, emotion regulation and student activity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14 (14): 423-436, 2004

      78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79 Grieder, S., "Emotional fa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a longitudinal study"

      80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Nooks 1995

      81 O’Regan, K., "Emotion and e-Learning" 7 (7): 78-92, 2003

      82 Cacioppo, J. T., "Emotion" 50 : 191-214, 1999

      83 Khan, B. H. wj, "E-learning strategies" 서현사 2004

      84 Meyer, D. K., "Discovering emotions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37 (37): 107-114, 2002

      85 Wolman, B. B.,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1989

      86 Watson,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 The PANAS Scales" 54 (54): 1063-1070, 1988

      87 LaPoint, D. . K., "Developing, testing and refining of a mode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computer-mediated conferencing" 25 (25): 83-106, 2004

      88 Bentler, P. 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 238-246, 1990

      89 최형미,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47-1071, 2020

      90 Remuzzi, A., "COVID-19 and Italy: What next?" 2020

      91 강명희,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감성지능의 학습유형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 타당도 검증" 교과교육연구소 11 (11): 235-255, 2007

      92 Pekrun, R., "Beyond test anxie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st emotions questionnaire (TEQ)" 17 (17): 287-316, 2004

      93 Wang, Y. S.,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41 (41): 75-86, 2003

      94 Wheaton, B., "Assessing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panel models" 8 : 84-136, 1977

      95 Zembylas, M., "Adult learners’ emotions in online learning" 29 (29): 71-87, 2008

      96 Putwin, D. W., "Achievement goals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beliefs and test anxiety" 82 (82): 207-224, 2012

      97 Pekrun, R., "Achievement goals and achievement emotions : Testing a model of their joint 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101 (101): 115-135, 2009

      98 Pekrun, R., "Academic emotions questionnaire(AEQ):User’s manual" University of Munich 2005

      99 Pekrun, R.,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 A program of qualitative research" 37 (37): 91-105, 2002

      100 Goetz, T., "Academic emotions from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 Antecedents and domain specificity of students’ affect in the context of Latin instruction" 76 (76): 289-308, 2006

      101 김계수, "AMOS 18. 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3

      102 Aspinwall, L. G., "A stitch in time : Self-regulation and proactive coping" 121 (121): 417-436, 1997

      103 이혜정,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 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5 (15): 59-84, 2019

      104 정태린, "2020년 1학기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비대면 교양체육 수업의 질, 부정적 학습감정, 수업만족도간 경로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18 (18): 509-519,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