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東洋의 理想的 人間觀 = The ideal view of Man in the Eas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ay of recognizing the existing things in the East is to see the things as they are. The East thinks that everything exists not by being created by something, but by being naturally, even without the beginning of it. It isn't important for the Eas...

      The way of recognizing the existing things in the East is to see the things as they are. The East thinks that everything exists not by being created by something, but by being naturally, even without the beginning of it. It isn't important for the East from where it comes or to where it goes. How things are created and perished isn't important for them, neither.
      What the East is interested in is how the thing becomes to be, and, above all, the human life itself. The problem is how he has to live. Where he comes from or goes to is not the focus of their interest. Therefore realistic life of human being is valued above everything else, while the next world is considered as meaningless.
      Not only Confucian and Taoist but also Buddhism regard the realities of human life as most important. In particular, Confucian sets a high value on human duties and makes a person attain a stage of “the union of Heaven and man" through a moral life. Taoist aims to get a man reach a stage of "the union of the nature and man” by making him dismiss the selfish desire and thus keep the pure mind. Buddhism aims to make a man to attain a stage of spiritual enlightenment by making him give up the human desire, and thus restore the pure nature which had essentially been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view of life in the East emphasizes the restoration of the pure nature in human mind as well as the effort to keep such a nature by getting rid of the human desi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양에서의 사물의 존재에 대한 생각은 원래 있는 그대로를 중시한다.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어떤 무엇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 아닌 원래 시작도 없이 그냥 존재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그...

      >동양에서의 사물의 존재에 대한 생각은 원래 있는 그대로를 중시한다.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어떤 무엇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 아닌 원래 시작도 없이 그냥 존재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그 존재하는 것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모든 사물이 어떻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되어 가느냐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소위 서양철학에서 발달한 형이상학의 문제가 동양적 사고방식의 문제에서는 관심이 적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형이상학보다는 인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불교·성리학·도가의 형이상학도 있지만 무엇보다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더 관심이 많은 것이다.인간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에 있어서의 인간의 위치가 어떠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바로 인간의 사유능력과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능력을 중시하는 인간본위의 측면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신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인간관과는 전혀 상이한 것이다.동양의 사상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유가, 도가, 불교에서 주장하는 이상적 인간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각 사상에서 강조하는 이상적 인간상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추구하여야할 실천방법이 다를 수가 있는 것이다. 각 사상의 이상적 인간상의 실현을 위하여 수반되는 구체적 수양방법이 뒤따라야 한다. 유가·도가·불교에서 주장하는 많은 수양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살펴봄으로써 각 사상의 수양론의 특징도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결국 동양에서 내세우는 이상적 인간관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가는 인간의 욕망의 절제를 내세우고 인륜을 중시하여 도덕적인 삶을 통하여 궁극적인 천인합일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가는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을 버리고 순수한 인간의 마음을 지켜나감으로서 자연과 합일되는 경지의 인간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끝으로 불교는 인간의 욕망을 끊어버리고 원래 우리의 마음속에 내재하는 순수한 본성을 되찾음으로써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